$\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2 지하저장과 연계한 원유회수증진 기술
Enhanced Oil Recovery (EOR) Technology Coupled with Underground Carbon Dioxide Sequestration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3 no.1, 2013년, pp.1 - 12  

김형목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에너지자원공학과) ,  배위섭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고에서는 $CO_2$ 지중저장과 연계한 원유회수증진 기술을 소개하였다. 원유회수증진을 목적으로 $CO_2$를 저류층 내에 주입하는 $CO_2$ EOR 기술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CO_2$를 지하 심부 암반에 저장하는 CCS 기술로 전환할 수 있다. CCS와 연계한 $CO_2$ EOR 기술은 EOR에 필요한 대규모 $CO_2$ 공급원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원유 회수율 증진에 따른 편익 발생으로 CCS를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 중, 특히 포집 분야에 경제성을 부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CCS와 연계한 $CO_2$ EOR 기술의 특징 및 시장 전망을 살펴보고 국외의 대표사례로 Weyburn $CO_2$ EOR 프로젝트를 소개하였다. 또한,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CO_2$ EOR 실시에 필요한 제반 기술 요소를 분석하고 $CO_2$ 주입중 및 주입후 장기운영과정에서의 미소진동 계측, $CO_2$의 최소혼화압력 및 최대주입압력의 사전설계 등의 암반공학적 쟁점들을 소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nhanced oil recovery (EOR) technology coupled with underground carbon dioxide sequestration is introduced. $CO_2$ can be injected into an oil reservoir in order to enhance oil production rate and $CO_2$ EOR can be turned into CCS in a long term sense. Coupling $CO_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고에서는 CO2를 지하 암반층에 대용량으로 저장하기 위한 CCS 기술과 원유 생산 증진을 위한 CO2 EOR 공법을 연계한 CCS-EOR 기술 동향 및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CCS와 연계한 CO2 EOR 프로젝트의 대표 사례인 캐나다 Weyburn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이들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관련 기술 개발 요소를 도출하였다.
  • 본 고에서는 온실가스 저감방안으로서의 CO2 지하암반층 저장과 원유 생산 증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CO2 EOR 기술을 살펴보고, CCS 와 연계한 CO2-EOR 프로젝트의 대표 사례로서 캐나다 Weyburn 프로젝트 사례를 소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혼화(miscible) CO2 EOR의 경우, 어떤 원인으로 인해 석유자원의 회수율을 증진시키는가? 혼화(miscible) CO2 EOR의 경우, 주입 CO2와 원유가 완전히 혼화됨으로써 유체의 점성도 감소, 유동성의 증가 및 표면장력의 해소로 인한 상대투과특성의 향상 등의 효과로 인해 잔류 원유를 재유동시켜 회수율을 증진시키게 된다.
Gas EOR 공법은 무엇인가? 3차 원유 생산과정에 해당하는 EOR 공법은 크게 3가지로 세분할 수 있다(Table 1). Gas EOR 공법은 CO2및 질소(N2) 가스를 저류층에 주입함으로써 원유와의 혼 화(miscible)/비혼화(immiscible) 과정을 통해 유체 점성도를 저감시켜 생산량을 증대하는 기술이다. 화학적 EOR은 폴리머 및 계면활성제 등을 활용하여 잔류 석유의 상대적인 유동도를 조절하는 기술이다.
원유 생산 과정 중, 2차 생산은 무엇인가? 1차 생산에 의한 원유 생산량은 초기 원유 매장량(Original Oil In Place, OOIP)의 약 10-20%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차 생산(secondary production)은 1차 생산 과정에서의 저류층 내 압력 저하로 자연적인 생산이 불가능한 시점에 물(혹은 가스)을 저류층에 인위적으로 주입하여 저류층 내 원유를 밀어내어 생산하는 과정(water flooding)을말한다. 이러한 2차 생산에 의한 원유 회수량은 OOIP 의 약 20-40%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im, M., Byun, J., Seol, S., 2010, Study on microseismic monitoring method for enhanced oil recovery (E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Vol. 47, No. 6, pp.871-879. 

  2. Kim, H.M., Park, E.S., Synn, J.H., Park, Y,C., 2008, Greenhouse gas (CO2) geological sequestration and geomechanical technology,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ol. 18, No. 3, pp.175-184. 

  3. 박의섭, 김현우, 천대성, 최헌수, 2012, $CO_2$ 지중저장의 암반공학적 해결과제, 2012 한국자원공학회 추계학술발표회 CCS 특별세션, pp. 84-96. 

  4. Lee, K.S., Kim, J.W., Kim, H.T., Son, H.A., 2012, Potential opportunities and outlook of CO2 enhanced oil recovery associated with C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Vol. 49, No. 5, pp.700-707. 

  5. Advanced Resources International Inc., 2009, IEA Greenhouse Gas R&D Programme, $CO_2$ storage in depleted oilfields: Global application criteria for carbon dioxide enhanced oil recovery, Report IEA/CON/08/155. 

  6. Andrei, M., Simoni, M., Delbianco, A., Cazzani, P., 2010, Enhanced Oil Recovery with $CO_2$ Capture and Sequestration, World Energy Concil 

  7. Connolly, P.T., Cosgrove, J.W., 1999, Prediction of fracture induced permeability and fluid flow in the crust using experimental stress data, Bull. AAPG 85, pp. 757-777. 

  8. Deepak, T. 2009, Design of Non-Fluorous $CO_2$ Soluble Compound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ittsburgh. 

  9. Elsharkawy, A.M., Suez Canal, U., Poettmann, F.H., Christiansen, R.L., 1992, Measuring minimum miscibility pressure: slim-Tube or Rising-Bubble Method?, SPE/DOE Enhanced Oil Recovery Symposium, 22-24 April 1992, Tulsa, Oklahoma. 

  10. Godec, M.L., 2011, Global Technology Roadmap for CCS in Industry Sectoral Assessment $CO_2$ Enhanced Oil Recovery. 

  11. Hovorka, S.D., Tinker, S.W., 2010, EOR as sequestration: Geoscience perspective, The Symposium on the role of enhanced oil recovery in accelerating the deployment of carbon capture and storage, Cambridge, MA, July, 2010, GCCC Digital Publication Series #10-12. 

  12. Mourits, F., 2008, Overview of IEA GHG Weyburn- Midale $CO_2$ Monitoring and Storage Project, 3rd CSLF Workshop on Capacity Building for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Al-Khobar, Saudi Arabia 

  13. NETL, 2010, Carbon Dioxide Enhanced Oil Recovery, National Energy Technology Laboratory. 

  14. Onuma, T., Ohkawa, S., 2009, Detection of surface deformation related with $CO_2$ injection by DInSAR at In Salah, Algeria, Energy Procedia, Vol. 1, pp. 2177-2184. 

  15. Rutqvist, J., 2012, The geomechanics of $CO_2$ stroage in deep sedimentary formations, Geotechnical and Geological Engineering 30, pp. 525-551. 

  16. SBI, 2010, EOR Enhanced Oil Recovery Worldwide, SBI Energy. 

  17. Verdon, J.P., 2010, Microseismic monitoring and geomechanical modelling of $CO_2$ storage in subsurface reservoir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Bristol, U.K. 

  18. Verdon, J.P., Kendall, J.M., White, D.J., Angus, D.A., 2011, Linking microseismic event observations with geomechanical models to minimise the risks of storing $CO_2$ in geological formations,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Vol. 305, pp. 143-1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