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상 라이다를 이용한 대기중 꽃가루 분포 실시간 모니터링
Instantaneous Monitoring of Pollen Distribution in the Atmosphere by Surface-based Lidar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28 no.1, 2012년, pp.1 - 9  

노영민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  이권호 (경일대학교 위성정보공학과) ,  최영진 (응용기상연구과 국립기상연구소) ,  김규랑 (응용기상연구과 국립기상연구소) ,  이한림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최태진 (극지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기중의 꽃가루를 원격 탐사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 연속적으로 수행한 연구는 현재까지 전무하다. 본 연구는 지상 라이다 원격 탐사 기술을 이용하여 꽃가루 대기 분포의 일변화를 실시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였다. 지상 라이다를 이용한 관측은 5월 4일부터 6월 2일까지 광주과학기술원에서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 라이다 데이터의 소산계수 분석을 통하여 대기 에어러솔의 분포를 확인하고 편광소멸도를 이용하여 입자의 비구형성을 확인하였다. 관측 기간 중 5월 4일부터 9일까지 일출 이후 09시경부터 편광소멸도 값이 0.08에서 0.14로 높은 값이 지표면 가까이부터 관측되기 시작하여 정오경에 1.5 - 2.0 km까지 고도가 증가하다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일출시간(18시 이후)에 사라지는 현상이 관측되었다. 이 때 일별 꽃가루 농도는 $1,000m^{-3}$ 이상의 높은 농도를 보여 편광소멸도의 증가가 꽃가루로부터 유발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라이다 편광소멸도 관측과 기상 자료와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수목류가 방출한 꽃가루는 지표면 기온이 상승하고 대기 중 상대습도가 낮아지는 낮 시간 동안 대기경계층 고도까지 상승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온의 하강과 상대습도의 증가, 그리고 풍속이 감소하면서 꽃가루의 관측 고도는 낮아져 늦은 오후 시간대부터는 꽃가루가 대기 중에서 사라지는 일정한 일변화 형태를 보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urnal variation in pollen vertical distributions in the atmosphere was observed by a surface-based lidar remote sensing technique.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 and depolarization ratio at 532 nm were obtained from lidar measurements in spring ($4^{th}$ May - $2^{nd}$ J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낮 시간 동안 편광소멸도 값의 증가는 꽃가루 농도의 증가와 관련된 것으로 고려되어 이를 확인하기 위한 기상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선행 연구로부터 수목류는 대부분 온도가 높고 상대습도가 낮은 날 정오부터 늦은 오후 (10:00 ~ 18:00 hr)에 꽃가루를 방출한다고 알려져 있다(Pande et al.
  • 본 연구는 2009년 봄에 지속적으로 수행된 라이다 관측을 통하여 얻어진 고도별 대기 에어로졸 분포와 편광소멸도(Depolarization ratio) 자료와 지상에서 측정된 AERONET (AErosol RObotic NETwork)의 sunphotometer 자료, 일별 꽃가루 농도, 기상자료 및 미세먼지 농도(PM10)를 종합적 분석하여 국내 최초로 라이다 관측으로부터 대기중 꽃가루의 고도별 분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항공 관측에만 의존하여 제한적으로 수행되던 대기 중 꽃가루의 확산과 분포에 관한 연구를 라이다 원격탐사 기술을 적용하여 실시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최초로 증명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측정된 꽃가루의 일변화 형태는 CALIPSO와 같은 위성 라이다 데이터 분석시 황사와 꽃가루를 구분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53°N)에서 2009년 3월부터 5월 사이의 봄 기간에 강수가 내리지 않는 맑은 날에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중 꽃가루의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5월에 관측된 라이다 자료를 분석하였다.
  • 해염 입자(Sea-salt)도 편광소멸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라이다 관측 지점이 해안에서 50 km 이상 떨어진 내륙지역이고 관측기간 동안 바람이 북서풍의 방향을 지속적으로 유지한 것을 고려할 때 낮 시간 동안만 편광소멸도를 증가시킨 것과는 연관성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편광소멸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또 다른 입자인 꽃가루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꽃가루 농도 분포 특성은? 국내에서는 박기준 등 (2008)이 전국 7개 지역에서 관측된 꽃가루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별, 기상별, 알레르기 발현성별로 꽃가루 농도 분포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꽃가루 농도는 전국적으로 유사한 분포를 보이며, 수목류는 3월~5월, 잡초류는 8월~10월에 주로 발생하는 것을 밝혔다. 오재원 (2009)은 꽃가루 농도를 예측하기 위한 예보 지수를 개발하여 실제 관측 결과와 비교하였다.
꽃가루가 야기하는 악영향은 무엇이 있는가? 주로 봄철에 높은 농도로 대기 중에서 관측이 되는 꽃가루는 시정을 악화시키는 등 대기 환경을 저해하는 작용을 하기도 하고 천식이나 알레르기비염과 같은 호흡기 알레르기 뿐만 아니라 아토피피부염을 악화시키는 등 건강문제에 악영향을 미치는 원인 물질로 작용한다(Lewis et al., 1983; Esch and Bush, 2003).
충매화와 풍매화 각각의 특징은 무엇인가? , 1983; Esch and Bush, 2003). 식물은 수정방법에 따라 충매화와 풍매화로 나눌 수 있는데, 충매화는 향기나 꽃으로 곤충을 유혹하여 꽃가루를 전파시키므로 발생량이 적고 크고 무거워 공기 중에 잘 부유하지 않아 대기 환경 및 건강상 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적다. 이에 반하여 풍매화는 작고 가벼운 꽃가루를 다량 생성하여 바람에 의하여 전파되게 함으로써 대기 환경 및 건강상 문제를 유발한다(오재원,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박기준, 김헌애, 김규랑, 오재원, 이선영, 최영진, 2008. 한반도 지역에서 관측된 꽃가루 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농림기상학회지, 10(4): 167-176. 

  2. 오재원, 2009. 대기 중 알레르기 화분(꽃가루) 농도 예보제 개발, 대한의사협회지, 52(6): 579-591. 

  3. Bostock, J., 1819. Case of a Periodical affection of the eyes and chest, Medico-Chirurgical Transactions, 10: 161-165. 

  4. Curtis, J.D. and N.R. Lersten, 1995. Anatomical aspects of pollen release from staminate flowers of Ambrosia trifida (Asteraceae), International Journal of Plant Sciences, 156: 29-36. 

  5. Damialis, A., D. Gioulekas, C. Lazopoulou, C. Balafoutis, and D. Vokou, 2005. Transport of airborne pollen into the city of Thessaloniki: the effects of wind direction, speed and persist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49: 139-145. 

  6. Durham, O.C., 1944. The volumetric incidence of atmospheric allergens, The Journal of allergy, 455-461. 

  7. Esch, R.E. and R.K. Bush, 2003. Aerobiology of outdoor allergens, In Adkinson NF Jr, Yunginger JW. 

  8. Hjelmroos, M., 1991. Long-distance transport of Betula pollen grains and allergic symptoms, Aerobiologia, 8: 231-236. 

  9. Klett, J.D., 1981. Stable analytical inversion solution for processing lidar returns, Applied Optics, 20 (2): 211-220. 

  10. Lewis, W.H., P. Vinay, and V.E. Zenger, 1983. Airborne and allergenic pollen of North America,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 London. 

  11. Mandrioli, P., M.G. Negrini, G. Cesari, and G. Morgan, 1984. Evidence for long range transport of biological and anthropogenic aerosol particles in the atmosphere, Grana 23: 43-53. 

  12. Niklas, J.K., 1985. The Aerodynamics of wind pollination, The Botanical Review, 51: 328-386. 

  13. Noh, Y.M., Y.J. Kim, B.C. Choi, and T. Murayama, 2007. Aerosol Lidar Ratio Characteristics Measured by a Multi-Wavelength Raman Lidar System at Anmyeon Island, Korea, Atmospheric Research, doi:10.1016/j.atmosres.2007.03.006. 

  14. Noh, Y.M., Y.J. Kim, and D. Muller, 2008. Seasonal characteristics of lidar ratio measured with a Raman lidar at Gwangju, Korea in spring and autumn, Atmospheric Environment, 42: 2208-2224. 

  15. Pande, G.K., P. Pakrash, and M.A. Hassam, 1972. Floral biology of barley (Hordeum vulgare L.), The Indi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s, 48: 697-703. 

  16. Potter, P.C. and A. Cadman, 1996, Pollen allergy in South Africa, Clinical & Experimental Allergy, 26: 1347-1354. 

  17. Raynor, G.S., J.V. Hayes, and E.C. Ogden, 1974. Mesoscale transport and dispersion of airborne pollen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13: 87-95. 

  18. Raynor, G.S., J.V. Hayes, and E.C. Ogden, 1975. Particulate dispersion from source within a forest, Boundary-Layer meteorology, 9: 257-277. 

  19. Sakai, T., T. Nagai, M. Nakazato, Y. Mano, T. Murayama, 2003. Ice clouds and Asian dust studied with lidar measurements of particle extinction-to-backscatter ratio, particle depolarization, and watervapor mixing ratio over Tsukuba, Applied Optics, 42 (36): 7103-7116. 

  20. Sassen, K., 2008. Boreal tree pollen sensed by polarization lidar: Depolarizing biogenic chaff,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5, L18810, doi: 10.1029/2008GL035085. 

  21. Sofiev, M., P. Siljamo, H. Ranta, and A. Rantio-Lehtimaki, 2006. Towards numerical forecasting of long-range air transport of birch polle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a feasibility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0: 392-402. 

  22. Stach, A., M. Smith, C.A. Skjoth, and J. Brandt, 2007. Examining Ambrosia pollen episodes at Poznan (Poland) using back-trajectory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1: 275-286. 

  23. Vazquez, L.M., C. Galn, and E. Domnguez-Vilches, 2003. Influence of meteorological parameters on olea pollen concentrations in C_rdoba (South-western Spain),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48: 83-90. 

  24. WMO, 2001. Climate Change 2001, IPCC, pp. 2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