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1년 강원 폭설과 GPS 가강수량의 상관성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PS Precipitable Water Vapor and Heavy Snowfall on Gangwon Province in Early 2011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0 no.1, 2012년, pp.97 - 104  

송동섭 (국립강원대학교 건설방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11년 강원도 영동 지방의 폭설 기간 동안 GPS 위성 신호의 대류권 지연량 추정으로부터 대기 가강수량을 복원하였다. 폭설이 발생하는 기간 동안에 GPS 가강수량과 신적설 발생량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GPS를 이용하여 복원한 대류권에서의 가강수량 증가가 발생된 이후에 강설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또한 웨이블릿을 이용한 주기 분석에서는 본 연구기간에 한해서 GPS 가강수량의 주기가 포화수증기압의 주기와 유사한 것으로 검출되었다. GPS 가강수량의 감소와 이에 대응하는 신적설량의 증감은 두 연구 지역인 강릉과 울진에서 모두 다르게 증감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폭설 기간 동안 GPS 가강수량과 포화수증기압의 상관 계수는 강설이 발생하지 않는 기간 동안의 결과와는 달리 양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the GPS precipitable water vapor was retrieved by estimating of GPS signal delay in the troposphere during the progress of heavy snowfall on the Gangwon Province, 2011. For this period, the time series analysis between GPS precipitable water vapor and fresh snow depth was accomplish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비하여 GPS를 이용한 가강수량 정보 획득은 이미 구축되어 있는 GPS 상시관측소 시스템을 이용하여 획득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송동섭, 2009a; Bevis 등, 1992; Rocken 등, 1993; Solbrig, 2000). 본 연구에서는 2011년 2월에 발생한 강원도 영동 지방의 폭설 기간 동안 GPS를 이용한 가강수량의 추정을 수행하고, 기상인자와의 시간적 변화에 따른 가강수량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폭설은 대기 중에 포함된 대량의 수증기 성분이 응결되어 지상으로 하강하면서 발생되므로, 가강수량과 폭설에 따른 신적설량 발생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 따라서 한 지역에서 발생되는 폭설에 대한 정량적 크기를 과거 기록과 비교하는 경우에는 신적설량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GPS의 신호 지연을 이용한 대류권 가강수량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간별 신적설 정규관측 결과와 비교를 수행하였다
  • 또한 폭설은 대기 중에 포함된 대량의 수증기 성분이 응결되어 지상으로 하강하면서 발생되므로, 가강수량과 폭설에 따른 신적설량 발생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폭설과 같은 악기상 속에서 GPS 기상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기 중의 물의 역할은? 대기 중의 물은 위상변화와 수증기 이송 과정을 통하여 에너지를 수송하며 복사평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다양한 기상 상황에 대한 시공간적 규모에서의 수증기의 정량적 관측은 악기상의 원인을 규명하고 자연적 또는 인위적 원인에 의해 야기되는 기후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물 순환 과정에 대해 보다 빠른 이해를 얻을 수 있다.
영동지역의 폭설현상은 어떻게 알려져 있는가? 해마다 겨울철이면 빈번하게 발생하는 영동지역의 폭설현상은 상대적으로 온난한 동해상의 해면을 따라 변질된 기단이 영동 지방의 산악 지형과 교차하면서 형성되는 지형적 요인의 강설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김지언 등, 2005). 1904년부터 우리나라의 근대적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후, 신적설에 대한 관측은1937년부터 시작되었으며, 현재까지 가장 많은 적설량은 울릉도의 150.
가강수량의 관측에서 중요한 요소는? 가강수량은 대기 중 수분량의 변화를 정량화 할 수 있는 좋은 기상인자이다(유철상 등, 2004). 대부분의 기상관측 요소들이 지상 관측에 의존하는 반면 가강수량은 종단관측을 통해 추정되므로 관측 지역의 수증기량의 공급 및 이동 변화를 파악하는데 의미가 있는 인자이다. 가강수량의 관측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라디오존데는 매우 비싼 관측 비용이 소요됨에 따라 하루에 2회 또는 4회 관측이 일부 지역에서만 행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기상청 (2011), 기상청 보도자료(2011.02.13). 

  2. 김지언, 권태영, 이방용 (2005), 영동대설 사례와 관련된 동해상의 현열속과 잠열속 분포 특성, Ocean and Polar Research, 한국해양연구원, Vol. 27, No. 3, pp. 237-250. 

  3. 차은정 (2010), 2010년 1월 4일 수도권 대설 현황 및 사회.경제적 의미, 한국방재학회지, 한국방재학회, 제10권, 제4호, 통권 39호, pp. 6-13. 

  4. 송동섭 (2007), GPS 관측데이터 정밀 해석을 통한 가강 수량 추정 정확도 향상,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pp. 41-46. 

  5. 송동섭 (2009a), 기압의 역해면 경정 보정을 이용한 GPS PWV 복원 능력 개선,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7권, 제5호, pp. 535-544. 

  6. 송동섭 (2009b), 한국의 계절별 특성을 고려한 고정확도 GPS 수증기 추정 모델링,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7권, 제5호, pp. 565-574. 

  7. 송동섭, 윤홍식, 조재명 (2002), GPS를 이용한 대류권의 수증기량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0권, 제2호, pp. 215-222. 

  8. 유철상, 신창건, 윤용남 (2004), 가강수량의 추정 및 분석,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5B호, pp. 413-420. 

  9. 이재원, 조정호, 백정호, 박종욱, 박지업 (2008), 정규관측자료와 GPS 연직누적 수증기량을 이용한 안개에 대한 비교연구, 대기, 한국기상학회, 제18권, 제4호, pp. 417-427. 

  10. 이재준, 장주영, 곽창재 (2010), 각종 수문인자의 갱년별 특성변화 분석(II) - 변동성, 주기성을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3권, 제5호, pp.483-493. 

  11. Bevis, M., S. Businger, T. Herring, C. Rocken, R. Anthes, and R. Ware (1992), GPS meteorology: Remote sensing of atmospheric water vapor usin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J. Geophys. Res., Vol. 97, pp. 15787-15801. 

  12. Bevis, M., S. Businger, and S. Chiswell (1994), GPS meteorology: Mapping zenith delays onto precipitable water, J. Appl. Meteorol., Vol. 33, No. 3, pp. 379-386. 

  13. Morlet, J. (1982), Wave propagation and sampling theory, Geophysics, Vol. 47, pp. 222-236. 

  14. Rocken, C., R. Ware, T. Van Hove, F. Solheim, C. Alber, J. Johnson, M. Bevis, and S. Businger (1993), Sensing atmospheric water vapor with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eophys. Res. Lett., Vol. 20 No. 23, pp. 2631-2634. 

  15. Solbrig, P. (2000), Untersuchungen ber die Nutzung numerischer Wettermodelle zur Wasserdampfbestimmung mit Hilfe des Global Positioning Systems, Diploma Thesis, Institute of Geodesy and Navigation, University FAF Munich, (In German). 

  16. Song, D. S., and D. A. Grejner-Brzezinska (2009), Remote sensing of atmospheric water vapor variation from GPS measurements during a severe weather event, Earth, Planets and Space, Vol. 61, No. 10, pp. 1117-1125. 

  17. Suparta, W., Z. A. Abdul Rashid, M. A. Mohd Ali, B. Yatim, and G. J. Fraser (2008), Observations of Antarctic precipitable water vapor and its response to the solar activity based on GPS sensing, J. Atmos. Solar-Terr. Phys., Vol. 70, pp. 1419-144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