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 판별모형 개발
The SMC Model: Identification of Artistically Gifted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2 no.1, 2012년, pp.87 - 115  

이선영 (연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정의 소득 수준과 다문화 가정환경을 고려하여 선발된 사회적 배려대상 초등학생들 중 음악, 시각예술, 발레 영역에서 예술적 잠재성을 보이는 예술영재를 판별하는 모형 개발에 관한 것이다. 연구에서 개발한 SMC모형은 예술적 기술, 동기, 창의성을 주요 판별 요소로 포함하며 문서 리뷰 및 교사 추천, 예술 영재성 평가, 종합 평가의 세 단계를 통해서 총체적, 영역 일반적 예술 영재성과 세부적, 영역 특수적 예술 영재성을 평가함으로써 아동의 예술적 잠재성을 조기에 인식하고 판별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의 효과적인 판별은 숨어있는 다수의 잠재적 예술영재들의 발견을 통해서 예술영재교육의 대상과 범위를 확대시키고 이들의 영재성 계발을 가능하게 하는 후속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of an identification model for artistically gifted students from low income and/or multi-cultural families. Given that parental support at early ages is crucial for talent development,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are often dismissed in recognizing their art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술영재가 영재교육의 비주류 대상이 된 것은 무엇에서 비롯되었는가? 예술영재가 영재교육의 비주류 대상이 된 것은 예술 영재성 계발에 대한 잘못된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1970년대 초반 미국 교육부는 영재를 일반 공교육에서 제공되는 교육적 지원 이상의 것을 필요로 하는 특수 아동으로 이들의 잠재성이 일반적 인지 능력, 특별한 학문적 적성, 창의적 사고력, 시각 및 행위 예술, 리더십, 신체운동 능력 등으로 발현된다고 정의하였다(Marland, 1972).
예술영재는 미국에서 어떤 것으로 인식되었는가? 예술영재가 영재교육의 비주류 대상이 된 것은 예술 영재성 계발에 대한 잘못된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1970년대 초반 미국 교육부는 영재를 일반 공교육에서 제공되는 교육적 지원 이상의 것을 필요로 하는 특수 아동으로 이들의 잠재성이 일반적 인지 능력, 특별한 학문적 적성, 창의적 사고력, 시각 및 행위 예술, 리더십, 신체운동 능력 등으로 발현된다고 정의하였다(Marland, 1972). 이후 몇 차례의 개정을 거치면서 영재성 영역에 대한 변화(예: 신체운동 영역 제외)가 있었지만 예술은 현재까지 영재성의 한 영역으로 명시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술 영역은 수학, 과학, 언어와 같은 학문 영역들과는 달리 공교육 체계에서 등한시되어 교육적인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하였고 이에 따라 예술 영재성 계발은 학교 교육이 아닌 부모나 가정의 지원으로 가능한 소수 부유계층 자녀들만을 위한 특별한 엘리트 교육으로 인식되어왔다(이현주 외, 2010).
영재교육은 그동안 어떻게 인식되어 왔는가? 영재교육은 교육적 평등의 이념에 반하는 엘리트주의적 수월성 교육관에 대한 오해와 편견으로 사랑과 반감을 동시에 받아왔다(Davis & Rimm, 1998). 영역별 영재성에 대한 교육적 지원과 관심은 국가, 사회적 이념과 가치에 따라 달라지는데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수학, 과학영재 육성에 주력하는 데 반해 예술영재를 비롯한 비수학, 비과학 영재에 대한 관심과 지원은 상대적으로 미비하다(태진미,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교육과학기술부 (2010). 다문화 가정 학생 현황. http://www.mest.go.kr/web/1111/ko/board/ view.do?bbsId150&boardSeq14710 (검색일: 2010. 12. 20). 

  2. 김말복 (2003). 무용예술의 이해.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3. 문용린 (2004). 지력혁명. 서울: 비즈니스북스. 

  4. 서울대 도덕심리연구실 (2003). MI적성진로진단검사. 서울: 대교. 

  5. 이미경 (2007). 예술영재교육대상자 선발모형 개발 연구(II).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연구원. 

  6. 이미경 (2008). 시각예술영재의 잠재성에 근거한 선발 방법 연구-초등5-6학년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7. 이미경 (2009). 음악영재교육을 위한 선발지침서 개발.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8. 이현주, 이미나, 이화선 (2010). 예술영재의 개인 및 환경적 특성 탐색: 음악, 미술, 무용 영재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0(2), 547-570. 

  9. 태진미 (2009). 국내 음악영재교육의 현황 및 발전방안 탐색. 영재교육연구, 19(3), 729- 758. 

  10. 태진미 (2010). 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예술 활동의 가능성 탐색: 음악 활동을 중심 으로. 영재교육연구, 20(3), 789-807. 

  11. 현경실 (2004). 한국 음악적성 검사. 서울: 학지사. 

  12. 한국교육개발원 (2009). 북한이탈학생의 증가와 교육의 과제. http://www.kedi.re.kr/khome/ main/research/selectPubForm.do (검색일: 2010. 12. 21). 

  13.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06). 예술영재교육 발전방안 연구. 서울: 문화관광부 문화예술 교육과. 

  14.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2011). 예술 영재의 특성. http://www.kiga.or.kr/education/edu03.jsp (검색일: 2011. 1. 13). 

  15. Arts Connection (1992). Talent beyond words: Identifying and developing talent. Brooklyn, NY: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ducation Jacob Javits Gifted and Talented Program. 

  16. Baum, S. M., Owen, S. V., & Oreck, B. A. (1996). Talent beyond words: Identification of potential talent in dance and music in elementary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40, 93-101. 

  17. Bloom, B. S. (Ed.). (1985). Developing talent in young people. NY: Ballantine Books. 

  18. Clark, G. A., & Wilson, T. (1991). Screening and identifying gifted/talented students in the visual arts with Clark's Drawing Ability Test. Roeper Review, 13, 92-97. 

  19. Clark, G. A., & Zimmerman, E. (2001). Identifying artistically talented students in four rural communities in the United States. Gifted Child Quarterly, 45, 104-114. 

  20. Cramond, B., & Kim, K. H. (2008). The role of creativity tools and measures in assessing potential and growth In J. Van Tassel-Baska (Ed.), Alternative assessments with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pp. 203-225). Waco, TX: Prufrock Press. 

  21. Davis, G. A., & Rimm, S. B. (1998).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4th ed.).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22. Ford, D. Y., Harris III, J. J., Tyson, C. A., & Trotman, M. F. (2002). Beyond deficit thinking: Providing access for gifted African American students. Roeper Review, 24, 52-58. 

  23. Frasier, M. M., & Passow, A. H. (1994). Toward a new paradigm for identifying talent potential. Storrs, CT: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24.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Y: Basic Books. 

  25. Haroutounian, J. (2002). Kindling the spark-recognizing and developing musical talen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6. Haroutounian, J. (2008). Musical talent. In J. A. Plucker & C. M. Callahan (Eds.), Critical issues and practices in gifted education: What the research says (pp. 449-467). Waco, TX: Prufrock Press. 

  27. Harrison, C. (2005). Young gifted children: Their search for complexity and connection. Canberra: Early Childhood Australia. 

  28. Hurwitz, A. (1983). The gifted and talented in art: A guide to program planning. Worcester, MA: Davis. 

  29. Kaufman, S. B., & Sternberg, R. J. (2008). Conception of giftedness. In S. I. Pfeiffer (Ed.), Handbook of giftedness in children (pp. 71-91). NY: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30. Lee, S.-Y., Matthews, M. S., & Olszewski-Kubilius, P. (2008). A national picture of talent search and talent search educational program. Gifted Child Quarterly, 52(1), 55-69. 

  31. Marland, S. P. J. (1972).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Report to the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by the U. S. Commissioner of Education (Vol. 1).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32. Miller, R., & Gentry, M. (2010). Developing talents among high-potential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in an out-of-school enrichment program. Journal of Advanced Academics, 21, 594-627. 

  33. Naglieri, J. A. (1997). Naglieri Nonverbal Ability Test. San Antonio, TX: PsychCorp. 

  34. Ohnishi, T., Matsuda, H., Asada, T., Aruga, M., Hirakata, M., Nishikawa, M., et al. (2001). Functional anatomy of musical perception in musicians. Cerebral Cortex, 11, 754-760. 

  35. Oreck, B., Baum, S., & McCartney, H. (2000). Artistic talent development for urban youth: The promise and the challenge. Storrs, CT: National Research Center on Giftedness and Talent, University of Connecticut. 

  36. Oreck, B. A., Owen, S. V., & Baum, S. M. (2003). Validity, reliability, and equity issues in an observational talent assessment process in the performing art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7(1), 62-94. 

  37. Persson, R. S. (2009). The elusive muse: Understanding musical giftedness. In L. V. Shavinina (Ed.),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pp. 727-750). Dordrecht, NL: Springer Science. 

  38. Pfeiffer, S. I., & Jarosewich, T. (2003). Gifted Rating Scales. San Antonio, TX: Psych Corp. 

  39. Piirto, J. (2008). Giftedness in nonacademic domains. In S. I. Pfeiffer (Ed.), Handbook of giftedness in children: Psychoeducational theory, research and best practices (pp. 367-386). New York: Springer. 

  40. Reis, S. M., & Housand, A. M. (2008). Characteristics of gifted and talented learner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cross domains. In F. A. Karnes & K. R. Stephens (Eds.), Achieving excellence: Educating the gifted and talented (pp. 62-81).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41. Renzulli, J. S., & Reis, S. M. (1997).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A how to guide for educational excellence (2nd ed.).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42. Renzulli, J. S., Smith, L. H., White, A. J., Callahan, C. M., Hartman, R. K., Westberg, K. L., et al. (2002).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Mansfield, CT: Creative Learning Press. 

  43. Rogers, K. B. (2006). A menu for options for grouping gifted students. Waco, TX: Prufrock. 

  44. Sousa, D. A. (2003). How the gifted brain learns.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45. Stambaugh, T. (2007). Next steps: An impetus for future directions in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for low-income promising learners. In J. Van Tassel-Baska & T. Stambaugh (Eds.), Overlooked gems: A national perspective on low-income promising learners (pp. 83-88).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 

  46. Subotnik, R. F., Edmiston, A. M., Cook, L., & Ross, M. D. (2010). Mentoring for talent development, creativity, social skills and insider knowledge: The APA Catalyst Program. Journal of Advanced Academics, 21, 714-739. 

  47. Suzuki, S. (1983). Nurtured by Love: The classic approach to talent education. Smithtown, NY: Exposition Press. 

  48. Swanson, J. D. (2006). Breaking through assumptions about low-income, minority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50(1), 11-25. 

  49. Torrance, E. P., Ball, O. E., & Safter, H. T. (1998).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streamlined scoring guide figural A and B. Bensonville, IL: STS 

  50. Valencia, R. R., & Suzuki, L. A. (2001). Intelligence testing and minority students. Thousand Oaks, CA: Sage. 

  51. Van Tassel-Baska, J., Feng, A., Quek, C., & Struck, J. (2004). A study of educato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academic success for underrepresented populations identified for gifted programs. Psychology Science, 46(3), 363-378. 

  52. Van Tassel-Baska, J., Patton, J., & Prillaman, D. (1991). Gifted youth at risk: A report of a national study. Reston, VA: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53. Webster, P. R. (1989). Creative thinking in music: The assessment question. In J. W. Richmond (Ed.), Proceedings of the Suncoast Music Education Forum on Creativity (pp. 40-75). Tampa, FL: University of South Florida. 

  54. Winner, E. (1996a). The rage to master: The decisive case for talent in the visual arts. In K. A. Ericsson (Ed.), The road to excellence: The acquisition of expert performance in the arts and science, sports and games (pp. 271-301). Hillsdale, NJ: Erlbaum 

  55. Winner, E. (1996b). Gifted children: Myths and realities. New York, NY: Basic Books. 

  56. Winner, E. (2004). Art history can trade insights with the sciences.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July 2, B10-12. 

  57. Winner, E., & Martino, G. (1993). Giftedness in non-academic domains: The case of the visual arts and music. In K. Heller, F. Monks, R. J. Sternberg & R. F. Subotnik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2nd ed., pp. 95-110). Oxford: Elsevier. 

  58. Worley II, B. B. (2008). Visual and performing arts. In J. A. Plucker & C. M. Callahan (Eds.), Critical issues and practices in gifted education: What the research says (pp. 735-747). Waco, TX: Prufrock Press. 

  59. Wyner, J. S., Bridgeland, J. M., & Diiulio Jr., J. J. (2007). Achievement trap: How America is failing millions of high-achieving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Washington, DC: Jack Kent Cooke Foundation Civic Enterprises. 

  60. Zimmerman, E. (1997). I don't want to sit in the corner cutting out valentines: Leadership roles for teachers of talented art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41, 33-4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