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프이론을 이용한 도로표지의 혼란정도 평가
An Extent Estimation Caused by Road Sign Using Graphic Theory 원문보기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14 no.2 = no.52, 2012년, pp.157 - 164  

정규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로표지는 도로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운전자에게 안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설물로써, 설치 및 관리기준은 도로법 제57조 및 국토해양부장관령인 도로표지규칙으로 정하고 있다. 하지만 도로표지규칙에서 정하는 사항에 대해 준수하지 않은 경우와 예외사항을 과다 적용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도로표지의 혼란정도를 야기하게 된다. 이를 포함하여, 도로명 안내표지, 출구중심 도로표지 등 다양한 도로표지는 운전자에게 이해하기 어려운 것일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혼란정도가 높아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표지 중 도시지역의 방향표지를 대상으로 하여 혼란정도를 유발시킬 수 있는 도로표지의 요소를 제시하고, 정보표기 한정 개수를 산출하였으며, 혼란정도 인자를 그래프 이론을 통해 모형화하였다. 또한, 그에 따른 도로표지의 혼란정도를 예측하였다. 교차로별 혼란정도의 값과 3년간 교통사고 통계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도로표지의 혼란정도가 교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oad signs serve guide informations for efficient traffic control and are regulated by Road Sign Regulation. But few road managers break the regulation because of civil complaint and cause driver's confusion. Also, as promote the road name guide signs and the new road signs on expressway, the dri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산출된 도로표지의 혼란정도는 운전자의 심리적 혼란, 즉 갑작스런 서행, 일시정지, 차선변경, 유턴, 전방 부주의로 이어지고 이로 인한 결과로 교통사고의 발생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지역의 각 교차로별 교통사고 발생건수를 혼란정도의 값과 비교하여 도로표지의 혼란정도가 교통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보았다.
  • 이러한 문제점을 포함하여, 그래프 이론을 통해 모형화하였고, 그에 따른 도로표지의 혼란정도를 예측하였으며, 혼란정도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상지역의 3년간 교통사고 통계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도로표지의 혼란정도가 교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하였다.
  • 이러한 다양한 도로표지는 운전자에게 이해하기 어려운 것일 수 있으며,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표지 안내체계간 혼란 이전에 도시지역의 방향표지 안내에서 나타나는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요소에 대해 논하고 그 혼란의 정도를 분석하여 감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도로표지의 기본 안내체계의 문제점, 정보과다, 연계성의 결여와 그에 따른 교통에 미치는 영향으로 교통사고 발생건수와 비교하였다. 경로탐색의 오류는 에너지 및 시간의 낭비, 운전자의 심리적 스트레스 등으로 연결되어 교통에 미치는 최종 영향으로 교통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는 혼란정도를 유발시킬 수 있는 도로표지의 요소를 우선 제시하였다. 우선 우리나라만의 특성인 도시내 시설명 안내체계로 인한 문제점을 논하고, 사전 계획 없는 시설명 표기로 인한 도로표지 간 연계성의 미확보, 새로운 시설 및 표기 요구로 인한 과도한 정보의 표기에 대해 그 기준과 실례를 비교하여 문제점을 논하였다.

가설 설정

  • 예산의 문제로서, 지자체의 연간 도로표지 관련 예산은 평균 5억 원 이내로 이는 도로표지에 대한 모든 정비비용으로써, 도로명 안내표지의 전면 설치를 위한 예산의 확보가 어렵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로명 안내표지 도입을 위하여 전국 도시지역에 선도지구 신청을 받았으나, 지자체에서 추진을 꺼려한 원인은 무엇인가? ① 수십년간 운영하고 있는 지점 안내체계가 국민 의식에 정착되어 있어 전면적 체계의 변경은 국민들에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혼란은 다량의 민원으로 연결되며, 그 민원은 설치주체인 시청의 업무가 되기 때문이다. ② 예산의 문제로서, 지자체의 연간 도로표지 관련 예산은 평균 5억 원 이내로 이는 도로표지에 대한 모든 정비비용으로써, 도로명 안내표지의 전면 설치를 위한 예산의 확보가 어렵다는 것이다. ③ 이는 도로표지에 대한 의식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 도로표지가 도로의 부속시설물 중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예전부터 설치되어 다른 정비 없이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도로표지의 오류가 발생하면 큰 문제로 이슈화 시키게 된다.
도로표지의 설치 및 관리기준은 무엇으로 정하고 있는가? 도로표지는 도로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운전자에게 안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설물로써, 설치 및 관리기준은 도로법 제57조 및 국토해양부장관령인 도로표지규칙으로 정하고 있다. 하지만 도로표지규칙에서 정하는 사항에 대해 준수하지 않은 경우와 예외사항을 과다 적용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도로표지의 혼란정도를 야기하게 된다.
도로표지의 역할은 무엇인가? 도로표지는 도로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운전자에게 안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설물로써, 설치 및 관리기준은 도로법 제57조 및 국토해양부장관령인 도로표지규칙으로 정하고 있다. 하지만 도로표지규칙에서 정하는 사항에 대해 준수하지 않은 경우와 예외사항을 과다 적용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도로표지의 혼란정도를 야기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권혁찬, 시인성을 고려한 교통안전표지의 설치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1998 

  2. 김광호, 공무원 순환보직에 관한 연구, 2008 

  3. 국토해양부, SMART Highway 도로기반 핵심기술 개발 1단계 보고서, 한글과 영문서체의 판독거리 차이 측정, 2010 

  4. 국토해양부, 도로표지 제작.설치 및 관리지침, 2010 

  5.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 요인분석, 2008 

  6. 노관섭, 도로의 시선유도시설 형태에 따른 운전자의 시인성 분석 연구, 서울시립대, 박사학위 논문, 1997 

  7. 노관섭 외, 도로표지에 대한 고령 운전자의 인간공학적 특성과 적정 안내지명 개수에 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8권 제2D호, pp. 235-242, 2008 

  8. 박선진 외, 도로안내표지의 정보량과 운전 외 행동이 도로안내표지 탐색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Vol. 21, No. 2, 225-243, 2008 

  9. 박진열, 위험도 산정을 통한 교통개선사업 우선순위 결정방법에 관한 연구, 명지대, 석사학위논문, 2000 

  10. 박희정, 지방도로 관리체계의 개선방안, 1997 

  11. 박호정 외, VAR와 그래프이론을 이용한 시계열의 인과성 분석, 지원환경경제연구, 제12권 제4호, 2003 

  12. 서임기, 운전자의 심리적 특성을 고려한 교차로 안전성 평가모형 개발, 원광대, 박사학위논문, 2009 

  13. 심관보, 교통사고 위험도 지수 산정모델 개발, 2009 

  14. 정규수, 자전거도로의 안내표지 설치 위치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논문집, 제28권 제6호, PP, 102, 2010 

  15. 최병운, 도로표지의 시인거리에 관한 연구, 아주대, 2001 

  16. 미국 공공도로국 자동차안전재단, 도로의 제요인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1963 

  17. 일본 토목연구소, 지정구간 국도중 교통사고와 도로구조와의 관련 분석, 1973 

  18.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Manual on Uniform Traffic Control Devices. USA, 2009 

  19. H. Gene Hawkins, JR., Katie N. Womack, and Jhon M. Mounce, Driver Comprehension of Regulatory Signs, Warning Signs, and Pavement Markings, TRR 1403, 1993 

  20. Helmut T. Zwahlen, Advisory Speed Signs and Curve Signs and Their Effect on Driver Eye Scanning and Driving Performance, TRR 1111, 2006 

  21. Joseph E. Hummer, Supplemental Interchange Signing and Driver Control Behavior, TRR 1213. 

  22. Steve Arquitt, Ron Johnstone, Use of system dynamics modelling in design of an environmental restoration banking institution, 2007 

  23. Transit New Zealand, Manual of Traffic Signs and Markings, New Zealand, 1998 

  24. Queensland Department of Main Road, Traffic and Road Management Manual, Australia, 200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