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탐색
Network Analysis to Describe Service Link for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Program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9 no.1, 2012년, pp.1 - 11  

장숙랑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간호학과 및 간호과학연구소) ,  조성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및 서울대학교 노화고령사회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nurse visiting health service named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Program(CVHCP) requires the service innovations incorporating community support into a local service net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ommunity network in CVHCP and inform improvement in this net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사된 자료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 지도를 작성한 후 네트워크 내에서 보이는 개별 특성에 관한 지표들을 산출하였다.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이 지역사회 자원들과의 네트워크에서 어디에 놓여있는지, 얼마나 중개역할을 하고 있는지, 얼마나 영향력이 있으며, 얼마나 연계자원으로써 알려졌는지를 산출된 지표 값을 통해 해석하고자 하였다. 일개 지역의 사례를 기반으로 한 본 연구를 통해, 맞춤형방문건강관리에서 사업과정 평가의 하나로 연합조직과 협력에 관한 과학적인 측정의 필요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포괄적인 서비스 공급 대안과 개선방안을 네트워크 논리의 견지에서 정리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경기도 일개 시 맞춤형방문건강관리센터의 지역사회자원과의 연계 구조와 특성을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지역사회 자원 네트워크에서 가장 중심에 있는 기관은 복지 중심의 사례관리서비스 제공 기관인 무한돌봄센터였다.
  • 수행 과정에서 서비스 전달의 적정성과 적절성, 전달 조직들의 기능성 등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이들을 평가항목으로 도입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보건사업 실행모형의 중요 부분 중 하나인 지역사회 자원 연합조직의 기능과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 것이며, 보건사업 과정평가에서 새로운 시도이자 중요한 시작이 될 것이라 판단한다. 앞으로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을 수행 중인 253개 시군구 모두에서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용할 필요성도 크며, 과정평가 항목으로 제안해 볼 수 있다.
  • 이 연구의 목적은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을 근간으로 한 파트너쉽 자원의 완전 연결망 연구(Complete network study)이며, 자료 수집 범위 설정은 방문보건센터의 멤버십 관계, 즉 연계 협력 동의관계에 있는 기관 간 사회적 관계 유형을 파악하는 현실주의적 전략(realistic strategies)을 취하였다(Knoke & Yang, 2008).
  •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이 지역사회 자원들과의 네트워크에서 어디에 놓여있는지, 얼마나 중개역할을 하고 있는지, 얼마나 영향력이 있으며, 얼마나 연계자원으로써 알려졌는지를 산출된 지표 값을 통해 해석하고자 하였다. 일개 지역의 사례를 기반으로 한 본 연구를 통해, 맞춤형방문건강관리에서 사업과정 평가의 하나로 연합조직과 협력에 관한 과학적인 측정의 필요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포괄적인 서비스 공급 대안과 개선방안을 네트워크 논리의 견지에서 정리하고자 하였다.
  • 지역사회자원연계는 업무의 상호보완적 역할 및 기능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는 공공 복지서비스를 연결하여, 대상자들의 경제적, 물리적, 사회적 생활 수준의 향상을 도모한다(Park, Kim & Kwon, 2010).

가설 설정

  • 둘째, 기존 연계관계에 대한 재고이다. 연계하고 있으나 그 정도가 미약했던 자원봉사센터는, 현재보다 활발한 연계가 요구되고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사회자원연계의 목적은 무엇인가? 지역사회자원연계는 업무의 상호보완적 역할 및 기능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는 공공 복지서비스를 연결하여, 대상자들의 경제적, 물리적, 사회적 생활 수준의 향상을 도모한다(Park, Kim & Kwon, 2010).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은 무엇을 도모하는가? 지역사회자원연계는 업무의 상호보완적 역할 및 기능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는 공공 복지서비스를 연결하여, 대상자들의 경제적, 물리적, 사회적 생활 수준의 향상을 도모한다(Park, Kim & Kwon, 2010).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의 연계는 대상자에게 보건, 복지, 의료 서비스를 통합적, 포괄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보건의료 서비스와 복지 서비스는 각각 무엇인가? 연계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크게 보건의료 서비스와 복지 서비스의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보건의료 서비스는 무료진료, 치매 및 정신보건센터 의뢰, 건강증진사업 연계, 만성질환관리사업 연계, 재활프로그램 연계, 의료비 지원(미숙아, 희귀 · 난치, 암환자 등) 등이 포함된다. 복지서비스 연계를 통해서는 수급자선정, 장애인활동보조 신청, 가사 및 간병서비스 제공, 학습지도, 장학금지원, 주거환경개선, 외출보조, 말벗지원, 수술 치료비 지원, 차량지원, 공공업무지원, 밑반찬지원, 자립지원, 재정지원, 결연지원, 여가활동지원 등이 가능하다. 그러나 자원 발굴이나 연결 정도가 지역 사정이나 방문간호사들의 개별적인 업무능력에 따라 차이가 크며, 자원 간에 파트너쉽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도 부족한 형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rabasi, A. L. (2003). Linked: the new science of network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71(4), 409. 

  2. Butterfoss, F. D. (2007). Coalitions and partnerships in community health.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 Christakis, N. A., & Folwer, J. H. (2007). The spread of obesity in a large social network over 32 year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7, 370-379. 

  4. Christakis, N. A., & Folwer, J. H. (2008). The collective dynamics of smoking in a large social network.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8, 2249-2258. 

  5. Freeman, L. C., Douglas, R. W., & Romney, A. K. (Eds.). (1989). Research methods in social network analysis. Fairfax, VA: George Mason University. 

  6. Fuller, J. D., Kelly, B., Sartore, G., Fragar L., Tomma A., Pollard, G., & Hazell, T. (2007). Use of social network analysis to describe service links for farmer's mental health. Australian Journal of Rural Health, 15, 99-106. 

  7. Fuller, J. D., Kelly, B., Law, S., Pollard, G., & Fragar, L. (2009). Service network analysis for agricultural mental health. BMC Health Service Research, 9(87), 1-8. 

  8. Gyenggi Welfare Foundation. (2008). Introduction of unlimited care center. Retrieved from http://www.ggwf.or.kr/moohan/company/mhinfo/mhinfo1.cms 

  9. Ham, C. H., Kim T. S., Chung, E. K., & Moon, C. J. (2001). Attitudes toward care management as connecting framework of healthcare and social work within local community. Studies on Older Welfare, 13, 233-282. 

  10. Hawe, P., Webster, C., & Shiell, A. (2004). A glossary of terms for navigating the field of social network analysi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8, 971-975. 

  11. Jung, M., & Cho, B. H. (2007). The influence of community capacity in health status, Health and Social Science, 22, 153-182. 

  12. Jung, M., Jung, Y., Jang S., & Cho, B. H. (2008). The methodology of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1), 83-104. 

  13. Jung, M., Gil, J. P., & Cho, B. H. (2009). The measurement of community capacity using community-based organizations network and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lan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3), 35-48. 

  14. Keating, N. L., O'Malley, J. A., Murabito, J. M., & Smith, K. P. (2011). Minimal social network effects evident in cancer screening behavior. Cancer, 117, 3045-3052. 

  15. Kim, J. K. (2000). Theoretical review on government-NGO relationship: Perspectives on resource-reliance model. Korean Journal of Social Policy, 2, 5-28. 

  16. Kitchovitch, S., & Lio, P. (2011). Community structure in social networks: Applications for epidemiological modelling. PLoS One, 6(7), e22220. doi:10.1371/journal.pone.0022220 

  17. Knoke, D., & Kuklinski, J. H. (1982). Network analysi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18. Knoke D., Yang S. (2008). Social network analysi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19. Lee, I. S. (2003). Integration of community health services based on the clients' needs. Korean Health Promotion Foundation Research Report. Seoul, Korea: College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20. Lee, S. M. (2010). A study on application of program theory-driven evaluation to social service program: focused on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program.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19(3), 315-422.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Guide for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program. Daejeon, Korea: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2. Park, J. E., Kim, C., & Kwon, Y. (2010). Elder's health status,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with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depending on connection to volunteer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1, 448-457. 

  23. Powell, W. W. (1990). Neither market nor hierarchy: network forms of organization.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2, 295-336. 

  24. Provan, K., Veazie, M., Staten, L., & Teufel-Shone, N. (2005). The use of social network analysis to strengthen community partnership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5, 603-613. 

  25. Scott, J. (2010). Social network analysi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26. Seo, Y., Jeong, A. S., Lee, J. E., Shin, J. W., & Kang, S. Y. (2007). The evaluation of networking system between health promotion and other programs at public health center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4(2), 111-121. 

  27. Valente, T. W., Fujimoto, K., Palmer, P., & Tanjasiri, S. P. (2010). A network assessment of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linking communities and universities to reduce cancer dispariti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0, 1319-1325. 

  28. Yoo S. (2009). Health promotion research on community collaboration and participation building: current emphases and direction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4), 83-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