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과거, 현재와 미래
Past, Present, and Future of Home Visiting Healthcare Services based on Public Health Center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2 no.1, 2018년, pp.5 - 18  

이건아 (대한간호협회 보건간호사회) ,  양숙자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우은효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present improvements to the Korean home visiting healthcare service based on analysis of Korean home visiting healthcare services considering recent sociodemographic changes and demands for healthcare services. Methods: This is a review study in which the results are derived through a 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변화과정 및 성과를 분석함으로써 방문건강관리사업의 향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문헌고찰과 자료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한 종설연구이다. 국내외 전자 데이터베이스, Google scholar, 정부기관의 사이트 검색을 통해 방문건강관리사업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 이에 국민의 건강수준 향상과 건강형평성 제고를 위한 우리나라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발전방안으로, 우리나라 방문건강관리사업은 취약계층을 포함한 전 국민을 사업대상으로 확대하여 공공보건사업의 필수사업으로 실시되어야 하며, 지역 단위에서 다양한 방문 건강관리사업을 관리하는 보건소 내 조직이 구성되어야 하고 방문건강관리 전담 인력의 공무원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변화과정 및 성과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사회 환경 및 건강관리서비스 요구 변화 등을 고려한 우리나라 방문 건강관리사업의 발전방안을 제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형평성 제고 및 건강수명 연장을 위한 방문건강관리사업 활성화의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이에 지금까지 시행된 우리나라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변화과정 및 성과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저 출산 및 고령화의 가속화, 보편적 건강권에 대한 요구 증가 등 사회 환경 및 건강관리서비스 요구 변화를 고려한 방문건강관리사업의 향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형평성 제고 및 건강수명 연장을 위한 방문건강관리사업 활성화의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러한 변화 속에 방문건강관리사업의 효율성, 사업운영체계의 효과성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였으며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사업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개선안이 요구되었다. 이에 지금까지 시행된 우리나라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변화과정 및 성과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저 출산 및 고령화의 가속화, 보편적 건강권에 대한 요구 증가 등 사회 환경 및 건강관리서비스 요구 변화를 고려한 방문건강관리사업의 향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형평성 제고 및 건강수명 연장을 위한 방문건강관리사업 활성화의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문건강관리사업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방문건강관리사업은 보건소 중심의 방문건강전문인력들이 가정방문을 하여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저소득층의 재가 급·만성질환자의 빠른 회복과 그 가족의 돌봄 능력 향상, 재활의욕 고취를 위하여 1990년 서울시 5개 시범보건소에 지역보건과를 신설하고 방문간호사업과 이동진료를 전담토록하면서시작되었다(The Seoul Institute, 1995). 당시 방문 간호사업의 법적 근거는 1995년 12월, 공공보건의료체계 정비 및 공공보건의료의 역할확대를 위해 개정된 구 보건소법인 지역보건법(제9조 제12호 “가정·사회복지시설 등을 방문하여 행하는 보건의료사업”) 개정을 통하여 마련되었다.
기존의 방문건강관리사업은 통합서비스 관점에서 간호-의료-복지 제반 요구를 충족시키는 어떤 사업으로 시행되게 되었는가?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보건소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시행되었던 방문간호사업은 외환위기 이후 노인·저소득층 등 의료사각지대에 있는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및 실업 여성 전문직 인력의 고용 창출을 위한 공공근로사업의 일환으로 1999년부터 2000년까지 한시적 확대 시행되었으며, 2001년 전국 보건소의 정규인력을 통한 방문보건사업이 전면 시행되었으나 인력부족 등으로 명맥만 유지되다 2003년 ‘대도시 방문보건사업’이 시범적으로 시행되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HW] &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KHPI], 2018). 이후 방문건강관리사업은 2007년 지역사회 취약계층의 건강형평성 보장 및 취약계층의 평생건강관리를 위하여 생애주기별 특성에 맞는 건강생활실천 및 질병 예방프로그램, 만성질환자 등의 건강관리서비스를 통합서비스(one-stop-service)관점에서 간호-의료-복지 제반 요구를 충족시키는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독립적 사업으로 시행되었다(MHW, 2007). 2013년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에 포함되어 시행되고 있으며(Chung-Ang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AUIACF], 2014), 2014년부터는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뿐만 아니라 시범적으로 시행된 ‘읍면동 복지허브화 사업’,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사업’에 포함되어 지역주민 밀착형의 다양한 형태의 방문건강관리사업으로 실시되고 있다.
1999년 의료사각지대 대상자를 대상으로 방문간호사업을 실시할 때 사업운영체계는 어떠했는가? , 2002). 당시 사업운영체계는 보건지소와 보건진료소를 포함하여 보건소에서 임시직 신규 채용된 공공근로 방문간호사 3,188명을 포함한 사업수행인력으로 방문간호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직접 서비스 제공 수행 및 관리하였으며, 권역별 구성된 5개 간호대학협의체에서 방문간호사업의 전담인력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이 이루어졌다(MHW, 2002; VNAK,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urns, T., Knapp, M., Catty, J., Healey, A., Henderson, J., Watt, H., & Wright, C. (2001). Home treatment for mental health problems: a systematic review.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5(15), 1-139. https://doi.org/10.3310/hta5150 

  2. Chung-Ang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AUIACF). (2014, November). Developing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visiting program(Issue Brief No. policy 14-18).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trieved April 20, 2018, from http://www.khealth.or.kr/b/10/948?sALL &q%EB%B0%A9%EB%AC%B8%EA%B1% B4%EA%B0%95 

  3. Health Quality Ontario. (2013). In-home care for optimizing chronic disease management in the community: an evidence-based analysis. Ontario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Series, 13(5), 1-65. Retrieved April 20, 2018, from https://www.ncbi.nlm.nih.gov/ pubmed/?termIn-home+care+for+optimiz ing+chronic+disease+management+in+the +community%3A+an+evidence-based+analysis 

  4. Hyoung, H. K., & Jang, H. S. (2011).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among hypertension group, DM group, and hypertension DM group for the aged provided with customized home care service by visiting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1), 11-21. https://doi.org/10.12799/jkachn. 2011.22.1.11 

  5. In-Ha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IHUIACF). (2016). The development of vulnerable classes health management services model on integrated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gram.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Press. 

  6. Jang, H. S. (2014). The effect of case management for clients with hypertension in home visiting health servic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8(2), 258-269. http://dx.doi.org/10.5932/JKPHN.2014.28.2.258 

  7. Jeju National University (JNU). (2013). 2012 Yearbook of home visiting healthcare service.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trieved April 20, 2018, from http://www.khealth.or.kr/kps/publish/view?menuIdMENU00888&page_noB2017001&pageNum1&siteId&srch_text2012% EB%85%84+%EB%B0%A9%EB%AC%B8% EA%B1%B4%EA%B0%95%EA%B4%80%EB %A6%AC%EC%82%AC%EC%97%85+%EC %97%B0%EB%B3%B4&srch_cate&srch_typeALL&str_clft_cd_list&str_clft_cd_type_list&board_idx7765 

  8. Kim, J., Lee, T., Lee, J., Shin, S., & Lee, E. (2010). A cost benefit analysis of individual home visiting health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1(3), 362-373. https://doi.org/10.12799/jkachn.2010.21.3.362 

  9. Ko, I. S., Kim, C. J., Lee, T. W., Lee, K. J., Kim, E. S., Ma, H. Y., & Lee, Y. S. (2002). Evaluation of government assisted visiting nursing services of health center in 2000.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3), 344-354. https://doi.org/10.4040/jkan.2002.32.3.344 

  10. Ko, I. S., Kim, G. S., Lim, M. H., Lee, K. J., Lee, T. W., Park, H. S., Lee, H. S., Kim, E. Y., Chung, S. K., & Choi, J. M. (2007). Effects of health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self-care of hypertension for visiting nursing cli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1(2), 134-145. 

  11. Ko, Y., & Lee, I. S. (2011). Cost-benefit analysis of home visiting care for vulnerable populations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4), 438-450. https://doi.org/10.12799/jkachn.2011.22.4.438 

  12.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2005, December). Evaluation of home visiting healthcare program at urban areas in 2003-2004(Issue Brief No. private -elderly public health-2005-83). Gwache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trieved April 20, 2018, from http://www.ndsl. kr/ndsl/search/detail/report/reportSearchResultDetail.do?cnTRKO201100002620 

  1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2008, February). Development for evaluation system of customized home health care program(Issue Brief No. policy-public health-2008). Gwache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trieved April 20, 2018, from http://www.ndsl.kr/ndsl/ search/detail/report/reportSearchResultDeta il.do?cnTRKO201600012881 

  14. Lee, H. J. (2016). The characteristics and issues in the reform of welfare delivery system in Seoul. Seoul Economic Bulletin, 131(2), 12-19. Retrieved April 20, 2018, from https://www.si.re.kr/economic?booknumbering21290 

  15. Lee, T. W. (2004). Economic evaluation of visiting nurse services for the low-income elderly with long-term care nee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1), 191-201. https://doi.org/10.4040/jkan.2004.34.1.191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HW). (2002). Annual report on health and welfare in 2001. Gwache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trieved April 20, 2018,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 030301vw.jsp?PAR_MENU_ID03&MENU_ ID032901&CONT_SEQ335425&page1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HW). (2007). Annual report on health and welfare in 2006.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trieved April 20, 2018,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 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36195&page1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HW). (2017). A manual of customized welfare system of Eup, Myeon and Dong areas in 2017.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trieved April 20, 2018,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 vw.jsp?PAR_MENU_ID03&MENU_ID032 901&CONT_SEQ338384&page1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HW) &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KHPF). (2011). Health promotion service guideline on a public health center in 2011.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trieved April 20, 2018, http://www.khealth. or.kr/b/60?&di&bf&bi3249&page0 &SRCH_TYPEALL&SRCH_TEXT2011%EB%85%84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HW) &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KHPF). (2012). Satisfaction survey report on home visiting healthcare service in 2012.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trieved April 20, 2018, from http://www.khealth.or.kr/ kps/publish/view?menuIdMENU00888&pa ge_noB2017001&pageNum1&siteId&s rch_text2012%EB%85%84%EB%8F%84+%EB%B0%A9%EB%AC%B8%EA%B1%B4% EA%B0%95%EA%B4%80%EB%A6%AC%E C%82%AC%EC%97%85+%EB%A7%8C%E C%A1%B1%EB%8F%84+%EC%A1%B0%EC%82%AC+%EB%B3%B4%EA%B3%A0%EC%84%9C&srch_cate&srch_typeALL&st r_clft_cd_list&str_clft_cd_type_list&board_idx6509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HW) &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KHPI). (2018). Integrated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gram in 2018: Home visiting healthcare.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trieved April 20, 2018, from http://www.khealth.or.kr/kps/publish/view?menuIdMENU00890&page_noB201700 3&pageNum1&siteId&srch_text2018% EB%85%84+%EC%A7%80%EC%97%AD% EC%82%AC%ED%9A%8C+%ED%86%B5% ED%95%A9%EA%B1%B4%EA%B0%95%EC %A6%9D%EC%A7%84%EC%82%AC%EC% 97%85+%EC%95%88%EB%82%B4%28%E C%B4%9D%EA%B4%84%29&srch_cate&srch_typeALL&str_clft_cd_list&str_clft_cd_type_list&board_idx10049 

  22. Munns, A., Watts, R., Hegney, D., & Walker, R. (2016). Effectiveness and experiences of families and support workers participating in peer-led parenting support programs delivered as home visiting programs: a comprehensive systematic review. JBI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and implementation reports, 14(10), 167-208. https://doi.org/10.11124/JBISRIR-2016-003166 

  23. Nam, H. K., (2016). A research on the health care and the demand for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for vulnerable children in comparison with non-vulnerable children in a regio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3), 556-569. http://dx.doi.org/10.5932/JKPHN.2016.30.3.556 

  24. Park, K. M., Kim, C., Park, M. H., Kim, H. R., & Shin, A. M. (2010). Effects of home visiting care program fo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provided by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4(1), 71-81. 

  25.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2011, December). Effects of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care program on health promotion and employment(Issue Brief No. policy 11-18).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trieved April 20, 2018, from http://www.khealth.or.kr/b/10/831?sALL&q%EB%B0%A9%EB%AC%B8%EA%B1%B4%EA%B0%95 

  26. Tappenden, P., Campbell, F., Rawdin, A., Wong, R., & Kalita, N. (2012). The clinical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home-based, nurse-led health promotion for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16(20), 1-72. http://doi.org/10.3310/hta16200 

  27. The Seoul city. (2017). Manual of 'Neighborhood Community Service Center' program: version 1. Seoul: The Seoul City Press. 

  28. The Seoul Institute. (1995, December). Home-based service provision for the elderly in Seoul (Issue Brief No. SDI-95-R-30). Seoul: The Seoul City Press. Retrieved April 20, 2018, from http://opengov.seoul.go.kr/research/6415330 

  29. The Visiting Nurse Association in Korea (VNAK). (2013). Understanding and prospect of home visiting healthcare service. Seoul: The Visiting Nurse Association in Korea. 

  30. Yun, S. N., Lee, I. S., Hyun, H. J., You, I. J., Kim, J. N., & Bae, J. H. (1995). A study for quality assurance of visiting nurses service of a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6(2), 275-2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