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곡(石斛)이 흰쥐의 뇌조직출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ndrobii herba against Intracerebral Hemorrhage in Rats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27 no.3, 2012년, pp.83 - 88  

이정동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경혈학교실) ,  김연섭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경혈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s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s of water extract of Dendrobii herba on intracerebral hemorrhage(ICH), Method : ICH was induced by the stereotaxic intrastriatal injection of bacterial collagenase type IV in Sprague-Dawley rats. After the water extracts of Dendrobii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인은 뇌부종과 뇌조직 염증반응에 미치는 石斛의 효능을 관찰하기 위하여 흰쥐의 선조체 내에 콜라겐 분해효소(collagenase)를 주입하여 출혈을 유발하였으며, 石斛 열수추출물을 3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이후 뇌조직출혈 부위의 크기와 뇌부종의 비율을 측정하고, 뇌출혈 주변부에서 MPO를 특징적으로 발현하는 중성백혈구의 침착과 iNOS 양성반응 세포의 변화를 면역형광과 면역조직화학염색으로 관찰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본인은 뇌부종과 뇌조직 염증반응에 미치는 石斛의 효능을 관찰하기 위하여 흰쥐의 선조체 내에 콜라겐 분해효소(collagenase)를 주입하여 출혈을 유발하였으며, 石斛 열수추출물을 3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이후 뇌조직출혈 부위의 크기와 뇌부종의 비율을 측정하고, 뇌출혈 주변부에서 MPO를 특징적으로 발현하는 중성백혈구의 침착과 iNOS 양성반응 세포의 변화를 면역형광과 면역조직화학염색으로 관찰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石斛에 관한 여러 실험적 연구는 어떤 효능을 보고하였는가? 石斛에 관한 실험적 연구로 항산화 작용,13) 골다공증 예방효과,14) 면역조절 효과,15) 항염증 효과,16) 신경계질환 예방효과17)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18) 등이 보고되었다.
뇌부종이 ICH의 임상예후판단 지표가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1) ICH로 인한 신경학적 손상은 물리적인 뇌조직의 직접손상, 세포독성에 의한 세포자연사(apoptosis)와 괴사(necrosis), 혈관성으로 생기는 뇌부종및 염증반응 등을 들 수 있다.2,3) 특히 뇌부종은 ICH를 포함한 여러 뇌조직 손상에서 뇌혈관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의 손상과 뇌조직의 염증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데,4,5)임상증상을 악화시키는 주요 인자일 뿐만 아니라 임상예후판단의 지표가 된다.6) 뇌조직의 출혈은 살균성과 반응이 빠른 산화제(reactive oxidant)인 MPO-H2O2-Cl-system의 차아염소산(hypochlorous acid)과 차아염소산염(hypochlorite)을 생산하여 염증반응을 지속시키고 확장시키는 MPO를 특징적으로 발현하는 중성백혈구의 침윤을 동반한다.
뇌출혈에 의한 신경학적 손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뇌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은 뇌의 국소적인 부위에서 일어나고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amorrhage)보다 두 배의 유병율을 보이고 있다.1) ICH로 인한 신경학적 손상은 물리적인 뇌조직의 직접손상, 세포독성에 의한 세포자연사(apoptosis)와 괴사(necrosis), 혈관성으로 생기는 뇌부종및 염증반응 등을 들 수 있다.2,3) 특히 뇌부종은 ICH를 포함한 여러 뇌조직 손상에서 뇌혈관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의 손상과 뇌조직의 염증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데,4,5)임상증상을 악화시키는 주요 인자일 뿐만 아니라 임상예후판단의 지표가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Jorgensen HS, Nakayama H, Raaschou HO, Olsen TS. Intracerebral hemorrhage versus infarction: strok severity, risk factors, and prognosis. Ann Neurol. 1995 ; 38(1) : 45-50. 

  2. Qureshi AI, Tuhrim S, Broderick JP, Batjer HH, Hondo H, Hanley DF.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N Engl J Med. 2001 ; 344(19) : 1450-60. 

  3. Juvela S. Risk factors for impaired outcome after spontaneous intercerebral hemorrhage. Arch Neurol. 1995 ; 52(12) : 1193-1200. 

  4. Xi G, Keep RF, Hoff JT. Mechanisms of brain injury after intercerebral hamorrhage. Lancet Neurol. 2006 ; 5(1) : 53-63. 

  5. Abbott NJ. Imflammatory mediators and modulation of blood-brain barrier permeability. Cell Mol Neurobiol. 2000 ; 20 : 131-47. 

  6. Unterberg AW, Stover J, Kress B, Kiening KL. Edema and brain trauma. Neuroscience. 2004 ; 129 : 1019-27. 

  7. Malle E, Furtmuller PG, Sattler W, Obinger C. Myeloperoxidase: a target for new drug development? Br J Pharmacol. 2007 ; 152(6) : 838-54. 

  8. Lee ST, Chu K, Jung KH, Kim SJ, Kim DH, Kang KM. Anti-inflammatory mechanism of intravascular neural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hamorrhagic stroke. Brain. 2008 ; 131(Pt3) : 616-29. 

  9. Nathan C. Neutrophils and immunit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Nat Rev Immunol. 2006 ; 6(3) : 173-82. 

  10. Filep JG, El Kebir D. Neutrophil apoptosis: a target for enhancing the resolution of inflammation. J Cell Biochem. 2009 ; 108(5) : 1039-46. 

  11. Karupiah G, Xie QW, Buller RM, Nathan C, Duarte C, MacMicking JD. Inhibition of viral replication by interferon-gamma-induced nitric oxide synthase. Science. 1993 ; 261(5127) : 1445-8. 

  12. Herbology department of all-korea oriental medicine colleges. Herbalogy. Seoul : Youngrimsa. 2004 : 647-9. 

  13. Kim YG, Yang GH, Cho SI. Anti-oxidative Effects of Dendrobii Herba on Toxic Agent Induced Kidney Cell Injury. Kor J Herbology. 2005 ; 20(4) : 53-60. 

  14. Han HJ, Kim JH, Cho HB, Choi GS. Effects of HerbaDendrobii on the ovariectomized rat model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J Oriental Gynecology. 2000 ; 13(2) : 120-35. 

  15. Park SD, Lee GH, Lee YS, Kwun YK, Park JH, Choi SM, Shin SW. Comparison of Immunomodualtory Effects of Water-extracted Adenophorae Radix, Liriopis Tuber, Dendrobii Herba, Polygonati Odorati Rhizoma and Polygonati Rhizoma. Kor J Orient Physiol & Pathol. 2007 ; 21(2) : 414-24. 

  16. Min HB, Roh SS, Seo HS. Effects of Dendrobii herba and Punica granatum Extract on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wrinkle and Whitening. Kor J Orient Med Ophthalmol & Otolaryngol & Dermatol. 2010 ; 23(3) : 11-32. 

  17. Mizue O, Wenzhe F, Koji H, Quanbo X, Yasuhiro T, Katsuko K, Tsuneo N, Tomohiro S, Kenji T, and Shigetoshi K. Active-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traditional nourishing-tonic herbal medicines and active constituents of Rhodiola sacra. J Ethnopharmacol. 1999 ; 67 : 111-9. 

  18. Yoon MY, kim JY, Hwang JH, Cha MR, Lee MR, Jo KJ, Park HR. Protective Effect of Extracts from Dendrobium nobile Lindl. on H2O2-induced Neurotoxicity in PC12 cells. Kor J Soc Appl Biol Chem. 2007 ; 50(1) : 63-7. 

  19. Rosenberg GA, Mun-Bryce S, Wesley M, Kornfeld M. Collagenase induced intracerebral hemorrhage in rats. Stroke. 1990 ; 21 : 801-7. 

  20. Wang X, Mori T, Sumii T, Lo EH. Hemoglobin -induced cytotoxicity in rat cerbreal cortical neurons: caspase activation and oxidative stress. Stroke. 2002 ; 33 : 1882-8. 

  21. Ricon F, Mayer S. Novel therapies for Intracerebral Hemorrhage. Curr Opin Crit Care. 2004 ; 10 : 94-100. 

  22. Qureshi A, Ali Z, Suri M, Shuaib A, Baker G, Todd K, Guterman L, Hopkins L. Extracellular glutamate and other amino acids in experimental Intracerebral Hemorrhage: an in vivo microdialysis study. Crit Care Med. 2003 ; 31 : 1482-9. 

  23. Dziedzic T, Bartus S, Klimkowicz A, Motyl M, Slowik A, Szczudlik A. Intracerebral Hemorrhage triggers interleukin-6 and interleukin-10 release in blood. Stroke. 2002 ; 33 : 2334-5. 

  24. Castillo J, Davalos A, Alvarez-Sabin J, Pumar J, Leira R, Silva Y, Montaner J, Kase C. Molecular signatures of brain injury after intracerebral hemorrhage. Neurology. 2002 ; 58 : 624-9. 

  25. Megyeri P, Abrah?m C, Temesv?ri P, Kov?cs J, Vas T, Speer C. Recombinant human tumor necrosis factor alpha constricts pial arterioles and increasesblood-brain barrier permeability in newborn piglets. Neurosci Lett. 1992 ; 148 : 137-40. 

  26. Reese TS, Karnovsky MJ. Fine structural localization of a blood-brain barrier to exogenous peroxidase. J Cell Biol. 1967 ; 34 : 207-17. 

  27. Brightman MW. The anatomic basis of the blood-brain barrier, in ;Imlication of blood-brain barrier and its manipulation. Plenum Press NY. 1989 ; 1 : 53-83. 

  28. Bundgaard M, Pathways across the vertebrate blood-brain barrier ;Morpholo gica view points. Ann NY Acad Sci. 1986 ; 48 1: 7-18. 

  29. Gasche Y, Fujimura M, Morita-Fujimura Y, Copin JC, Kawase M, Massengale J, Chan PH. Early appearance of activated matrix metalloproteinase-9 after focal cerebral ischemia in mice :apossible role in blood-brain barrier dysfunction. J Cereb Blood Flow Metab. 1999 ; 19 : 1020-8. 

  30. Pappius HM. Effects of steroids on cold injury edema, in Reulen Hj, Schurmann K(eds). Steroids and Brain Edema Berlin Springer Verlag. 1972 : 57-63. 

  31. Zurch KJ. Neuropathological aspects and histological criteria of brain edema and brain swelling. Brain Edema Springer New York. 2009 : 95-116. 

  32. Kaltzo I. Neuropathological aspects of brain edema. J Neuropathexp Neurol. 1967 ; 26 :1-14. 

  33. Feuerstein GZ, Wang X, Barone FC. The role of cytokines in the neuropath ology of stroke and neurotrauma. Neuroimmunomodulation. 1988 ; 5(3-4) : 143-59. 

  34. Savill J, Dransfield I, Gregory C, Haslett C. A blast from the past:Clearance of apoptotic cells regulates immune responses. Nat Rev Immunol. 2002 ; 2 : 965-75. 

  35. Gilroy DW, Lawrence T, Perretti M, Rossi AG. Inflammatory resolution: New opportunities for drug discovery. Nat Rev Drug Discov. 2004 ; 3 : 401-16. 

  36. Bowes M, Rothlein R, Fagan S, Zivin J. Monoclonal antibodies preventing leukocyte activation reduce experimental neurologic injury and enhance efficacy of thrombolytic therapy. Neurology. 1995 ; 45 : 815-9. 

  37. Eiserich J, Hristova M, Cross C, Jones A, Freeman B, Halliwell B, van der Vliet A. Formation of nitric oxide drived inflammatory oxidants by myeloperoxidase in neutrophils. Nature. 1998 ; 391 : 393-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