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항 이후 일본불교의 침투에 따른 사원의 건립과 건축특성 개관
A Review of the Infiltration of Japanese Buddhism and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Temples since the Opening of Ports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1 no.2, 2012년, pp.53 - 74  

김윤정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  서치상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  이미나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overview and review the infiltration of Japanese Buddhism and it's influences on the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Buddhist temple from the opening of ports to Independence Day of Korea. Infiltration of Japanese Buddhism had been sustained during 70 y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본불교의 해외포교활동은 어떻게 이루어 졌는가? 일본불교의 해외포교활동은 자국의 근대화와 병행하여 행해진 것으로 19세기 말에 일본인의 해외이주 및 식민지 개척에 기본적으로 호응하는 관계에서 실행되었다. 당시 일본정부가 조선에 종교의 전래와 포교활동을 종용한 것은 이러한 관점에서 비롯한 것이었다.
부산은 왜 일본인 집단 거주 지역이 되었는가? 최초의 개항지인 부산의 경우 1678년 설치된 초량왜관의 땅을 승계한 지역 일대가 이주 일본인들의 거류지로 설정되면서 대표적인 일본인 집단거주 도시가 되었다. 개항 이래 용두산을 중심으로 한 거류지 일대에 일본인 주거 시설, 경찰서, 은행, 각종 상점 등이 집중적으로 들어서면서 이 지역은 일찍부터 부산의 도심이 되었다.
정부와 결탁되어 있던 일본불교 세력 어떤 활동을 하였는가? 이상의 내용에 의하면 그들은 개항 초기 일본 거류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포교활동에서 한인 교화로 초점을 바꾸고 이를 위해 간접포교의 방법으로 한인만을 수용하는 유치원, 소학교, 자혜병원, 오락장 등을 설립할 것을 통감에게 청원하면서 경성, 평양, 부산, 원산등 전국 각지에 별원을 건립하여 교세를 확장해 나가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개항 이래 일본불교가 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종교적 차원의 포교 이외에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이를 조선인사회로 확장해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국가기록원 소장 조선총독부 기록물 

  2. 국가기록원 소장 지적원도 

  3. 국가기록원 소장 조선총독부 관보 

  4. 조선총독부 통계연보 

  5. 朝鮮新聞社編輯部, 倂合後의 仁川, 1911 

  6. 靑柳南冥, 朝鮮宗敎史, 1911 

  7. 釜山商業會議所, 釜山要覽, 1912 

  8. 釜山甲寅會, 日鮮通交史附釜山史後篇, 1916 

  9. 朝鮮開敎監督部, 朝鮮開敎五十年誌, 1927 

  10. 釜山出版協會, 新釜山大觀, 1935 

  11. 吳村圓心, 朝鮮國布敎日誌 眞宗史料集成 제11권, 1975 

  12. 손정목, 일제강점기 도시화과정 연구, 일지사, 1996 

  13. 한국불교근현대사연구회, 신문으로 본 한국불교 근현대사 [上], 1999.5 

  14. 군산시사편찬위원회, 군산부사, 2000 

  15.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사, 2002 

  16. 문화재청, 군산 동국사 대웅전 기록화조사보고서, 2005 

  17. 坂本悠一.木村健二, 近代植民地都市 釜山, 櫻井書店, 2007 

  18. 홍순권 외, 부산의 도시형성과 일본인들, 선인, 2008 

  19. 문화재청, 목포 중앙교회(구 동본원사 목포별원) 기록화조사보고서, 2008 

  20.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일제시대 불교 정책과 현황 1, 2 - 조선총독부 관보 불교관련 자료집, 2009 

  21. 홍순권 외, 일제강점하 부산의 지역개발과 도시문화, 선인, 2009 

  22. 교양교재편찬위원회, 불교문화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9.2 

  23. 김성도, 근대 일본 사회와 문화, 도서출판 고려, 2008.11 

  24. 김성도, 한일전통건축, 도서출판 고려, 2009.12 

  25. 김성도, 근대기 한일 불교 건축, 도서출판 고려, 2010.12 

  26. 김순석, 조선총독부의 불교정책과 불교계의 대응,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2 

  27. 김만수, 일제와 미군정기의 종교정책이 불교 종립학교에 미친 영향,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8. 이미나.서치상, 일본불교의 침투와 한국불교 사찰건축에 대한 영향(I) -개항초 부산 지역의 일본사찰 건립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발표논문집, 2010.11 

  29. 김윤정.서치상, 일본불교의 침투와 한국불교 사찰건축에 대한 영향(II) -일제의 사찰령 체제하 불사건축의 변화-, 한국건축역사학회발표논문집, 2010.11 

  30. 이미나, 개항 이후 일본불교의 침투와 한국 사찰건축의 변화,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