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산균과 효모로 구성된 혼합 생균제를 양돈 사료에 첨가하여 양돈용 발효사료를 제조하기 위한 최적 발효조건 구명 및 발효사료 급여에 의한 돼지 장내 환경변화를 평가하고, 원료사료별 발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 양돈 발효사료의 유산균과 효모 수를 측정하였을 때 사료 내 혼합 생균제 첨가수준은 0.25%, 수분 함량은 40~50% 정도가 적정하였다. 2. 비육돈에 발효사료를 급여하였을 때가 발효되지 않은 사료를 급여하였을 때보다 소화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분 중 휘발성지방산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3. 양돈용 단미사료의 발효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휘발성지방산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비트펄프와 타피오카가 우수한 발효기질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feed additives including probiotics, moisture and feed ingredients and the effect of fermented feed on digestibility and volatile fatty acid (VFA) level in finishing pigs. Feed was mixed with microbials including Saccharomyces, Lactobacillus, En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게 제조된 발효사료는 원료사료의 영양 성분과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유용물질로 인하여 사료적 가치가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양돈 사료에 유산균과 효모로 구성된 혼합 생균제를 첨가하여 양돈용 발효사료 제조를 위한 최적 발효조건 구명 및 발효사료 급여에 의한 돼지 장내 환경변화를 평가하고, 원료사료별 발효능을 측정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유산균과 효모로 구성된 혼합 생균제를 양돈 사료에 첨가하여 양돈용 발효 사료를 제조하기 위한 최적 발효조건 구명 및 발효사료 급여에 의한 돼지 장내 환경변화를 평가하고, 원료사료별 발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효사료란? 발효사료는 소화성 또는 비소화성 원료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사료로 균체가 포함되어 있어 생균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양돈용 발효사료는 사료비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개선되면서 주목받기 시작하였고, 현재 소화율이 낮은 조사료 및 농산부산물을 이용하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발효사료를 제조할 때 중요한 점은? 상당수의 양돈 농가에서는 발효사료를 직접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발효사료 급여로 돼지의 생산성 향상 및 돈사 악취저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Wilfart 등, 200719); 송과 하, 200720); 한 등, 196721)). 발효사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발효 미생물과 미생물 증식을 위한 원료사료의 선발이 중요하다. 현재 발효사료 제조를 위하여 많이 사용하는 미생물은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plantarum, Saccharomyces cerevisiae, Aspergillus oryzae, 및 Bacillus subtillis 등이 있고 (Ghanem 등, 20004)), 대부분 혼합 미생물 제재를 사용하고 있다.
발효사료를 제조시 사용하는 미생물의 역할은 무엇인가? 발효사료 제조를 위한 원료는 발효가 잘 되는 성분과 잘 되지 않는 성분이 적절히 혼합되어 있다 (Anugwa 등, 19891); Schoenherr 등, 198914); Stahly와 Cromwell, 198616)). 미생물은 발효과정에서 사료 내 영양분을 분해하여 증식하고, 발효산물로 생성된 유기산, 당류 및 미네랄 등은 유익한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한다 (Kim 등 20067); Lee 등 200910); Stronach 등 198917)). 이렇게 제조된 발효사료는 원료사료의 영양 성분과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유용물질로 인하여 사료적 가치가 크게 개선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nugwa, F. O. I., Varel, V. H., Dickson, J. S., Pond, W. G. and Krook, L. P. 1989. Effects of dietary fiber and protein concentration on growth, feed efficiency, visceral organ weights and large intestine microbial populations of swine. J. Nutr. 119:879-886. 

  2. Canibe, N., Højberg, O., Badsberg, J. H. and Jensen, B. B. 2007. Effect of feeding fermented liquid feed and fermented grain on gastrointestinal ecology and growth performance in piglets. J. Anim. Sci. 85: 2959-2771. 

  3. Duncan, D. 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11:1-42. 

  4. Ghanem, N. B., Yusef, H. H. and Mahrouse, H. K. 2000. Production of Aspergillus terreus xylanase in solid-state cultures: application of the Plackett-Burman experimental design to evaluate nutritional requirements. Bioresour. Technol. 73(2): 113-121. 

  5. Gilliland, S. E. 1979. Beneficial interlationships between certain microorganism and humanism: Candidate microorganism for use as dietary adjuncts. J. Food Prot. 42:164-167 

  6. Kim, J. H., Kim, C. H. and Ko, Y. D. 2001.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hermented feed on performance of finishing pigs and fecal ammonia gas emission. Kor. J. Anim. Sci. Technol. 43:193-202. 

  7. Kim, H. Y., Song, Y. M., Kang, Y. S., Kim, C. H., Lee, S. D., Chowdappa, R., Ha, J. H. and Kang, S. M. 2006. The effect of fermented persimmon shell diet supplementation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parameters in finishing pigs. Anim. Sci. J. 77:314-319. 

  8. Langston, C. W. and Bouma, C. 1960. A study of the microorganism grass silage : II the Lactobacill. Appl. Microbiol. 8: 23-234. 

  9. Lee, K. Y. and Lee, S. T. 1995. Yeast biomass production from concentrated sugar cane stillage using a thermotolerant candida rugosa. J. Microbiol. Biotechnol. 5:114-116. 

  10. Lee, S. W., Ham, S. N., Shin, T. S., Kim, H. K., Yeon, I. J. and Kim, K. Y. 2009. Resource of food waste using indigenous bacteria isolated from soils. J. KSEE. Kor. 31:35-41. 

  11. NRC. 1998. Nutrient requirement of pigs. 10th Edition. National Research council, Academy Press. Washington, D. C., USA. 

  12. SAS. 1996. $SAS/STAT^{(R)}$ software for PC.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13. Scheuermann, S. E. 1993. Effect of the probiotic Paciflor (CIP 5832) on energy and protein metabolism in growing pigs. Anim. Feed Sci. Technol. 41(3):181-189. 

  14. Schoenherr, W. D., Stahly, T. S. and Cromwell, G. L. 1989. The effects of dietary fat or fiber addition on yield and composition of milk from sows housed in a warm or hot environment. J. Anim. Sci. 67:482-495. 

  15. Scholten, R. H. J., Peet-Schwering, C. M. C., Verstegen, M. W. A., Hartog, L. A., Schrama, J. W. and Vesseur, P. C. 1999. Fermented co-products and fermented compound diets for pigs: a review. Anim. Feed Sci. Technol. 82(1-2):1-19. 

  16. Stahly, T. S. and Cromwell, G. L. 1986. Responses to dietary additions of fiber alfalfa meal) in growing pigs housed in a cold, warm or hot thermal environment. J. Anim. Sci. 63:1870-1876. 

  17. Stronach, S. M., Rudd, T. and Lester, J. N. 1989. Anaerobic fermentation process in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Springererlag, Berlin Heidelberg, New York, Tokyo. 

  18. Wang, J. F., Zhu, Y. H., Li, D. F., Wang, Z. and Jensen, B. B. 2004. In vitro fermentation of various fiber and starch sources by pig fecal inocula. J. Anim. Sci. 82:2615-2622. 

  19. Wilfart, A., Montagne, L.P., Simmins, H., Van Milgen, J. and Noblet, J. 2007. Sites of nutrient digestion in growing pigs: Effect of dietary fiber. J. Anim. Sci. 85: 76-983. 

  20. 송영민, 하지희. 2007. 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사료의 사료적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농업기술연구소보. 20:153-162. 

  21. 한인규, 최창애, 박태진, 정숙근. 1967. 고구마 양돈사료에 관한 시험. 축산시험연구소보. 453-4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