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별 가축분뇨의 질소부하 및 자원화 용량 평가
Assessment of Regional-Based Nitrogen Loading and Recycling Capacity of Livestock Manure 원문보기

축산시설환경학회지 = Journal of livestock housing and environment, v.18 no.3, 2012년, pp.235 - 246  

류종원 (상지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대농업의 여러 가지 폐해를 시정하고 지속가능한 농업시스템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지역단위의 경축순환농업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친환경농업은 물론이거니와 관행농업에서도 시급히 도입되어야 할 대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분뇨단위 설정기준을 도별 지역에 적용하여 도별 분뇨단위를 산출하여 농경지의 N-부하량과 농지의 가축분뇨 수용량을 평가하여 가축생산과 경작지를 연계한 경축순환농업의 적용 방안을 검토하였다. 1. 농경지의 ha 당 N-부하량 (MU/ha)은 경기도가 2.7 (216 kg/ha), 충청남도가 2.54 (203 kg/ha)로 높은 부하량을 나타내었으나 강원, 전남, 충북 지역은 1.6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분뇨단위 결과로 볼 때, 경기도, 충남지역은 가축분뇨의 농경지 부하량이 수용능력에 비하여 높은 지역으로 평가된다. 이에 비하여 전남, 전북, 경남, 충남은 가축분뇨를 시용 할 수 있는 작물재배 면적이 높아 자원화 수용능력이 높은 도로 나타났다. 2. 가축분뇨 부하량과 작물의 양분수용능력을 동시 평가한 순환수지는 전남이 1위, 전북이 2위, 경남이 3위로 남부지방 3개 군이 가축분뇨 부하량에 비하여 자원화 용량이 높아 순환수지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 충북의 순환수지 순위는 각각 4, 5위를 나타내었다. 충남, 경북, 경기도는 가축분뇨 부하량이 높으나 자원화 용량이 낮아 6, 7, 8 위로 평가되었다. 특히 경기도는 가축분뇨 부하량이 높고 자원화 용량은 낮아 양분 순환수지가 가장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가축분뇨 발생량으로 추정한 N-부하량과 농경지의 수용량을 예측해 보면 우리나라 도별 농경지는 전체적으로 가축분뇨를 충분히 유입시킬 수 있는 용량인 것으로 평가되는데 가축분뇨가 지역적 시기적으로 편재되어 있어 이용이 곤란한 것이 문제이다. 따라서 경종과 축산의 연계추진이라는 정책에서 가축분뇨 액비의 자원화 환원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여름작물 액비 살포 증대와 액비 잠재작물의 액비 살포정책 수립 및 인센티브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환경보호를 고려한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하여 가축분뇨의 N-부하량과 농작물의 자원화 수용능력을 산출하여 순환수지 평가가 필요하며, 유기자원이용과 환경오염방지를 양립시키기 위해서는 이 개념에 따라 가축분뇨 자원화 정책을 수립, 실시하는 것이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축산, 경종 연계 추진을 위하여 도, 시군 지자체에서는 액비 잠재작물의 농경지 환원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정밀한 정책수립과 실행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using livestock manure have various advantages in securing soil organic resources. In this study, the N-loading and recycling capacity assessment of animal manure was analyzed by comparing between the cultivated areas of crops and the amount of manure units that are generated from livestock man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기도 등 8개도 지역의 2011년의 가축 사육두수와 경지면적에 대한 통계청의 자료를 토대로 하여 가축분뇨의 분뇨단위를 산출하여 농경지 질소부하를 평가하였다. 또한 지역별 가축분뇨 살포작물의 재배면적을 산출하여 자원화 용량를 평가하였다.
  • 이것은 친환경농업은 물론이거니와 관행농업에서도 시급히 도입되어야 할 대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분뇨단위 설정기준을 도별 지역에 적용하여 도별 분뇨단위를 산출하여 농경지의 N-부하량과 농지의 가축분뇨 수용량을 평가하여 가축생산과 경작지를 연계한 경축순환농업의 적용 방안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농업의 여러 가지 폐해를 시정하고 지속가능한 농업시스템으로 전환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현대농업의 여러 가지 폐해를 시정하고 지속가능한 농업시스템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지역단위의 경축순환농업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친환경농업은 물론이거니와 관행농업에서도 시급히 도입되어야 할 대안이다.
순환농업의 목적은? 가축분뇨의 시용은 화학비료의 절감에 의한 비용 절감과 동시에 가축분뇨가 주요 양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토양의 양분 순환기능을 증진한다. 순환농업의 목적은 자원절약, 집약농업의 부정적인 요인을 최소화하고 환경을 보호하는데 있다. 우리나라의 친환경농업은 농약과 화학비료를 시용하지 않는 농업이라는 인식아래 외부 농자재에 의존하는 공업형 유기농업에 의하여 농업생태계에 물질이 순환되지 않는 농업이 고착화 되어 가고 있다.
도별 분뇨단위를 산출하였을 때 나타난 도별 수치는? 1. 농경지의 ha 당 N-부하량 (MU/ha)은 경기도가 2.7 (216 kg/ha), 충청남도가 2.54 (203 kg/ha)로 높은 부하량을 나타내었으나 강원, 전남, 충북 지역은 1.6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분뇨단위 결과로 볼 때, 경기도, 충남지역은 가축분뇨의 농경지 부하량이 수용능력에 비하여 높은 지역으로 평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권찬호. 2005. 조사료 자급을 통한 식량 자급률 향상. 2005년도 학술심포지엄, 제43회 학술발표회, 2005 June, pp.75-95. 

  2. 김원호, 신재순, 임영철. 2005. 논에서 여름 및 겨울 사료작물의 최적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초지학회지, v. 25 no. 4, pp. 233-238. 

  3. 김원호, 신재순, 임영철. 2007. 논에서 여름 및 겨울 사료작물의 최적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초지학회지, v. 25 no. 4, pp. 233-238. 

  4. 김창길, 신용광. 2005. 지역단위 양분총량제 도입 세부 시행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 농림수산식품부. 2011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 

  6. 농촌진흥청. 2008. 가축분뇨 발생량 및 주요성분 재설정 연구. 

  7. 류종원, 최덕천. 2012. 지역순환농업을 위한 분뇨단위 설정과 질소부하 평가-여주지역 사례. 한국유기농업학회지. 20(1). 

  8. 손상목. 2001. 유기작물재배의 이론 및 핵심기술-독일을 중심으로. 한국유기농업학회지. 

  9. 유덕기. 2002. 가축분뇨자원화를 위한 공동조직운영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농림부. 

  10. 윤성이, 박선호. 2009. 자원순환형 농업단지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농업경영정책 연구. 36(1). 

  11. 이주삼, 최덕천. 2011. 소규모 경축순환농업을 위한 인증제도 개선 방안. 2011년 한국유기농업학회 하반기 학술대회 자료집. 

  12. 이지은, 허승욱. 2009. 가축분뇨의 순환이용시스템 및 편익분석. 농업경영정책연구. 38(2). 

  13. Brourwer, J., Powell, J. M. 1995. Soil aspects of nutrient cycling in a manure experiment in Niger. In: 8. Powell, J. M., Fernandez-Rivera, S., Williams, T. O., Renard, C. (Eds). Livestock and sustainable nutrient cycling in mixed farming systems of sub-Saharan Africa. Vol. 11: Technical papers. Proc. Of an International Conference held in Addis Ababa, Ethiopia, 22-26. November, 1993. ILCA, Addis Ababa, Ethiopia, pp. 211-226. 

  14. Brourwer, J., Powell, J. M. 1998. Microtopography, water balance, millet yield and nutrient leaching in a manuring experiment on sandy soil in south-west Niger. In: Renard, G., Neef, A., Becker, K., von Oppen, M. (Eds), Soil fertility management in West African land use systems. Proc. Of a workshop held in Niamey, 4-8 March, 1997. Margraf, Weikersheim, pp. 349-360. 

  15. EU-Bio-Verordnung. 2008. VO (EG) Nr. 834/2007 und Nr. 889/2008. 

  16. Funes, F. et al., 2001. Sustainable Agriculture and Resistance : Transforming Food production in Cuba, Food First Books, Oakland. 

  17. McIntire, J., Bourzat, D; Pingali, P. 1992. Crop-livestock Interaction in Sub-Sahara Africa. Washington, D.C. The World Bank. 

  18. Powell, J. M., Fernandez-Rivera, S., Hiernaux, P., Turner, M. D. 1996. Nutrient cycling in integrated rangeland/cropland systems of the Shale. Agric. Systems. 52(2/3), 143-170. 

  19. Strauch, D. 1990. Dunger aus der Tierhaltung - ein Umweltproble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