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협업필터링에서 포괄적 성능평가 모델
A Comprehensive Performance Evaluation in Collaborative Filtering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17 no.4, 2012년, pp.83 - 90  

유석종 (숙명여자대학교 컴퓨터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규모의 상품을 다루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개인화된 추천은 필수적인 기능이 되고 있다. 대표적 추천 알고리즘인 협업필터링내용기반 추천에 비하여 뛰어난 추천성능을 제공해 주고 있으나, 희박성, 신규 아이템 문제(Cold-start), 확장성 등의 근본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협업필터링이 목표 대상자에 따라 비일관된 예측 능력의 차이를 보이는 추천 성능의 편차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추천성능의 편차는 기존의 Mean Absolute Error(MAE)에 의해서는 측정되기 어려우며 또한 정확도, 재현율 지표와도 독립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협업알고리즘의 정확한 성능평가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MAE, MAE 편차, 정확도, 재현율을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확장 성능평가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클러스터링 기반 협업필터링에 적용하여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e-commerce systems that deal with a large number of items, the function of personalized recommendation is essential. Collaborative filtering that is a successful recommendation algorithm, suffers from the sparsity, cold-start, and scalability restrictions. Additionally, this work raises a new f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단일 협업필터링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인구통계학적(demographic) 정보를 활용하는 복합 CF에 대한 연구[4][9][12]가 이루어져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제안하는 확장 성능평가 모델을 적용하기 위하여 클러스터링 기반 복합 협업필터링을 설계한다.
  • MAE, Precision, Recall등의 정확도 측정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이들을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F 알고리즘의 보다 정확한 성능 평가를 위하여 MAE편차를 비롯하여 MAE, 정확도와 재현율을 포괄하는 확장 성능평가모델로 MPR(MAE, Precision, Recall)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단일 CF와 클러스터링 기반 복합CF에 대하여 제안된 확장 성능평가 모델을 적용하여 성능을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한다.
  • 협업필터링은 상품 평가 기록의 부족으로 인한 희박성(sparsity), 평가기록이 없는 새로운 고객과 상품에 대한 cold-start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3][9]. 이밖에 본 연구의 사전실험 결과에 의해 협업필터링은 추천 성능 편차(inconsistent performance) 현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문제를 새로운 협업필터링의 특성으로 제기하고자 한다. 즉 협업필터링은 추천 대상자의 변동에 따라 상품 예측오차에 편차가 발생하며 비일관된 추천 성능을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협업필터링의 평가 방법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협업필터링의 평가 방법에는 추천 정확도 측정 방법과 유용성 평가 방법이 있다. MAE, Precision, Recall등의 정확도 측정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이들을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개인화된 추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com과 같이 음악, 영화, 책 등 상품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대규모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는 필수적이다. 개인화된 추천 방법에는 고객 프로필에 근거하는 내용기반 추천(content-based recommendation)과 많이 구매되는 상품을 추천하는 통계적 방법(statistical recommendation), 그리고 협업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이 있다[1-5]. 내용기반 추천은 사용자 프로필에 추천에 필요한 충분한 자료가 포함되어 있어야 하는 특성이 있고 상품과 사용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확장성의 문제가 발생한다[6].
내용기반 추천 알고리즘에서 사용자와 아이템의 수가 증가할수록 무엇이 감소하는가? 이 방법은 포트폴리오 효과(portfolio effect)를 유발하기 쉬운데, 즉 사용자가 이미 알고 있거나, 알고 있는 것과 유사한 아이템만을 주로 추천해 주는 것을 말한다 [11]. 또한 이 방법은 프로필 내용이 희박할 경우 추천의 질이 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와 아이템의 수가 증가할수록 알고리즘의 확장성이 떨어지게 된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J. Konstan, D. B. Miller, D. Maltz, J. Herlocker, L. Gordon, and J. Riedl, "GroupLens: Applying collaborative filtering to Usenet news," Communications of ACM, Vol. 40, No. 3, pp. 77-87, 1997. 

  2. M. Pazzani, "A Framework for Collaborative, Content-Based, and Demographic Filtering," Artificial Intelligence Review, pp. 393-408, Dec 1999. 

  3. B. Sarwar, G. Karypis, J. Konstan, and J. Riedl,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ation algorithm," Proc. of th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pp. 285-295, 2001. 

  4. A. Ferman, J. Errico, P. Beek, and M. Sezan, "Content-based Filtering and Personalization Using Structural Metadata," Proc. of the 2nd ACM/IEEE-CS Joint Conference on Digital libraries, NY, USA, pp. 393-393, 2002. 

  5. H. Kwak,C. Lee,H. Park, and S. Moon, "What is Twitter, a Social Network or a News Media?," Proc. the 19th International World Wide Web Conference, April 26-30, Raleigh NC USA, pp. 591-600, 2010. 

  6. H. Liu and P. Maes, "InterestMap: Harvesting Social Network Profiles for Recommendations," Proc. of the Beyond Personalization Workshop, San Diego, California, pp. 54-49, 2005. 

  7. M. O. Connor and J. Herlocker, "Clustering Items for Collaborative Filtering," Proc. of the ACM SIGIR Workshop on Recommender Systems, Berkeley, CA, 1999. 

  8. C. Ding and X. He, "K-Means Clustering vi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roc. of the 21th Int. Conf. on Machine Learning, pp. 225-232, 2004. 

  9. P. Melville, R. J. Mooney, and R. Nagarajan, "Content-Boosted Collaborative Filtering for Improved Recommendations," Proc. of the Eighteenth National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monton, Canada, pp. 187-192, July 2002. 

  10. J. L. Herlocker, J. A. Konstan, A. Borchers, and J. Riedl, "An Algorithmic Framework for Performing Collaborative Filtering," Proc. of 22nd Annual International ACM SIGIR Confer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Information Retrieval, 1999. 

  11. G. Groh and C. Ehmig, "Recommendations in Taste Related Domains: Collaborative filtering vs. Social filtering," Proc. of GROUP'07, pp. 127-136, 2007. 

  12. M. Balabanovic and Y. Shoham, "Fab: Content-Based, Collaborative Recommendation,"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40, No. 3, pp. 66-72, 1997. 

  13. Y. Yang and J. Li, "Interest-based Recommendation in Digital Library," Journal of Computer Science, Vol. 1, No. 1, pp. 40-46, 2005. 

  14. J. L. Herlocker, J. A. Konstan, and J. T. Riedl, "An Empirical Analysis of Design Choices in Neighborhood-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s," Information Retrieval, Vol. 5, pp. 287-310, 2002. 

  15. Z. Huang, H. Chen, and D. Zeng, "Applying Associative Retrieval Techniques to Alleviate the Sparsity Problem in Collaborative Filtering," ACM Trans. Information Systems, Vol. 22, No. 1, pp. 116- 142, 2004. 

  16. S. Brin, "Near Neighbor Search in Large Metric Spaces," Proc. of the 2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ery Large DataBases, pp. 574-584, 1995. 

  17. F. Zhang, H. Liu, and J. Chao, "A Two-stage Recommendation Algorithm Based on K-means Clustering In Mobile E-commerce," Journal of Computational Information Systems, Vol. 6, No. 10, pp. 3327-3334, 2010. 

  18. S. Gong, "A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ation Algorithm Based on User Clustering and Item Clustering," Journal of Software, Vol. 5, No. 7, July 2010. 

  19. J. Herlocker, J. Konstan, L. Terveen, and J. Riedl, "Evaluating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er Systems," ACM Transactions on Information Systems, Vol. 22, No. 1, pp. 5-53, January 200. 

  20. T. Kim, S. Park, and S. Yang, "Improving Prediction Quality in Collaborative Filtering based on Clustering," Proc. of 2008 IEEE/WIC/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b Intelligence and Intelligent Agent Technology, pp. 704-710,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