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인왕산 소나무림의 경관변화와 문화경관림 복원방안 연구
A study on Restoration Plan of Cultural Forest and Change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Inwangsan(Mt.), Seoul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6 no.2, 2012년, pp.219 - 232  

조준수 (서울시청 푸른도시국 푸른도시정책과)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 조경학과)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 조경학과) ,  기경석 (도시생태학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왕산의 과거 기록자료 및 문화경관지역에 나타난 소나무림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여 소나무림 경관복원을 위한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왕산의 과거 소나무림은 정선, 장시흥, 강희언의 산수화에서 잘 표현되어 있는데, 주로 동사면 능선부의 암반 주변을 표현하고 있었다. 인왕산 사진자료는 1800년대 말부터 기록되어 있는데 소나무림은 주로 서측 사면 저지대와 능선부에 분포하고 있었다. 인왕산의 문화유적 주변과 암반 주변 경관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소나무림이 우점하고 있었다. 인왕산의 과거 소나무림 경관을 형성하고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현존식생을 분석한 결과 소나무림을 유지하고 있는 지역은 51.87%, 인공림 변화한 지역이 25.80%이었다. 산림 저지대 소나무림은 대부분 시가화지역(10.16%)으로 변화되었다. 인왕산 소나무림 경관 복원을 위한 관리유형구분은 보전관리, 소나무복원관리, 유지관리로 설정하였다. 보전관리는 소나무림 분포지와 암반 분포지역으로 설정하였고 소나무 복원관리는 능선부의 자생종 낙엽활엽수 분포지, 외래종 식생 분포지와 산림 내 훼손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유지관리지역은 인왕산 저지대 시가화지역과 인왕산 정상부의 군부대 입지지역으로 설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previous records and cultural landscape regions and to establish a management method for recovery of $P.$ $densiflora$ landscape. A total of 16 landscape painting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문화경관림에 대한 연구는 Lee et al.(1991)이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음 대덕동의 신라말 진성여왕 때 조성된 대관림중 상림(천연기념물 154호)을 대상으로 이용객에 의한 환경 피해 정도를 밝히고 식물군집구조를 밝혀 문화경관림의 관리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가야산국립공원 홍류동 계곡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군집구조를 규명하고 15년간의 식생구조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소나무림 보전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Lee et al.
  • 이상의 측면에서 인왕산의 과거자료를 분석하여 소나무림의 분포위치를 파악하고 소나무림 복원을 위한 식생관리 방안을 도출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왕산의 과거 기록자료 및 문화재, 암반 분포현황 분석과 현재 식생 현황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인왕산 소나무 문화경관림 복원을 위한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소나무림 경관복원을 위한 관리방안을 수립하기위해 무엇을 파악하고자 하는가? 본 연구는 인왕산의 과거 기록자료 및 문화경관지역에 나타난 소나무림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여 소나무림 경관복원을 위한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왕산의 과거 소나무림은 정선, 장시흥, 강희언의 산수화에서 잘 표현되어 있는데, 주로 동사면 능선부의 암반 주변을 표현하고 있었다.
인왕산 소나무림 경관 복원을 위한 관리유형구분중 보전관리에 해당하는 지역은? 인왕산 소나무림 경관 복원을 위한 관리유형구분은 크게 보전관리, 소나무복원관리, 유지관리로 구분하였다. 보전관리는 소나무림 분포지역으로 토지극상의 소나무림 지역과 기존 소나무 순림 분포지역이 해당하였다. 암반 분포지역은 인왕산 능선부의 암반이 노출된 지역이다.
인왕산의 과거 소나무림은 어디에서 잘 표현되어 있는가? 본 연구는 인왕산의 과거 기록자료 및 문화경관지역에 나타난 소나무림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여 소나무림 경관복원을 위한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왕산의 과거 소나무림은 정선, 장시흥, 강희언의 산수화에서 잘 표현되어 있는데, 주로 동사면 능선부의 암반 주변을 표현하고 있었다. 인왕산 사진자료는 1800년대 말부터 기록되어 있는데 소나무림은 주로 서측 사면 저지대와 능선부에 분포하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 S.J.(2006) Landscapes and the powers of the eastern slope in Inwangsan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land register.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master, Korea, 111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ak, J.A.(2006) The Beautiful Past of Seoul. Borim Publishers Co., Ltd., 80pp. (in Korean) 

  3. Cho, J.S.(2009) A Study on Restoration Plan of Cultural Landscape Forest and Change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Inwangsan, Seoul.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15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i, S.R.(1986) Photos of Modern Korea (first)-Mountain, River and Scenery-. Seomundang, 228pp. (in Korean) 

  5. Choi, S.R.(2005) Photos of the Joseon Dynasty People See Pictures (1) - The Heart of the Nation?600 years of Seoul scenery -. Seomundang, 214pp. (in Korean) 

  6. Choi, W.S.(2006) Gyemjae's Hanyang Real Scenary - Look at the Cheonggyecheon Ohgansumun after climbing to Bukak -. Dongailbo, 355pp. (in Korean) 

  7. Jun, Y.W.(1999) Forest and Culture Series (1) - Pine and Our Culture, -. Sumun Publication, 205pp. (in Korean) 

  8. Jun, Y.W.(2004) Our pine that we really need to know. Hyunamsa, 416pp. (in Korean) 

  9. Jongno-Gu(1994) Inwangsan(Mt.). Jongno-Gu, 35pp. (in Korean) 

  10. Kim, K.B.(1994) 600years, Story of Seoul Area name. Salrimteo, 345pp. (in Korean) 

  11. Kim, K.H.(1994), Seoul Tale. Beomwoosa, 250pp. (in Korean) 

  12. Kim, Y.S.(1990) Seoul, 600 years. Korea Daily News, 336pp. (in Korean) 

  13. Lee, K.J., N.H. Jo, Y.K. Jong and H.S. Jo(1991) The Environmental Impact and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of Daekwanrim in Hamya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9(2): 2052-20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K.J., J.W. Choi, W.K. Choi and B.H. Han(2006)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 for Fifteen Years(1989-2004)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Hongrudong Valley, Gaya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0(2): 188-1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K.J., J.S. Kim, J.W. Choi and B.H. Han(2008) Vegetation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Forest near Woljeong Temple in Odae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2(2): 173-1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T.H.(1995) Landscape Painting in the Past of Seoul. The Institute of Seoul Studies, 166pp. (in Korean) 

  17. Lim, D.S.(1994) 600 Years the Capital, Seoul. Knowledge Industry Company Ltd., 226pp. (in Korean) 

  18. Munhwailbo(2008) newspaper article dated 22 November 2008. (in Korean) 

  19. Park, J.A.(2006) Beautiful old Seoul. Borim Pulishers, 80pp. (in Korean) 

  20.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PSS) (2007) Blue House and the surrounding history?cultural heritage. Trendmedia Co., Ltd., 469pp. (in Korean) 

  21. Sim, H.R.(2010) Management Planning of Vegetation Landscape in Paldal park, World Culture Heritage Hwaseong, Suwon, Korea.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15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Seou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SHCC)(1987) Six Centennial History of Seoul(Cultural Books Collection). Seoul Metropolitan City, 1469pp. (in Korean) 

  23. Seou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SHCC)(2000) Mountains of Seoul. Seoul Metropolitan City, 472pp. (in Korean) 

  24. Seou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SHCC)(2002) Photos of Seoul (1) - Since the Opening of Korea's Modernization and Sufferings(1876-1910). Seoul Metropolitan City, 339pp. (in Korean) 

  25. Seou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SHCC)(2004) Photos of Seoul (3) Beginning of Seoul, Republic of Korea, The Capital. Seoul Metropolitan City, 339pp. (in Korean) 

  26. Seoul Metropolitan City(1984) One Hundred Years of Seoul to See Pictures. Seoul Metropolitan City, 144pp. (in Korean) 

  27. Seoul Metropolitan Museum (1998) Historical Landscape of Seoul - Until The 1960s After The Opening -. Seoul Metropolitan City, 129pp. (in Korean) 

  28. The Institute of Seoul Studies(ISS)(1995) Historical Landscape of Seoul - 100 years ago, Photographs and Models of Seoul -. The Institute of Seoul Studies, 142pp.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