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찰림 관리자와 일반인의 인식조사를 통한 불교수목원 조성방안
Establishment of a Buddhist Arboretum through a Survey of Temple Managers and Layperson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1, 2014년, pp.104 - 114  

이영경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이병인 (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 산림자원은 생물종 다양성과 관광 및 휴양을 위한 중요한 자원으로 대두되고 있다. 사찰림은 우리나라 산림의 1.3%를 차지하고 자연생태가 매우 양호하나, 관리가 미비한 실정이다. 근래 불교계 내부에서는 사찰림의 지속가능한 관리에 기여하면서 산림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활용대안으로서 불교수목원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교수목원의 조성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사찰림 관리자 105명과 일반인 130명에 대한 인식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불교수목원을 통해 사찰림 관리자는 불교문화 홍보와 사찰의 이미지 향상에 대한 관심이 더 높고, 일반인은 휴양과 교육에 대한 기대가 더 높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전통사찰의 유산가치 보존과 사찰림 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특히, 두 집단 모두 불교수목원의 필요성을 시급성보다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사찰림 관리를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두 집단 모두 불교수목원은 배타적이지 않은 이용을 도모하고 사찰지역의 자연생태적 특성을 감안하여 조성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중요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불교수목원의 계획방안이 제시되었다. 첫째, 불교수목원은 장기적 관점에서 추진하면서 불교 내부 구성원의 공감대 형성과 일반인에 대한 교육 및 홍보를 진행하여야 한다. 둘째, 사찰림 보전을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설정하며, 이와 함께 휴양과 교육기능을 강조하여야 한다. 셋째, 배타적이지 않은 이용을 도모하기 위해서 불교수목원은 다양한 계층의 이용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혼합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용 만족을 높이고 교육효과를 달성하여야 한다. 넷째, 불교경전 식물 등 불교와 관련있는 식물을 통해 불교적 정체성이 있는 수목원을 조성하도록 한다. 다섯째, 식물수집에 있어서도 사찰의 이미지와 자원특징을 중심으로 하여 기존 사찰림의 보존 및 관리에 기여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불교수목원은 보존 수집형 수목원과 전시 교육 휴양형 수목원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wadays, forests have been recognized as valuable resources for biological diversity and tourism/recreation. Temple forests occupy 1.3% of all the Korean forest and are under weak management although their ecological states are very good. Currently in the Buddhist society, the concern for the Budd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불교계 일각에서는 사찰림의 활용대안으로서 불교수목원을 제시한 바 있으며, 이에 대한 추진 요구가 대두된 바 있다(Kim, 2011;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2011, 2012).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찰림의 활용방안으로서 불교수목원의 필요성을 조사하고, 바람직한 계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사찰림 관리자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사찰림 내 불교수목원 조성에 대한 인식 조사가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불교수목원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사찰림 관리자와 일반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불교수목원 조성에 기본적이며,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사찰림 보존 및 관리에 관련있는 다른 이해당사자들(스님과 사찰림 관련 공무원 등)에 대한 조사가 수행되지 않았다는 점과 특정 사찰을 대상으로 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찰림이란 무엇인가? 사찰림은 사찰 소유의 산림으로 전통사찰을 구성하는 중요 요소이다. 전통사찰 보존 및 지원에 관한 법에 의하면 전통사찰의 공간적 범위는 건축물이 점유된 공간과 사찰 소유의 토지 및 산림을 포함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사찰림은 전통사찰과 동일시되는 개념이다.
불교수목원을 보존·수집형 수목원으로 발전시킬 때 바람직한 방향은? 따라서 불교수목원은 내용면에서 보존·수집형 수목원과 전시·교육·휴양형 수목원의 두 가지 유형이 고려될 수 있다. 보존·수집형은 수목원의 수집 및 연구기능에 중점을 둔 수목원으로 생물다양성 보존에 기여할 수 있는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의 보호, 자생식물자원의 수집 및 보존, 그리고 불교식물의 수집및 보존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전시·교육·휴양형 수목원은 식물수집 및 전시를 통해 국민들에게 교육과 휴양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수목원으로 각 사찰별 특성에 따라 불교적 정체성이 있는 계획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자연과 문화를 가진 새로운 수목원 문화를 선도하여야 한다.
수목원의 기능은? 수목원의 전통적 기능은 식물자원의 보존 및 수집이었으나, 근래에 여가시간이 증대되면서 수목원의 교육 및 휴양기능의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Kim, 2006; Kim, 1994). 특히 7차 교육 과정이 개편되면서 학습공간으로서 수목원의 교육기능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Le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ang K. S., C. S. Chang and G. S. Go(2007) Strategic Plan for Seoul National University Arboretum (2008-2012). 

  2. Cho, W., C. S. Chang, M. S. Hwan and K. I. Oh(2003) Master plan for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arboretu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5): 96-107. 

  3. Choi, Y. J.(2005) The Studies on Status of Arboretums and Theme Botanical Gardens in Korea. M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4. Choi, Y. M.(2004) The Analysis of Gyeongsangnamdo Arboretum as an Experience Learning Site. MS Thesis, Chinju National University, Jinju. 

  5. City of Munkyoung(2010) Investigation of reserved forest for genes and annual planning, Munkyoung. 

  6.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2009) Study on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emple Forest, Environmental commission. 

  7.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2010)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mple Energy Use and Utilization of NewRegeneration Energy, Environmental commission. 

  8.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2011) 1st Proceedings for Buddhist Arboretum, Environmental commission. 

  9.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2012) 2nd Proceedings for Buddhist Arboretum, Environmental commission. 

  10. Kim, B. H.(2009) Study on the Utilization of Arboretum. MS Thesis, Kyungwon University, Gyeonggi-do. 

  11. Kim, J. I.(2011) The Buddhist arboretumthat I dream, Press Conference for Buddhist Arboretum,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12. Kim, J. P.(2001) On Using Activation of Botanical Garden and Arboretum in Korea, M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3. Kim, M. J.(2004) A Study in the Improvement of Ecological Learning Center Utilizing Arboretum.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14. Kim, T. W.(1994) Preservation of plant species and the role of botanical garden.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pp 6-12. 

  15. Kim, Y. J.(2006)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rboretums for The Establishment of Reasonable Arboretums. M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Jeonnam. 

  16. Kim, Y. S.(2006) The role of landscape architecture to design and maintenanmce of Botanical garden and Arboretum.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218: 150-153. 

  17. Kim, Y. S., S. K. Ha and C. Y. Park(2009) Importance and specialization plan of the indicators by the function of the arboretum.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8(4): 370-378. 

  18. Korea Forest Service(2012) Study on the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emple Forests, Research Istitute of Backdoodaegan Forest. 

  19. Lee, H. S.(2007) Landscape Design for Chil-Bo Mt. Arboretum.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 Lee, J. K.(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boretum for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Mountainous Areas: by Surveying the Consciousness of Local Residents and Focusing on the Development Case of Cheongcheon Arboretum. MS Thesis, Kyonggi University, Kyonggido. 

  21. Lee, S. S.(1998) Status of hurb industry in advanced country and outlook for domestic commecialization. Journal of Rural Tourism 5(1): 2-22. 

  22. Lee, Y. Y.(2010) New paradigm of arboretum. Korean Society of Forests & Culture 19(5): 4-5. 

  23. Rural Development(2003) Outlook of future floricultural industry and footwork. Proceedings of Symposium for the 50th Anniversary of Gardening Research Institute, pp. 27-60. 

  24. Ryu, G. S.(2011) Policy and infrastructure for Arboretum in Korea. 1st Proceedings for Buddhist Arboretum, Environmental Commission of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pp. 9-23. 

  25. Shin, J. S.(2003)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Botanic Garden in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6. Song, D. O. and Y. H. Ahn(2008) Improvement plan and present condition of botanical garden and arboretum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lant and Environmental Design 4(3): 37-42. 

  27. Yi, P. I.(2008) Assess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temple wastes in natural park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7(5): 263-270. 

  28. Yi, P. I. and S. C. Hong(2001)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emple wastewater facilities in natural par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1(2): 41-50. 

  29. Yi, P. I. and Yi, Y. K.(2000) Study of Temple Environment. Sillamunwhawon, GyeonbBuk. 

  30. Yi, Y. K.(1996a)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of traditional temples. Temple Landscape Research 4: 23-35. 

  31. Yi, Y. K.(1996b) Environmental policy for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places.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stration 4(2): 123-132. 

  32. Yi, Y. K. and Yi, P. I(1994) Elementary study on the conservation measures of temple environment, Temple Landscape Research 3: 15-19. 

  33. Yi, Y. K. and Yi, P. I.(2002) Resource value assessment of traditional temples in national parks. Kor.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4): 37-45. 

  34. Yi, Y. K., J. E. Kim, and S. Y. Lee(2010) Impact of solar energe facility on the landscape experience of traditional temple-focused on the entrance way of Tongdos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8(3): 114-121. 

  35. Yi, Y. K., P. I. Yi, S. H. Choi and S. Y. Han(2011) Korean Traditional Temples: Management and Assessment of Public Valu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