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EEG 생체신호 기반 3D 시각피로 측정방법에 대한 타당화 연구
Validity examination of the measurement of 3D visual fatigue using EEG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5 no.1, 2012년, pp.17 - 28  

이형철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문경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의 디스플레이 기술은 2차원 디스플레이에 제시된 영상으로부터 3차원 깊이감을 지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런은 디스플레이와 콘텐츠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실생활에서 경험하지 않는 시각피로의 문제를 경험하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각피로를 안정적이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EEG(Electroencephalography)신호에 기반한 시각피로 측정의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ERP(Event related potential) 성분 중에서 시각피로를 반영하는 성분을 찾아내기 위해 2D 조건과 3D 조건에서 탐색적 실험을 수행하였고, 탐색적 실험에서 발견된 ERP 성분이 양안시차의 차이에 따라 상이한 특성을 보이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Cz와 Pz 영역에서 P3 성분의 정점 강도가 2D 조건보다는 3D 조건에서 감소하였으며, 양안시차가 증가할수록 일관되게 P3 성분의 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양안시차가 증가함에 따라서 주관적인 시각피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함을 검증하였는데, 이 실험결과는 Cz와 Pz 영역에서의 P3 성분의 정점 강도가 3D 시각피로에 대한 인덱스로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development of 3D technologies made it possible that observers perceive 3D depth from two dimensional images. Despite this kind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when observers watch 3D display they experience 3D visual fatigue that they do not usually experience in real life. It is critical to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런 잡음(artifact)을 제거하기 위하여 원자료의 신호 범위를 -100 ~ 100μV로 설정하고, 그 이상이나 그 이하의 자료는 잡음으로 처리하여 제거하는 정점-정점측정법(peak to peak measurement)을 사용하여 뇌파가 아닌 신호가 분석에 사용되는 것을 막았다.
  • 기존의 EEG를 이용한 시각피로 측정이 아드볼 패러다임을 이용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시각피로를 측정하기보다 시각피로 유발 후에 사후적으로 측정한다는 단점이 있었고, 특히 시각정보처리에서의 피로보다는 자극에 대한 반응단계에서의 지연시간을 측정한 측면이 있다. 본 연구는 사전에 3D 자극을 시청할 필요가 없이 곧바로 3D 자극을 관찰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시각피로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 2008). 본 연구에서는 기존 ERP 연구에서 인지적인 주의 할당의 주요 지표인 P3 성분이 시각피로의 인덱스로 이용될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2D 조건과 3D 조건, 그리고 양안시차에 차이가 있는 실험 조건에서 차별적인 ERP성분을 탐색하였는데, Cz와 Pz 영역에서 일관되게 P3 성분의 정점 강도가 차별적인 신호를 방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통계분석결과 실험 조건 간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EEG신호에 기반한 시각피로 측정도구의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P100 성분의 지연시간이 시각피로의 인덱스로 사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지만, 이 연구결과는 주관적인 시각피로 측정치에 의해 그 타당성이 검증되지 않았다(Emoto et al.
  • 현재까지 안정적으로 시각피로를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시각피로 측정방법이 부족하고, 주관적인 시각피로 측정방법이 피험자의 주관이나 속임수의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음을 고려할 때 저렴한 비용으로 시각피로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EEG(Electroencephalography)장비를 이용하여 시각피로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제안된 방법의 타당화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 실험 1과 2의 결과는 Cz와 Pz 영역에서 관찰되는 P3 성분의 정점 강도가 시각피로를 측정하는 주요한 인덱스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실험 3은 실험 조건 간 P3 성분의 정점 강도의 차이가 과연 시각적 피로를 반영하는지 그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 3에서는 실험 2와 동일한 실험 조건에서 피험자들의 주관적인 시각피로를 측정하였으며,객관적 측정치에서 차이를 보인 조건에서 주관적 측정 결과 역시 동일하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시각피로 차이가 검증되는지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D 영화 또는 3D 방송 시청시 사용자는 어떤 부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가? 3D 영화 또는 3D 방송은 인간의 시각기제가 이용하는 다양한 3차원 정보 중에서 2D 디스플레이가 제공하지 못하는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실감 나는 입체감을 경험하도록 한다. 그런데 일상의 3D 환경에서 인간의 3차원 시각기제는 매우 원활하게 작동하여 특별한 문제를 유발하지 않지만, 3D 영화 또는 3D 방송을 시청할 때에는 개인차가 있기는 하지만 어지러움이나 두통 또는 안구통증과 같은 3D 시각피로(3D visual fatigue)를 경험한다(Lambooij, Ijsselsteijn, Fortuin, & Heynderickx, 2009)1).
객관적 시각피로 측정방법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는 예는? 객관적 시각피로 측정방법은 몇 가지 제안된 것이 있으나, 경험적인 연구결과에 의하면 측정의 안정성(reliability)에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시각피로가 증가할수록 조절지연시간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나(Emoto, Niida, & Kkana, 2005), 시각피로와 조절지연시간 간의 상관이 지속적으로 발견되지 않는다. 시각피로가 증가할수록 눈 깜빡임 횟수가 증가하고 동공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있지만 이 연구결과 역시 실험 조건과 환경 그리고 과제의 영향을 받는다. ERP(Event related potential) 연구기법 중 아드볼 패러다임(oddball paradigm)을 변형한 3D 아드볼 패러다임(3D oddball paradigm)으로 3D 시각피로를 측정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Li, Kham, & Lee,2008).
현재 3D 디스플레이 구현방식이 지닌 구조적인 문제점은? 현재의 3D 디스플레이 구현방식이 지닌 구조적인 문제점은 인간의 시각기제가 일상의 3D 환경에서 거리 정보를 획득할 때 유용하게 사용하는 수렴(vergence)과 조절(accommodation) 정보가 3D 디스플레이에서 혼란스럽게 입력된다는 것인데, 이런 수렴-조절 불일치 정도는 화면에 제시되는 영상의 시차에 비례한다(Hoffman, Girshick, Akeley, & Banks, 2008). 시각피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각피로를 객관적으로 정량화하여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