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변환경 변화에 따른 어린이공원 이용 활성화방안 - 대전시 서구 어린이공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Children's Parks by the Transi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Seogu, Daejeon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3 no.1, 2012년, pp.17 - 30  

이우걸 (대전광역시 푸른도시과) ,  심준영 (전북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과) ,  김대수 (혜천대학교 도시환경조경과) ,  이시영 (배재대학교 조경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argeted on children's parks in Seogu, Daejeon with the goal of maximizing the usage and versatility of existing parks in the area by the survey and analysis of the general status of children's parks, land use near the parks, population, users, and traits of usage. For the purposes of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방자치단체가 도시공원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은 무엇인가? 한편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공원에 대한 주민의 욕구가 날로 증가하고 있고 그 중요성을 알고 있으나 실태 파악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으며 모든 도시공원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조성, 관리되어 지고 있다. 이처럼 관련법에 따라 도시공원 결정 당시의 공원 유형을 유지하면서 단순히 내부 시설의 보수에 치중하므로 주변의 특성과 이용층 등 물리적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그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도시공원의 특징은? 이러한 도시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공간의 기능이 변화하는 것처럼 현대사회 도시 내 오픈 스페이스도 주변 환경과 이용 패턴에 따라 그 기능이 달라진다. 이 중 도시공원은 공원 주변의 여건과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다변적인 공간으로 그 역할이 중요하다(Yun 2007). 도시공원을 포함한 도시 오픈스페 이스들은 주변 상황에 따라 이러한 변화의 특성들이 반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공원별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우정어린이공원의 주요 이용자는 누구인가? 공원별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우정어린이공원은 친구나 직장동료들과 함께 오는 이용자가 산책이나 휴식을 하는 장소로 이용하며 주변 업무ㆍ상업시설 방문자가 주요 이용자임을 추측할수 있으며, 야간 이용을 위해서 안전문제 해결과 이용자를 고려한 시설확충이 팔요할 것으로 보인다. 불만족 이유는 청소가 가장 큰 이유였으며 부족시설은 어린이놀이시설 외에 청소년 운동시설이 높게 나타나 대상지 분석과 함께 살펴보면 젊은 층의 이용이 많은 공원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a J(2005) A study on the reconstruction of neighborhood public facilities reflecting citizens' complex activities-Focused on the case of Hong- Ik Children's Park-. Thesis of Ehwa University. 

  2. Im J(2007)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children Park's facilities-Focused on Gimhae Children Park-. Thesis of Jinju Industrial University. 

  3. Jung J(2009) Children's park renewal by user participation. Thesis of Jeonnam University. 

  4. Kim D(1996) A study on the modernization of children's parks in Seoul-A case study of Wawoo Children's Park-. J Korean Institute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4 (1), 67-78. 

  5. Kim H, Moon J, Ha J(2005) Analysis of usage pattern according to location of children park in the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 Korean J Architecture Institute 25(1), 397-400. 

  6. Kim J(2010)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for the Sangsang children's park facilities. Thesis of Seonkyunkwan University. 

  7. Kim W(2009b) A study on improving strategy of children's park in terms of imagination and creativity. SDI Policy Report Vol. 37. 

  8. Kim Y, Kim S, Park W, Yu D, Choe S, Hong S(2008)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children's park as a community space. Korean J Institute Landscape Architecture 35(6), 21-28. 

  9. Kim Y(2009a) A study on the design of SangSang children's park -In a case study of Beolbal children's park, Seoul Metropolitan City-. Thesis of HanYang University. 

  10.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2011)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act. 

  11. Lee H(2001b) A study on a plan for the vitalization of children's parks in a metropolitan city. Korean J Academic Soc Tourism Manag. 16(1), 63-81. 

  12. Lee H(2000) A study on the process of making a park through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method. Thesis of Seoul University. 

  13. Lee S(2001a)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Iksan city children's park. Thesis of Wonkwang University. 

  14. Metropolitan City of Daejeon(2010) 2010 City Park and Green Space Report 

  15. Metropolitan City of Daejeon(2011a) City Imformation System 

  16. Metropolitan City of Daejeon(2011b) Seo-Gu Population Statistics. 

  17. O B(1992) A study on distributional of children park in Gwang Ju. Korean J Institute Landscape Architecture 19(4), 29-45. 

  18. O K(2004) A study on redevelopment of children's park in residential site. Thesis of Hankyung University. 

  19. Park W(2010)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children's park-In the case of Chilgokgun-. Thesis of Youngnam University. 

  20. Seo-gu, Daejeon(2010) Borough white paper. 

  21. Shin M(2010a) A study on the post-implementation evaluation of Seoul imaginary children's parks. Thesis of Seoul City University. 

  22. Shin Y(2010b) A study on the post-occupancy evaluation of Sangsang children's park. Thesis of Hanyang University. 

  23. The Office of Legislation(2011) The act of city park and green space. 

  24. Yang S(2008) A study on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arks for children at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Thesis of the University of Seoul. 

  25. Yeo H(1988) A study on facility improvement for children's park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In a case study of children's park, Seoul Metropolitan City-. Thesis of KeunKuk University. 

  26. Yun Y(2007) A study on guidelines for revitalizing children's parks reflecting community environment. Thesis of Seoul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