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장을 이용한 저염 야콘 장아찌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 of Low Salted Yacon Jangachi Using Soybean Sauce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3 no.1, 2012년, pp.79 - 88  

심기훈 (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조리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low-salinity of traditional fermented food, we investigated quality characteristic of low-salted Yacon Jangachi using soybean sauce with sugar or vinegar for 50 days. Sugar content, titration acidity, and salinity of all Yacon Jangachi was increased as storage time i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감이 배와 유사하고 생식이 가능하며, 변비 개선, 당뇨병, 비만, 동맥 경화 및 유해균 억제 기능이 있는 야콘을 주재료로 사용하고(Doo et al. 1999; Kang & Ko 2004; Lee et al. 2010), 절임원으로는 간장을 이용하였으며 설탕과 식초를 첨가한 저염 야콘 장아찌를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전통발효 식품의 저염화 가능성과 야콘을 활용한 장아찌 개발의 기초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야콘을 이용한 저염 장아찌 개발을 위하여 설탕 및 식초를 첨가한 간장 소스를 이용하여 제조한 야콘 장아찌의 저장 중 품질 특성 조사하여 전통발효식품의 저염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모든 야콘 장아찌의 당도, 적 정산도 및 염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당도에서는 설탕을 첨가한 B 시료가 저장기간 동안 가장 높았으며, 적정산도는 식초를 첨가한 C 시료에서 가장 높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아찌류 제조 시 소금의 농도가 10% 이하일 때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은 무엇인가? 2009; Kim & Kim 1994). 장아찌류 제조 시 소금의 농도는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변화에 주요 인자로 작용하며, 10% 이하의 소금 농도일 때에는 주재료의 연부현상, 곰팡이 및 악취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생산되는 장아찌의 염도가 염도가 5~7%일 때 가장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Kim et al.
장아찌를 만드는 방법 중 소금에 절인 후 다른 절임원을 이용하여 담그는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991). 그 중에 소금에 절인 후 다른 절임원을 이용하여 담그는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소금물에 담금으로써 주재료의 탈수작용 유발, 세포 원형질 변형에 따른 절임원의 침투가 용이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염분의 침투는 효소에 의한 소화작용 및 유효 미생물의 발효를 촉진시키는 동시에 부패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Han et al. 1996; Han et al.
장아찌 이용의 초기 형태와, 어떻게 변해왔는지 설명하시오. 우리나라 침채류는 배추와 같은 엽채류를 이용하여 만드는 김치류, 무를 이용하는 깍두기류 및 동치미류 등이 있고, 그 외에 소박이류, 겉절이류, 생채류, 식해류 및 장아찌류 등이 있다(Jo & Hwang 1988). 이 중에 장아찌는 소금, 간장, 된장 및 고추장 등을 이용하여 만드는 전통 발효 음식 중 하나로 ‘장과(醬果)’ 또는 장지(醬漬)라고 하였고, 초기에는 소금에 절인 형태로만 이용하다가 장류, 식초, 젓갈 및 술지게미 등을 이용하여 계절별, 지역별로 많이 생산되는 채소류를 절여 다양한 종류의 장아찌를 만들어 왔다(Kang et al. 2008; Wo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ha WS, Beak SK, Na KM, Park JH, Oh SL, Lee WY, Chun SS, Choi UK, Cho YJ(2003)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the preparation of persimmon pickle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317-322. 

  2. Chae SK(1999) Studies on the changes in the allinase activity during the aging of picked garlic. Korean J Food Nutr 12, 55-62. 

  3. Cho YJ, Chun SS(2004) Changes of cell wall components and softening enzyme during the preparation of persimmon pickl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55-60. 

  4. Doo HS, Moon JG, Kwon TO, Ryu JH(1999) Effects of polyethylene mulch color and its removing time on growth and yield of yacon(Polymnia sonchiflia Poepp. & End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7, 205-212. 

  5. Han GJ, Shin DS, Jang MS(2009)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Jangachi by storing time.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8-15. 

  6. Han JS, Kim MS, Song JE(1996) A study for the taste and storage of Kimchi. Korean J Diet Cult 11, 207-215. 

  7. Jeong DY, Kim YS, Lee SK, Jung ST, Jeong EJ, Kim HE, Shin DH(2006) Comparison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ickles manufactured in folk villages of Sunchang region. J Fd Hyg Safety 1, 92-99. 

  8. Jeong DY, Kim YS, Jung ST, Shin DH(2006)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soaking of persimmon pickles treated with organic acid and sug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92-399. 

  9. Jo JS, Hwang SY(1988) Standardization of Kimchi and related products(2). Korean J Diet Cult 3, 301-307. 

  10. Jung HA(2006) Change of flavor compounds of pickled garlic with different pickling treatmen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16, 299-307. 

  11. Jung HA, Jung HS, Joo N(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ole and peeled garlic Jangachi(Korean pickle) by aging period.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940-946. 

  12. Jung SJ, Kim GE, Kim SH(2001) The changes of ascorbic acid and chlorophylls content in Gochujanga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814-818. 

  13. Kang NS, Kim JH, Kim JK(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onion Jangachi during aging. Korean J Food Preserv 15, 796-803. 

  14. Kang YK, Ko MR(2004) Effect of transplanting date on growth and yield of yacon. Korean J Crop Sci 49, 188-193. 

  15. Kim HY, Chung HJ(1995)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during the preparation of persimmon pickles and its optimal prepara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697-702. 

  16. Kim JA, Cho MS(2009) Quality changes of immature green cherry tomato pickle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soy sauce and soaking temperatur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ult 24, 295-307. 

  17. Kim JG, Choi HS, Kim SS, Kim WJ(1989)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Korean pickled cucumber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838-844. 

  18. Kim JH, Kim JK(2008) Effect of maturation solution composi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nion Jangachi. Korean J Food Preserv 15, 816-823. 

  19. Kim MJ, Kim SD(1994) The fermentation control of Kimchi. J East Asian Soc Diet Life 4, 75-91. 

  20. Kim MR, Mo EK(1995) Volatile sulfur compounds in pickled garlic. Korean J Soc Food Sci 11, 133- 139. 

  21. Lee CH(1986)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foods. Korean J Diet Cult 1, 395-402. 

  22. Lee HS(1995) The measurement methods of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vegetables. Korean J Soc Food Sci 11, 83-91. 

  23. Lee JM, Lee HR, Nam SM(2002) Optimization for preparation of perilla Jangachi according to steaming time and onion contents. Korean J Food Cult 17, 70-77. 

  24. Lee SY, Yoo KM, Moon BK, Hwang IK(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inegar beverage using yacon roots(Smallantlus sonclnifolius) and analysis of components changes during the fermentat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95-103. 

  25. Lim SJ, Jang KS, Kim KO, Lee HR(1991) Development of recipe for the Korean typical wild-vegetable preparations and their storage. Korean J Soc Food Sci 7, 21-27. 

  26. Nam SM, Lee HR, Lee JM(2003) Removal efficiency of residual pesticides during processing of Perilla Jangachi preparation. Korean J Food Cult 18, 562-568. 

  27. Park ML(200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ine-tree mushroom(Tricholoma matsutake Sing.) pickle for the standard recipe. Korean J Culinary Res 14, 55-66. 

  28. Park MW, Park YK, Jand MS(1994) Change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Pickled cucumber with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J Korean Soc Food Nutr 23, 634-640. 

  29. Shin DJ, Kim KH, Son GM, Lee SC, Hwang YI(2000)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during preparation of persimmon pick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420-424. 

  30. Son EJ, Oh SH, Heo OS, Kim MR(2003)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urnip pickle added with chitosan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302-1309. 

  31. Woo NRY, Chung HK, Kang MH(2005)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pepper pickle made by different preheating temperature treatm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19-1225. 

  32. Yoon GS(1995)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utilization of Korea traditional casic side dishes I -Jangachies-. Korean J Diet Cult 10, 457-4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