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염 개두릅 장아찌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Salt Kalopanax pictus Shoot Jangajji Using Soybean Sau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 2015년, pp.104 - 110  

이신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강경명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발효식품의 저염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설탕 및 식초를 첨가한 간장 농도를 달리한 침지액를 이용하여 제조한 개두릅 장아찌의 숙성 중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pH 변화는 숙성 초기 pH 3.82를 나타내었으며, 간장 농도가 증가할수록 처리군 간의 pH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숙성기간에 따른 pH의 변화는 숙성 20일까지 증가하여 pH 4.02~4.41을 나타내었고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적정산도의 변화는 pH의 변화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염도는 간장 농도와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개두릅 자체의 염도는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이후 서서히 증가하여 숙성 50일째 각각 0.95%(대조군), 1.30%(KJ-10), 2.30%(KJ-20), 2.87%(KJ-30), 3.33%(KJ-40), 3.67%(KJ-50)를 나타내었다. 총균수는 숙성 과정 중 2.85~4.74 Log CFU/g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대장균군수는 숙성 20일 이후부터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KJ-20이 색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았다. 개두릅 장아찌 추출물의 polyphenolflavonoid 함량은 간장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은 각각 대조군이 27.22%, 38.37%, KJ-10이 40.74%, 43.65%, KJ-20이 41.79%, 50.37%, KJ-30이 43.09%, 52.60%, KJ-40이 48.62%, 53.45%, KJ-50이 50.85%, 60.79%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develop new Kalopanax pictus shoot Jangajji (KJ) with low salt concentration, physicochemical changes of KJ soaked at different concentration of soybean sauce (10~50%) were investigated for 50 days. The pH of KJ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soybean sauce in 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러한 소비자의 기호성의 변화에 따라 저염 채소 절임식품의 제조 및 발효 특성 구명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금 농도를 달리한 개두릅 장아찌의 제조 중 품질 특성과 식품학적 특성을 구명하여, 개두릅의 기능성식품의 소재화와 전통발효식품의 저염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 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절임류란 무엇인가? 절임류는 채소류, 과실류, 향신료 등의 식재료를 식염, 식초, 당류, 또는 장류 등에 절이거나 다른 식품을 가하여 가공 저장한 것으로 장아찌로 불리며 밑반찬으로 주로 이용되어 온 전통 발효음식 중 하나이다(4). 이러한 장아찌는 제조 및 발효 과정 중 생성된 각종 유기산과 알코올 성분, 비타민, 무기질 그리고 풍부한 식이성 섬유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식욕 촉진, 변비 및 대장암 등의 예방효과가 있으며, 유용한 미생물도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엄나무의 함유 성분은? 우리나라 전 지역에 자생하는 엄나무(Kalopanax pictus)는 오갈피나무과로 음나무, 개두릅나무라고도 하며, phenol 성 화합물인 liriodendrin, syringin, chlorogenic acid와 saponin인 kalopanaxsapon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산채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순은 일명 개두릅이라 하며 면역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소염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
엄나무 순의 효능으로 보고된 내용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전 지역에 자생하는 엄나무(Kalopanax pictus)는 오갈피나무과로 음나무, 개두릅나무라고도 하며, phenol 성 화합물인 liriodendrin, syringin, chlorogenic acid와 saponin인 kalopanaxsapon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산채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순은 일명 개두릅이라 하며 면역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소염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 그러나 지금까지 대다수의 개두릅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의 기능성을 검증하고 있으나 이를 이용한 절임 식품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Lee E, Choi MY, Park HJ, Cha BC, Cho SH. 1995. Chemical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ity of Kalopanacis Cortex. Kor J Pharmacogn 26: 122-129. 

  2. Park CH, Ahn SD, Jang BH, Ham SS. 1995. Explanation of herbs at hils and moors. Kangwon University Publishing Occupation, Chuncheon, Korea. p 102. 

  3. Jun DH, Lee JT, Cheon SJ, Lee CE, Kim TH, Lee DH, Han JG, Kim SH. 2009. Polyphenol and anti-oxidant effects of Kalopanax septemlobus Koidz. leaf extracts. Korean J Plant Res 22: 343-348. 

  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5. Korea Food Code. Moonyoungsa, Seoul, Korea. p 465. 

  5. Song JE, Kim MS, Han JS. 1995. Effects of the salting of Chinese cabbage on taste and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Soc Food Sci 11: 226-232. 

  6. Kim JA, Cho MS. 2009. Quality changes of immature green cherry tomato pickle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soy sauce and soaking temperatur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ulture 24: 295-307. 

  7. Seo BC, Oh JM. 2002. Development of low-salt foods now and the future. Korean J Community Nutr 7: 401-404. 

  8. Dahl LK. 1972. Salt and hypertension. Am J Clin Nutr 25: 231-244. 

  9. Caggiula AW, Wing RR, Nowalk MP, Milas NC, Lee S, Langford H. 1985. The measurement of sodium and potassium in take. Am J Clin Nutr 42: 391-398. 

  10. Singleton VL, Rossi Jr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ibdic-phosphotungsitc acid reagent. Am J Enol Vitic 16: 144-158. 

  11. Saleh ES, Hameed A. 2008. Total phenolic cont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ertain Egyptian Ficus species leaf samples. Food Chem 114: 1271-1277. 

  1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3.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4. Chung DO, Chung HJ. 1995. Associated microorganism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persimmons pickles. Korean J Dietary Culture 10: 133-137. 

  15. Nam SM, Lee HR, Lee JM. 2003. Removal efficiency of residual pesticides during processing of Perilla Jjangachi preparation. Korean J Food Culture 18: 562-568. 

  16. Lee JM, Lee HR, Nam SM. 2002. Optimization for preparation of Perilla Jangachi according to steaming time and onion contents. Korean J Food Culture 17: 653-662. 

  17. Choi SA, Cho MS. 2012.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eggplant pickles by salt content and drying tim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ulture 27: 211-224. 

  18. Jeong DY, Kim YS, Jung ST, Shin DH. 2006.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soaking of persimmon pickles treated with organic acid and sug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92-399. 

  19. Jung ST, Lee HY, Park HJ. 1995. The acidity, pH, salt content and sensory scores change in Oyijangachi manufacturing. J Korean Soc Food Nutr 24: 606-612. 

  20. Jeong DY, Kim YS, Lee SK, Jung ST, Jeong EJ, Kim HE, Shin DH. 2006. Comparison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ickles manufactured in folk villages of Sunchang region. J Fd Hyg Safety 1: 92-99. 

  21. Kim CH, Yang YH, Lee KJ, Park WS, Kim MR.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ckled cucumber prepared with dry salting methods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21-728. 

  22. Beecher GR. 2003. Overview of dietary flavonoids: nomenclature, occurrence and intake. J Nutr 133: 3248S-3254S. 

  23. Hwang IG, Woo KS, Kim TM, Kim DJ, Yang MH, Jeong HS. 2006.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juice with heat treatment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42-347. 

  24. Choi JH, Oh SK. 1985. Studies on the anti-aging action of Korean ginse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506-515. 

  25. Kang MH, Park CG, Cha MS, Seong NS, Chung HK, Lee JB. 2001.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each extract prepared by different extract methods from by-products of Glycyrrhizia uralens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38-142. 

  26. Kim JG, Kang YM, Eum GS, Ko YM, Kim TY. 2003.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Akebia quinate Decaisn, Scirusfluviatilis A. Gray,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Makino). J Agric Life Sci 37: 69-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