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강 수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Upstream Watershed of East River, Korea 원문보기

한국하천호수학회지=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5 no.1, 2012년, pp.21 - 33  

조용철 (상지대학교 환경공학과) ,  신윤근 (상지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강 수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8년 5월부터 2009년 4월까지 22개 지점에서 총 4 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동강수계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총 159종으로서 7강 58속 113종 21변종 25미동정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규조강이 90종류로 전체 중 56.6%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 녹조강이 47종류로 29.6%의 점유율을 나타냈으며 남조강이 17종으로 10.7%, 유글레나강이 2종으로 1.3%, 황색편모조강, 갈색편모조강, 와편모조강이 각각 1종 0.6%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기간 모든 시기 20정점 이상에서 출현한 보편종은 Cocconeis placentula, Cymbella minuta, Diatoma vulgare, Melosira varians, Navicula cryptocephala, Scenedesmus acuminatus v. acuminatus 등 6종이었다. 현존량은 86 cells $mL^{-1}$~1,467 cells $mL^{-1}$의 범위로 나타났고, 점유율이 10% 이상인 우점종은 Achnanthes minutissima, Asterionella formosa, Aulacoseira ambigua, Cocconeis placentula, Coelastrum microporum, Cyclotella sp., Cymbella affinis, C. minuta, C. tumida, Diatoma vulgare, Fragilaria capucina, F. construens, F. crotonensis, Gomphonema affine, G. clevei, Melosira varians, Merismopedia elegans, Navicula cryptocephala N. pupula, Nitzschia tryblionella, Oscillatoria anna, O. limosa O. tenuis v. tenuis, Pediastrum duplex v. reticulatum, Phormidium tenue, Scenedesmus acuminatus v. acuminatus, S. acutus v. acutus, S. ecornis v. ecornis, S. quadricauda v. quadricauda, Spirogyra sp., Stigeoclonium sp., Synedra acus, S. ulna, Ulothrix sp. 등 34종이었는데, 가장 중요한 종은 90개 시료 중 52개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난 Cymbella minuta이었다 종다양성지수는 1.58~3.10, 균등도지수는 0.51~0.95, 우점도지수는 0.22~0.74의 범위로 연구지역이 상당히 안정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상류정점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는 도암호에서 나오는 방류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rvey o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in the upstream watershed of the East River was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from May, 2008 to April, 2009. A total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included 159 taxa, consisting of 7 orders, 56 genera, 139 species, and 40 unidenfied sp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0), 동강 수질과 부착조류에 대해 연구한 Seo et al.(2010), 집중 강우가 남한강 상류수계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Park and Shin (2011) 등이 있는데 본 연구는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구조와 분포를 조사하여 상류 수계의 하천생태계의 특성을 이해하고 아울러 도암호로부터 나오는 유출수가 남한강 상류수역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 도암호를 비롯한 남한강 수계에서의 향후 수질관리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한강 상류 유역의 특징은? 산림벌채 이후 고랭지 채소를 경작하고 목축을 위한 초지를 조성하며 스키장 등의 위락시설들이 생겨난 이후 계류의 수질이 악화되는 일들이 생겨나고 있다. 본 연구 대상지인 남한강 상류 유역은 강원도 강릉시, 정선군, 평창군, 영월군의 산림지대를 흐르는 계류성 하천으로 하천 수변지형이 화려하고 주변의 산세가 험하며 하천유역은 높은 절벽으로 이루어진 곳이 많아 유속이 비교적 빠른 전형적인 상류 산간 수계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연구대상의 상류 지역인 송천에 존재하고 있는 도암호의 부영영화 (Kim et al.
식물플랑크톤이 하천 오염 지표종으로 다뤄지는 이유는? , 2002). 식물플랑크톤은 수계생태계의 중요한 구성원이자 1차생산자로서 먹이연쇄의 기반을 형성하여 생태계 내 에너지 순환에서 매우 중요하며, 이들은 주변환경의 물리, 화학적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환경오염의 지표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하천의 오염지표종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Watanabe, 1962; Palmer, 1977; Hellawell, 1986).
남대천의 오염을 일으킨 도암호의 부영양화의 원인은? 이로 인해 도암댐은 유역 변경식으로 가동되다가 남대천의 오염이 심각해지자 발전을 멈추고 단순히 하류로 호수물을 방류하고 있다. 도암호에서 방류하는 물에 미세한 입자들을 많이 포함하여 탁수 문제가 발생해 2005년 한수원에서 도암댐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를 수행한 적이 있는데 도암호의 부영양화 원인은 상류에 존재하고 있는 고랭지 농지, 목장 등과 스키장, 골프장, 콘도 등의 위락시설 등에서 나오는 오염물질들이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Lee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Aditya, R.K.N., Y.K. Shin and Y.C. Seo. 2010. Limiting nutrients in the East River,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ysis 13: 67-77. 

  2. An, K.G. and I.C. Shin. 2005. Influence of the asian monsoon on seasonal fluctuations of water quality in a mountainous strea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8: 54-62. 

  3. Biggs, B.J.F. and M.E. Close. 1989. Periphyton biomass dynamics in gravel bed rivers: the relative effects of flow and nutrients. Freshwater Biology 22: 209-231. 

  4. Chung, J. 1993. Illustrations of the Korea fresh-water algae. Academy Press. 496 pp. 

  5. Chung, Y.T., B.H. Kim, M.K. Choi and I.S. Wui. 1991. Seasonal variation of phytoplanton community in Pyunsanbando National Park,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24: 239-250. 

  6. Cleve-Euler, A. 1951-1955. Die diatomeen von Schweden und Finnland. I-V. Kungliga Svenska Vetenskaps-Akademiens Handlingar, Ser. 4, I. Vol. 2, No.1, 1-163 P. figs. 1-294, pl. 1-6 (1951) II. Vol. 3, No. 3, 1-153 p. figs. 1318-1538 (1952) III. Vol. 4, No. 5, 1-158 p. figs. 292-483 (1953a) IV. Vol. 4, No.4, 1-255 p. figs. 484-970 (1953b) V. Vol. 4, No. 5, 1-232 p. figs. 971-1306 (1955). 

  7. Hellawell, J.M. 1986. Biological indicators of freshwater pollution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Elsevier Applied Science Publishers, 546 p. 

  8. Heo, S.G., K.S. Kim, J.H. Ahn, J.S. Yoon, K.J. Lim, J.D. Choi, Y.C. Shin and C.W. Lyou. 2007. Landscape analysis of the forest fragmentations at Doam-dam watershed using the FRAGSTATS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 10-21. 

  9. Hirose, H. and T. Yamagishi. 1977. Illustrations of the Japanese fresh-water algae. Uchidarokakuho, Tokyo, 933 pp. 

  10. Horner, R.R. and E.B. Welch, 1981. Stream periphyton development in relation to current velocity and nutrients.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38: 449-457. 

  11. Horner, R.R. and E.B. Welch, M.R. Seeley and J.M. Jacoby. 1990. Response of periphyton to changes in current velocity, suspended sediment and phosphorus concentration. Freshwater Biology 24: 215-232. 

  12. Huh, I.R., S.G. Park, K.Y. Choi and U.H. Jeong. 1995. A study on the upstream water quality and distribution of pollution loading for Song Stream.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11: 175-181. 

  13. Kasaki, H. 1995. Asterionella formosa, p. 241-242. In: Illustrations of the Japanese environmental microorganisms (Kojima, S., R. Sudo and M. Chihara, eds.). Kodansa, Tokyo. 

  14. Kasaki, H. 1995. Aulacoseira ambigua, p. 211. In: Illustrations of the Japanese environmental microorganisms (Kojima, S., R. Sudo and M. Chihara, eds.). Kodansa, Tokyo. 

  15. Kasaki, H. 1995. Cymbella minuta, p. 247. In: Illustrations of the Japanese environmental microorganisms (Kojima, S., R. Sudo and M. Chihara, eds.). Kodansa, Tokyo. 

  16. Kim, B.C., W.M. Heo and G.S. Hwang, 1995. The eutrophication of Lake Doa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28: 233-240. 

  17. Kim, J.H., J.W. Seo, Y.E. Na and K.G. An. 2007. Ecological health assessments on turbidwater in the downstream after a construction of Yongdam da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0: 130-142. 

  18. Kim, Y.J. 2003. Seasonal change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Hantan Rive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6: 191-199. 

  19. Lee, J.H., J.N. Kwon and S.Y. Yang. 2002. Season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Naktong River. Algae 17: 267-273. 

  20. Lee, J.W. 2004. The water quality and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Dong River of Kangwon Province, Korea. Algae 19: 217-226. 

  21. Lee, K., J.K. Choi and J.H. Lee. 1995. Taxonomic studies on diatoms in Korea II. Check-list. The Korean Journal of Phycology 10(supplement): 13-89. 

  22. Lee, K. and S.K. Yoon. 2000. Seasonal changes of the phytoplankton and periphyton community at the Suer Stream in Kwangyang.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3: 38-50. 

  23. Lee, K. and S.K. Yoon. 2002. Seasonal change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Imjin Rive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5: 111-122. 

  24. Lee, S.H., J.S. Choi, K.Y. Lee, Y.S. Jang, I.S. Lim, W.M. Heo, J.K. Kim and B.C. Kim. 2006. A study of water quality and fish community in Lake Doa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9: 167-177. 

  25. Lohmann, K., J.R. Jones and B.D. Perkins. 1992. Effects of nutrient enrichment and flood frequency on periphyton biomass in Northern Ozark Streams.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9: 1198-1205. 

  26. Luce, J.J., R.S. Steele and M.F. Lapointe. 2010. A physically based statistical model of sand abrasion effects on periphyton biomass. Ecological Modelling 221: 353-361. 

  27. Mizuno, T. 1977. Illustrations of the freshwater plankton of Japan. Hoikusha publishing Co. LTD. 353 pp. 

  28. Osmundson, D.B., R.J. Ryel, V.L. Lamarra and J. Pitlick. 2002. Flow-sediment-biota relations: implications for river regulation effects on native fish abundance. Ecological Applications 12: 1719-1739. 

  29. Palmer, C.M. 1977. Algae and water pollution. EPA 600/9-77-1205. 

  30. Park. J.C., J.W. Park, J.K. Shin and H.M. Lee. 2005. Dynamics of high turbid water caused by heavy rain of monsoon and typhoon in a large Korean reservoir (Andong reservoi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8: 105-117. 

  31. Park, J.H. 2002. Influences of clearcutting of timber harvesting on stream water quality.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5: 45-51. 

  32. Park, S.M. and Y.K. Shin. 2011. The impact of monsoon rainfall on the water quality in the upstream watershed of southern Han Rive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4: 373-384. 

  33. Patrick, R. 1977. Ecology of freshwater diatoms-diatom communities, p. 284-322. In: The biology of diatoms (Werner, D., ed.). Blackwell, Oxford. 

  34. Patrick, R. and C.W. Reimer, 1966. The diatoms of the United States exclusive of Alaska and Hawaii. Vol. 1. Monographs of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ladelphia # 13. 

  35. Patrick, R. and C.W. Reimer. 1975. The diatoms of the United States exclusive of Alaska and Hawaii. Vol. 2. Monographs of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ladelphia # 13. 

  36. Pielou, E.C. 1966. The mear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ological collections.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13: 131-144. 

  37. Poff, N.L., J.D. Allen, M.B. Bain, J.R. Karr, K.L. Prestegaard, B.D. Richter, R.E. Sparks and J.C. Stromberg. 1997. The natural flow regime. A paradigm for rive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Bioscience 47: 769-784. 

  38. Prescott, G.W. 1962. Algae of the western Great Lakes area. Otto Koeltz Science Publishers, Konigstein. 977 pp. 

  39. Reid, G.K. and R.D. Wood. 1976. Ecology of inland waters and estuaries. D. Van Nostrand Co., Toronto. p. 485. 

  40. Sabater, S., S.V. Gregory and J.R. Sedell. 1998. Community dinamics and metabolism of benthic algae colonizing wood and rock substrata in a forest stream. Journal of phycology 34: 561-567. 

  41. Seo, Y.C., D.H. Kim and Y.K. Shin. 2010. Physiochemical chracteristics and dynamics of periphyton communities in the downstream watershed of the Doam-d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Analysis 13: 116-124. 

  42. Shannon, C.E. and W. Wie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Illinoise Univ. Press. Urbana. 177 pp. 

  43. Sh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888. 

  44. Shin, J.K., J. Hur, H.S. Lee, J.C. Park and S.J. Hwang. 2006. Spartial interpretation of monsoon turbid-water environment in a reservoir (Yongdam) discharging surface water,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2: 933-942. 

  45. Shin, Y.K. 1996. Studies o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upper region of Sum River,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29: 143-157. 

  46. Simonsen, R. 1979. The diatom system: ideas on phylogeny. Bacillaria 2: 9-71. 

  47. Smith, G.H., 1950. The freshwater algae of Illinoise States. McGraw-Hill. New York. 719 pp. 

  48. Stevenson, J.R. and C.G. Peterson. 1991. Emigration and immigration can be important determinants of benthic diatom assemblages. Freshwater Biology 26: 279-294. 

  49. Watanabe, T. 1962. On the biotic index of water pollution based upon the species number of bacillariophyceae in the Tokoro River in Hokkaido (in Japanese). Japanese Journal of Ecology 12: 216-222. 

  50. Wetzel. R.G. 1983. Limnology. (2nd edition: complete revision) Sounders College Publishing, Philadelphia. 858 pp. 

  51. Yamagishi, T. and M. Akiyama. 1984-1989. Photomicrographs of the fresh-water algae. Volume 1-10. Uchidarokakuho, Toky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