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강 하구 기수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연구
A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Geum River Estuary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6 no.4, 2013년, pp.524 - 540  

신윤근 (상지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금강 하구언의 건설 이후 환경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계절별로 4회(2010년 4월, 7월, 10월, 12월) 금강하구역의 9개 정점에서 이화학적 특성과 함께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조사하였다. 금강하구기수역의 이화학적 특성은 금강 하구언이 건설된 이후에 조석 흐름이 변화되어 해수 유입이 약해지므로 금강이나 경포천을 통해 유입되는 담수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염의 경우 금강하구언 건설 이후 갑문이 폐쇄된 이후 최대조류의 크기가 감소하고 부분 순환형으로 바뀌면서 군산과 장항과 같은 주변 도시의 도시 유출수와 경포천에서 유입되는 생활하수 그리고 금강하구언에서 유입되는 주기적 담수에 포함된 영양염이 기수역 내부에 축적되는 경향을 보여 그 농도가 이전보다 높아진 것으로 여져진다. 따라서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영향을 주어 부영양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은 총 233종류가 출현하여 이전 연구결과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였는데 해양종과 기수종 그리고 주기적 담수 방류에 의해 유입된 담수종이 혼재하는 현상으로 인해 출현종의 수가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출현종 중에 가장 중요한 종군은 규조류로 72%의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담수종인 녹조류가 규조류 다음으로 많이 출현하였고 해양에서 중요한 분류군인 와편모류는 녹조류보다 적었다. 해양종인 와편모조류 보다 담수종인 녹조류가 더 많은 종이 출현하는 것은 주기적인 담수의 방류와 경포천 등에서 유입되는 담수에 포함된 담수종들이 금강 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 종조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143\;cells\;mL^{-1}{\sim}12,016\;cells\;mL^{-1}$의 범위로 평균 현존량은 $2,010\;cells\;mL^{-1}$이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하구언 건설 이전에 비해 상당히 증가한 것으로 금강하구 기수역이 부영양화되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봄철과 겨울철에는 기수역 규조류들이 우점하였으나 여름과 가을에는 담수종들이 우점종으로 나타나 비정기적 담수의 방류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다양성지수는 동계를 제외하고는 2.0 이상으로 나타났다. 종풍부도는 저층에서 더 다양한 종이 출현하고 있음을 잘 나타내고 있다. 가을철에는 금강 하구언으로부터 담수가 방류되어 담수종들이 추가되어 종풍부도를 커지고, 여름철에는 수온이 높아지면서 밀도가 큰 규조류들은 적어지고 작은 편모류가 증가하지만 종의 수는 많지 않아 담수의 영향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계절에 비해 종 풍부도는 낮았다. 모든 계절에 저층에서 종 풍부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은 표층에 비해 염분 쇄기에 의해 해양종, 기수종 및 담수종이 혼재될 가능성이 크고 조류의 영향으로 저층 퇴적물이 재부유될 때 저생성 규조류가 더해지기 때문이다. 집괴분석 결과 금강하구역은 군산 등 도시에서 나오는 생활하수와 경포천을 통해 유입되는 담수 그리고 금강하구언으로부터의 주기적인 담수의 방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Geum River estuary dam, we investigated the ecological property of phytoplankton community with physicochemical property in 9 stations of Geum River estuary 4 times seasonally in 2010 about the environmental changes through the change of phytoplankton. Physicochemical 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플랑크톤의 밀도와 조성 등이 수중 생테계의 구조와 기능 및 외부의 영향을 파악하는데 필수적인 자료가 되는 이유는? 식물플랑크톤은 수계생태계에서 광합성을 통해 유기물을 생산하는 생물군 가운데 가장 중요한 그룹이다 (Williams et al., 2002). 특수한 곳을 제외하면, 실제로 거의 모든 수괴에서 일차생산자는 식물플랑크톤과 부착조류 등으로 규정할 수 있으며, 이들은 생태계 전체의 생물 활동에 쓰이는 에너지와 물질을 근본적으로 제공하는 생물군이다(Wetzel, 2008).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과 생산력에 대한 정보는 어떤 수계생태계의 생산력이 결정되는 척도로서 대단히 중요하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환경의 변화에 대해 빠르고 민감하게 반응하여 오염 지표성이 뛰어나며, 영양염 유입에 따른 적조 유발 조류 혹은 유독성 조류의 대발생이 일어난다(Hellawell, 1986; Suthers and Rissik, 2009). 따라서 식물플랑크톤의 밀도와 조성 등은 어떤 수중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파악하는데,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기초 조사일 뿐만 아니라, 수계생태계에 미치는 외부의 영향을 탐색하고 평가 하는 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한다(Wetzel, 2008; Suthers and Rissik, 2009).
금강하구의 하구둑이 완공된 시점은 언제인가? 금강하구의 경우 하구둑은 1988년 완공하였으나 1994년부터 수문을 개폐하여 방류를 시작하였는데 수문을 통해 비정기적으로 담수를 방류하면 염분이 저하될 뿐 아니라 수중의 무기 영양염의 농도도 크게 변화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et al., 1999; Yang et al.
금강하구의 수문을 개폐하여 방류를 시작한 때는 언제인가? 금강하구의 경우 하구둑은 1988년 완공하였으나 1994년부터 수문을 개폐하여 방류를 시작하였는데 수문을 통해 비정기적으로 담수를 방류하면 염분이 저하될 뿐 아니라 수중의 무기 영양염의 농도도 크게 변화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et al., 1999; Y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ho, J.H. and M.S. Seoh. 1988. Annual variation chracteristics of suspended solid in the Keum river estuary.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9: 143-162. 

  2. Choi, J.K. 1985. The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in Kyunggi Bay, Korea.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320 pp. 

  3. Choi, J.K., Y.S. Kang and J.H. Noh. 2003a. The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distribution in the Yellow Sea coastal waters. In: Biological Oceanography in Korean - The plankton ecology of Korean Coastal waters- (Choi, J.K. ed.). Donghwa Pub. 51-67. 

  4. Choi, J.K., Y.S. Kang, J.H. Noh and J.H. Shim. 2003b. The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distribution in the East Sea coastal waters. In: Biological Oceanography in Korean - The plankton ecology of Korean Coastal waters- (Choi, J.K. ed.) Donghwa Pub. 58-85. 

  5. Choi, J.Y., H.Y. Choi and M.S. Seoh. 1995. Physical and sedimentological changes in the Keum estuary after the gateclose of Keum river wei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0: 262-270. 

  6. Hellawell, J.M. 1986. Biological indicators of freshwater pollution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Elsevier Applied Science Publishers, 546 p. 

  7. Jeong, Y.H., O.M. Lee and K.H. Noh. 1985. Annual (1984-1985) dynamaic of phytoplankton in K?um river estuary. Bulletin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ser. 7: 17-25. 

  8. Jeong, Y.H., Y.T. Kim, Y.J. Chae, C.W. Rhee, K.R. Ko, S.Y. Kim, J.Y. Jeong and J.S. Yang. 2005. Analysis of long-term monitoring data from the Geum river estuary.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0: 139-144. 

  9. Kim, H.S., Y.G. Kim, J.S. Yang and W.H. Yih. 2004. Comparative population dynamics of photothinthetic ciliate Mesodinium rubrum (Myrionecta rubra) in Gomso bay and Geum river estuary, Korea.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 164-172. 

  10. Kim, J.G. 1998.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Keum river estuary by multivariate analysi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 Society 7: 591-598. 

  11. Kim, J.G. and H. Kang. 2002. The effect of tidal cycle and river runoff on the dynamic of nutrients in Keum river.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 Society 11: 519-528. 

  12. Kim, K.Y. and J.H. Ki. 1987a. Studies on chemical and Biological processes in the Keum river estuary, Korea I. The cycle of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General considerations.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Korea 22: 191-206. 

  13. Kim, K.Y. and J.H. Ki. 1987b. Studies on chemical and Biological processes in the Keum river estuary, Korea II. Factors controlling chlorophyll-a distribution.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Korea 22: 207-215 

  14. Kim, T.I., B.H. Choi and S.W. Lee. 2006, Hydrodynamics and sedimentation induced by large-scale coastal developments in the Keum river estuary,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68: 515-528. 

  15. Lee, S.H., H.K. Kwon, H.Y. Choi, J.S. Yang and J.Y. Choi. 1999. Physical environment changes in the Keum river estuary by the dyke gate operation II. Salinity structure and estuary type.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 225-265. 

  16. Lee, S.K. and S.M. Boo. 2000. Standing crops of freshwater phytoplankton in Keumgang river,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18: 347-353. 

  17. Lee, Y.H. and J.S. Yang. 1997. 500-days continuous observation of nutrients, chlorophyll, suspended solid and salinity in the Keum estuary, Korea.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 1-7. 

  18. MOE. 2004.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MOE bulletin 2004-188. 355pp. 

  19. Park, S.Y., H.C. Kim, P.J. Kim, G.S. Park and J.S. Park. 2007. Long-term vari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Asan coastal areas of Yellow Sea, Koea. Journal of the Environment Sciences 16: 1411-1424. 

  20. Park, S.Y., O.I. Choi, J.N. Kwon, K.A. Jeon, H.C. Kim, P.J. Kim and J.S. Park. 2009. Long-term vari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Gunsan coastal areas of Yellow Sea, Ko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15: 297-313. 

  21. Pielou, E.C. 1966. The mear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ological collections.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13: 131-144. 

  22. Roelofs, A.K. 1984. Distributional patterns and variation of valve diameter of Paralia sulcata in surface sediments of southern Britisch Columbia Inlets. Estuarine Coastal and Self Sciences 18: 165-176. 

  23. Shannon, C.E. and W. Wie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Illinoise Univ. Press. Urbana. 177pp. 

  24. Shim, J.H. and J.K. Choi. 1978. Structure and functional changes in planktonic algal communities of the Han river.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Korea 17(2): 31-41. 

  25. Shim, J.H. and J.S. Yang. 1982.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of the Keum river estuary.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Korea 17: 1-11. 

  26. Shim, J.H. and S.J. Yoo. 1985. Phytoplankton community of the coast of Kunsan, Korea. Journal of the Oceanological Society Korea 20: 31-42. 

  27. Shim, J.H., Y.K. Shin and W.H. Lee. 1991. Environmental propertie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of the lower Mankyeong river.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24: 45-54. 

  28. Sh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888. 

  29. Shin, Y.K., J.Y. Shim and H.G. Yeo. 1997.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distribution and productivity of plankton in the Chonsu Bay,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3: 34-47. 

  30. Suthers, I.M. and D. Rissik. 2009. Plankton: A Guide to Their Ecology and Monitoring for Water Quality. CSIRO Publishing. 272pp. 

  31. Takano, H. 1995. Asterionella formosa, p. 241-242. In: Illustrations of the Japanese environmental microorganisms (Kojima, S., R. Sudo and M. Chihara eds.). Kodansa, Tokyo. 

  32. Wetzel, R.G. 2008. Limnology. Lake and River Ecosystems 3rd Edition. Academic Press. 1006 pp. 

  33. Williams, P.J. le B., D.N. Thomas and C.S. Reynolds. 2002. Phytoplankton Productivity: Carbon Assimilation in Marine and Freshwater Ecosystems. Blackwell Science. 386 pp. 

  34. Yang, J.S., J.Y. Jeong, J.Y. Heo, S.H. Lee and J.Y. Choi. 1999. Chemical mass balance of materials in the Keum river estuary 1. Seasonal distribution of nutrients.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 71-79. 

  35. Yang, J.S., K.H. Kim and Y.T. Kim. 2003. Didtribution of nitrogen components in seawater overlying the Gomso tidal flat.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8: 251-261. 

  36. Yeo, H.G. and H. Kang. 1998.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s of Inchon.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7: 321-326. 

  37. Yih, W.H., G.O. Myung, Y.D. Yoo, Y.G. Kim and H.J. Jeong. 2005. Semiweekly variation of spring phytoplankton community in relation to the freshwater discharges from Keum river estuarine weir, Korea.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0: 154-1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