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산강 수계 자연유기물질의 계절별 형광특성 연구
Seasonal Investigation of Natural Organic Matters from Yeongsan River Basin by Fluorescence Spectroscopy 원문보기

한국하천호수학회지=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5 no.1, 2012년, pp.42 - 51  

이동진 (국립환경과학원) ,  전강민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  정수정 (국립환경과학원) ,  김상돈 (국립환경과학원) ,  이경희 (국립환경과학원) ,  황태희 (국립환경과학원) ,  황동진 (국립환경과학원) ,  임병진 (국립환경과학원) ,  조재원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영산강 수계의 일반적인 수질 특성(pH, DO, 전기전도도, BOD, COD, TN, TP, Chl-$a$, DOC, $UV_{254}$, SUVA)과 3D fluorescence excitation-emission matrix (FEEM) 분석을 통한 자연유기물질(NOM)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FEEM은 여기 파장과 방출 파장에서의 형광세기를 이용하여 단백질계 (protein-like), 펄빅계 (fulvic-like) 및 휴믹계(humic-like) 물질을 분류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수질 항목(BOD, COD, TN, 전기전도도 및 DOC)는 영산강 수계의 중류에 위치한 광주하수처리장(GJS), 광주천(GJC), 광주2 (GJ2) 등 광주광역시 지역에서 상류 및 하류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지점에서 SUVA값은 3 L $mg^{-1}\;m^{-1}$보다 낮게 나타나 친수성 경향을 보이나, 영산강 상류지역인 담양(DY)에서는 겨울과 가을에 3 L $mg^{-1}\;m^{-1}$ 이상으로 소수성 경향을 보이고 있다. FEEM 조사결과, 대부분의 지점은 펄빅계와 휴믹계 물질이 검출되었으며, 다만 겨울에 광주지역(GJS, GJC, GJ2), 여름에 GJC 지점에서는 단백질계 물질이 검출되었다. 영산강 상류부터 하류지역까지 대부분의 지점에서 형광세기는 일반 수질항목(BOD, COD, TN, DOC) 농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광주시 지역(GJS, GJC, GJ2)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부분의 지점에서 형광지표(Flourescence index, FI)의 경향과도 일치하며, 광주시에서 FI가 높게 나타난 것은 규모가 큰 광주시 하수처리장에서 방류되는 자연유기물질(EfOM)로 인한 미생물 기원 물질이 많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organic matter (NOM) with general water characteristics (pH, DO, electrical conductivity, BOD, COD, TN, TP, Chl-$a$, DOC, $UV_{254}$, SUVA) and the 3D fluorescence excitation-emission matrix (FEEM) in the Yeongsan River b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방출파장) matrix (FEEM)은 유기물질 분석에 널리 이용되는 분석법 중 하나로서, UV를 이용한 분석법보다 감도가 좋은 분석법으로 주로 방향성 및 단백질 물질의 분석에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Xenon lamp를 광원으로 장착하고 있는 HITACHI사의 F-2500 fluorescenc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유기물의 형광특성을 측정함으로써 영산강 수계에 존재하는 자연유기물질의 주요 구성성분을 조사하였다. 분석 조건은 스캔 속도가 3,000 nm min-1, 파장 범위가 방출 및 여기 공히 220~500 nm, 광전증폭관 전압(photomultiplier tube voltage)가 700 V 등이다.
  •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수계의 주요 본류 지점과 광주지역 지천(광주천) 및 하수처리장 방류수 등에 대하여 계절별로 자연유기물질의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미량 유기물질분석도 가능한 FEEM를 이용하여 영산강 수계 자연유기물질의 분포특성을 조사하여 기원파악 및 수계 수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수계의 주요 본류 지점과 광주지역 지천(광주천) 및 하수처리장 방류수 등에 대하여 계절별로 자연유기물질의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미량 유기물질분석도 가능한 FEEM를 이용하여 영산강 수계 자연유기물질의 분포특성을 조사하여 기원파악 및 수계 수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EEM의 사용 목적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영산강 수계의 일반적인 수질 특성(pH, DO, 전기전도도, BOD, COD, TN, TP, Chl-$a$, DOC, $UV_{254}$, SUVA)과 3D fluorescence excitation-emission matrix (FEEM) 분석을 통한 자연유기물질(NOM)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FEEM은 여기 파장과 방출 파장에서의 형광세기를 이용하여 단백질계 (protein-like), 펄빅계 (fulvic-like) 및 휴믹계(humic-like) 물질을 분류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수질 항목(BOD, COD, TN, 전기전도도 및 DOC)는 영산강 수계의 중류에 위치한 광주하수처리장(GJS), 광주천(GJC), 광주2 (GJ2) 등 광주광역시 지역에서 상류 및 하류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반수질 항목 5가지는? FEEM은 여기 파장과 방출 파장에서의 형광세기를 이용하여 단백질계 (protein-like), 펄빅계 (fulvic-like) 및 휴믹계(humic-like) 물질을 분류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수질 항목(BOD, COD, TN, 전기전도도 및 DOC)는 영산강 수계의 중류에 위치한 광주하수처리장(GJS), 광주천(GJC), 광주2 (GJ2) 등 광주광역시 지역에서 상류 및 하류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지점에서 SUVA값은 3 L $mg^{-1}\;m^{-1}$보다 낮게 나타나 친수성 경향을 보이나, 영산강 상류지역인 담양(DY)에서는 겨울과 가을에 3 L $mg^{-1}\;m^{-1}$ 이상으로 소수성 경향을 보이고 있다.
최근 형광측정은 어떠한 기술로 발전하였는가? 전통적으로 형광측정은 고정 여기 파장에서 투사되는데 따른 방출 스펙트럼으로써 제시된다. 최근에는 방출 파장에서 여기 파장을 차감(Δλ)한 것에서 방출 스펙트럼을 동시(synchronous)에 측정하는 형광 스캔닝 기술로 발전하였다. 이 3D fluorescence excitation-emission matrix (FEEM)은 1분내에 빠르게 검출할 수 있기까지 기술적 향상이 있다(Hender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iken, G.R. 1984. Evaluation of ultrafiltration for determining molecular weight of fulvic acid.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18(12): 987-981. 

  2. Aiken, G.R., D.M. McKnight, R.L. Wershaw and P. Mac-Carthy. 1985. Humic Substances in Soil, Sediment, and Water: Geochemistry,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J. Wiley & Sons, New York. 

  3. Aiken, G.R. and J.A. Leenheer. 1993. Isolation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dissolved and colloidal organic matter. Chemical Ecology 8: 135-151. 

  4. Averett, R.C., J.A. Leenheer, D.M. McKnight and K.A. Thorn. 1994. Humic substances in the Suwannee River, Georgia interactions, properties, and proposed structures: US Geological Survey Water-Supply Paper 2: 273. 

  5. Baker, A. 2001. Fluorescence excitation-emission matrix characterization of some sewage-impacted river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5(5): 948-953. 

  6. Choi, H., J. Lee and S. Kim. 2009. 2009 Report on Result of Flow Measurement in the Yeongsan & Seomjin River. Yeongsan River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7. Christian, J.V., K.A. Catherine and K.A. Louis. 1997. Chemical composition of the biodegradable dissolved organic matter in streamwater. Limnology and Oceanography 42(1): 38-44. 

  8. Coble, P.G. 1996. Characterization of marine and terrestrial DOM in seawater using excitation-emission matrix spectrometry. Marine Chemistry 51: 325-346. 

  9. Henderson, R.K., A. Baker, K.R. Murphy, A. Hambly, R.M. Stuetz and S.J. Khan. 2009. Fluorescence as a potential monitoring tool for recycled water system: A review. Water Research 43: 863-881. 

  10. Hudson, N., A. Baker and D. Reynolds. 2007. Fluorescence analysi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natural, waste and polluted waters - a review.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23(6): 631-649. 

  11. Hur, J., M.A. Williams and M.A. Schlautman. 2006. Evaluating spectroscopic and chromatographic techniques to resolve dissolved organic matter via end member mixing analysis. Chemosphere 63: 387-402. 

  12. Hur, J., S. Hwang and J. Shin. 2008. Using synchronous fluorescence techniques as a water quality monitoring tool for an urban river.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91: 231-243. 

  13. Hur, J. and G. Kim. 2009. Comparison of the heterogeneity within bulk sediment humic substances from a stream and reservoir via selected operational descriptors. Chemosphere 75: 483-490. 

  14. Imai, A., F. Takehiko, M. Kazuo, Y. Kim and K. Choi. 2002. Characterization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effluents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ater Research 36(4): 859-870 

  15. Janhom, T., S. Wattanachira and P. Pavasant. 2009. Characterization of brewery wastewater with spectrofluorometry analysi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0: 1184-1190. 

  16. Kim, H., M. Yu and I. Han. 2006. Multi-method study of the characteristic chemical nature of aquatic humic substances isolated from the Han River. Korea Applied Geochemistry 21: 1226-1239. 

  17. Lee, D., K. Chon, S. Kim, S. Jung, K. Lee, T. Hwang, B. Lim and J. Cho. 2011.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natural organic matter using XAD and FTIR in Yeongsan Riversyste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4(4) (printing). 

  18. Mcknight, D.M., E.W. Boyer, P.K. Westerhoff, P.T. Doran, T.K. Kulbe and D.T. Andersen. 2001. Spectrofluorometric characterization of dissolved organic matter for indication of precursor organic material and aromaticity. Limnology and Oceanography 46(1): 38-48. 

  19. Park, N., J. Kim and J. Cho. 2008. Organic matter, anion, and metal wastewater treatment in Damyang surfaceflow constructed wetlands in Korea. Ecological Engineering 32: 68-71. 

  20. Paula, G.C. 1996. Characterization of marine and terrestrial DOM in seawater using excitation-emission matrix spectroscopy. Marine Chemistry 51: 325-346. 

  21. Reynolds, D.M. and S.R. Ahmad. 1997. Rapid and direct determination of wastewater BOD values using a fluorescence technique. Water Research 31(8): 2012-2018. 

  22. Wu, F.C., D.N. Kothawala, R.D. Evans, P.J. Dillon and Y.R. Cai. 2007. Relationships between DOC concentration, molecular size and fluorescence properties of DOM in a stream. Applied Geochemistry 22: 1659-16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