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상류 폐탄광의 산성광산배수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id Mine Drainage from Abandoned Coal Mine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the Upp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원문보기

한국하천호수학회지=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5 no.1, 2012년, pp.72 - 81  

이황구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정상우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김동건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배연재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9년 5월부터 10월까지 태백시에 위치하고 있는 낙동강 상류의 폐탄광으로부터 유입되는 산성광산배수(Acid mine drainage)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폐탄광의 영향을 받는 대상하천의 7개 지점과 대조하천의 3개 지점에서 계류형 정량채집망(Surber sampler $50{\times}50$ cm, 망목 0.2 mm)을 사용하여 정량채집을 하였고, 다양한 미소서식처에서 정성채집을 병행하였다. 조사 결과 전체조사지역에서 총 5문 6강 15목 53과 117종이 출현하였으며, 하천의 주요 분류군인 EPT-group이 71종(64.5%)으로 전체 출현종의 큰 부분을 차지하였다. 정량조사에서 대조하천 지점(St. A~C)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79종 2,844개체가 출현한 반면, 폐탄광의 영향권에 있는 산성광산배수하천 (Acid mine drainage stream, AMDS) 지점(St. 1~7)에서는 총 58종 11,575개체가 출현하였다. AMDS에서는 오염에 내성이 강한 실지렁이, 부채하루살이, 개똥하루살이, 줄날도래류, 깔따구류 등이 우점하였다. 특히, AMDS의 군집지수(MacNaughton 우점도지수 평균 ${\pm}$표준편차 $0.52{\pm}0.21$, 범위 0.33~0.85; Shannon 다양도지수 $2.06{\pm}0.60$, 1.06~2.57)가 대조하천의 군집지수(우점도지수 $0.29{\pm}0.07$, 0.22~0.35; 다양도지수 $3.13{\pm}0.14$, 3.03~3.30)에 비해 큰 차이가 있었다. AMDS의 섭식기능군은 shredders와 scrapers의 비율이 낮았으며, 깔따구류(Chironomidae spp.)가 많이 출현하여 gathering-collector가 상대적으로 풍부하였다. 서식기능군은 clingers와 burrowers가 AMDS에서 상대적으로 더 풍부하였다. DCA 서열법과 유사도 분석 결과 AMDS와 대조하천의 지점들끼리 각각 묶여서 두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폐탄광에 인접한 최상류 지점(St. 1)과 다른 지점들 간의 유사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나타내는 한국오수생물지수(KSI)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생태평가점수(ESB)는 대부분의 지점에서 보통 및 양호의 상태를 나타냈으나, 최상류 지점(St. 1)은 매우 불량한 상태인 ${\alpha}$-중부수성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폐탄광에서 유출되는 산성광산배수의 영향권에 있는 하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악영향을 미쳐서 종풍부도와 군집구조, 기능군의 조성 및 수환경 건강성을 나타내는 생물지수에 있어서 대조하천의 군집과 큰 차이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cid mine drainage (AMD) from abandoned coal mine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the upp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from May to October in 2009.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ampling (Surber sampler: $50{\times}50$ cm; mesh size, 0.2 mm)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9년 5월부터 10월까지 태백시에 위치하고 있는 낙동강 상류의 폐탄광으로부터 유입되는 산성광산배수(Acid mine drainage)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폐탄광의 영향을 받는 대상하천의 7개 지점과 대조하천의 3개 지점에서 계류형 정량채집망(Surber sampler 50×50 cm, 망목 0.
  •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대상하천인 AMDS 유역의 휴∙ 폐광산에 대한 최근의 복원사업과 하천 유역의 환경 정비사업에 힘입어 하천의 수질과 서식 환경은 외관상 많이 개선된 것처럼 보이지만 그곳의 저차소비자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은 전체 하천구간을 비교하였을 때 다른 자연하천의 절반 수준으로 빈약하게 나타났으며, 군집이 완전히 회복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산성광산배수가 하천의 저차소비자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본 연구는 낙동강 상류에 위치한 동해 폐탄광의 산성광산배수가 유입되는 하천을 대상으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대한 정량 조사를 실시하여 군집구조와 섭식기능군 및 서식기능군의 특성을 분석하고, 대조하천과의 비교를 통한 산성광산배수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년 5월부터 10월까지 태백시에 위치하고 있는 낙동강 상류의 폐탄광으로부터 유입되는 산성광산배수(Acid mine drainage)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조사 분석 한 결과는? 2 mm)을 사용하여 정량채집을 하였고, 다양한 미소서식처에서 정성채집을 병행하였다. 조사 결과 전체조사지역에서 총 5문 6강 15목 53과 117종이 출현하였으며, 하천의 주요 분류군인 EPT-group이 71종(64.5%)으로 전체 출현종의 큰 부분을 차지하였다. 정량조사에서 대조하천 지점(St. A~C)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79종 2,844개체가 출현한 반면, 폐탄광의 영향권에 있는 산성광산배수하천 (Acid mine drainage stream, AMDS) 지점(St. 1~7)에서는 총 58종 11,575개체가 출현하였다. AMDS에서는 오염에 내성이 강한 실지렁이, 부채하루살이, 개똥하루살이, 줄날도래류, 깔따구류 등이 우점하였다. 특히, AMDS의 군집지수(MacNaughton 우점도지수 평균 ${\pm}$표준편차 $0.52{\pm}0.21$, 범위 0.33~0.85; Shannon 다양도지수 $2.06{\pm}0.60$, 1.06~2.57)가 대조하천의 군집지수(우점도지수 $0.29{\pm}0.07$, 0.22~0.35; 다양도지수 $3.13{\pm}0.14$, 3.03~3.30)에 비해 큰 차이가 있었다. AMDS의 섭식기능군은 shredders와 scrapers의 비율이 낮았으며, 깔따구류(Chironomidae spp.)가 많이 출현하여 gathering-collector가 상대적으로 풍부하였다. 서식기능군은 clingers와 burrowers가 AMDS에서 상대적으로 더 풍부하였다. DCA 서열법과 유사도 분석 결과 AMDS와 대조하천의 지점들끼리 각각 묶여서 두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폐탄광에 인접한 최상류 지점(St. 1)과 다른 지점들 간의 유사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나타내는 한국오수생물지수(KSI)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생태평가점수(ESB)는 대부분의 지점에서 보통 및 양호의 상태를 나타냈으나, 최상류 지점(St. 1)은 매우 불량한 상태인 ${\alpha}$-중부수성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폐탄광에서 유출되는 산성광산배수의 영향권에 있는 하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악영향을 미쳐서 종풍부도와 군집구조, 기능군의 조성 및 수환경 건강성을 나타내는 생물지수에 있어서 대조하천의 군집과 큰 차이를 나타냈다.
낙동강 수계 상류 지역인 강원도 태백시와 경상북도 봉화군에 몇개의 탄광과 광산이 분포하고 있는가? 우리나라는 20세기 초 이래 석탄자원과 기타 광물자원의 수요가 급증하게 되어 많은 광산이 개발되었으나 1980년대 후반에 들어 산업구조가 변화하면서 석탄의 수요가 감소하고 광산업의 채산성이 악화되어 대다수의 탄광들이 휴∙폐업하게 되었다(Jeong, 2001). 낙동강 수계 상류 지역인 강원도 태백시와 경상북도 봉화군에는 90여개의 대형 또는 중소 휴∙폐탄광과 비금속광산이 분포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광산폐기물이 상당한 규모로 적치되어 있다(Kim et al., 2005).
언제부터 석탄의 수요가 감소하고 광산업의 채산성이 악화되어 탄광들이 휴업과 폐업을 하게 되었는가? 우리나라는 20세기 초 이래 석탄자원과 기타 광물자원의 수요가 급증하게 되어 많은 광산이 개발되었으나 1980년대 후반에 들어 산업구조가 변화하면서 석탄의 수요가 감소하고 광산업의 채산성이 악화되어 대다수의 탄광들이 휴∙폐업하게 되었다(Jeong, 2001). 낙동강 수계 상류 지역인 강원도 태백시와 경상북도 봉화군에는 90여개의 대형 또는 중소 휴∙폐탄광과 비금속광산이 분포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광산폐기물이 상당한 규모로 적치되어 있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e, Y.J., D.H. Won, D.H. Hoang, Y.H. Jin and J.M. Hwang. 2003a. Community composition and functional feeding groups of aquatic insects according to stream order from the Gapyeong creek in Gyeonggi-do,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6: 21-28. 

  2. Bae, Y.J., S.Y. Park and J.M. Hwang. 1998. Description of larval Nigrobaetis bacillus (Kluge) (Ephemeroptera: Baetidae) with a key to the larvae of the Baetidae in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1: 282-286. 

  3. Bae, Y.J., Y.H. Jin, J.M. Hwang, V.V. Nguyen, D.H. Hoang and T.K.T. Cao. 2003b. Distribution, habitat environment, and conservation of aquatic insects from the Gapyeong creek in Gyeonggi-do, Korea. Nature Conservation Research of Korea 1: 1-25. 

  4. Battaglia, M., G.C. Hose, E. Turak and B. Warden. 2005. Depauperate macroinvertebrates in a mine affected stream:Clean water may be the key to recovery. Environmental Pollution 138: 132-141. 

  5. Bray, J.R. and J.T. Curtis.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ological Monograph 27: 325-349. 

  6. DeNicola, D.M. and M.G. Stapleton. 2002. Impact of acid mine drainage on benthic communities in streams: The relative roles of substratum vs. aqueous effects. Environmental Pollution 119: 303-315. 

  7. Hill, M.O. and H.G. Gauch. 1980.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 improved ordination technique. Vegetat 42: 47-58. 

  8. Hoehn, R.C. and D.R. Sizemore. 1977. Acid mine drainage (AMD) and its impact on a small Virginia stream.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13:153-160. 

  9. Iwasaki, Y., T. Kagaya, K. Miyamoto and H. Matsuda. 2009. Effects of heavy metals on riverine benthic macroinvertebrate assemblages with reference to potential food availability for drift-feeding fishes.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28: 354-363. 

  10. Jeong, Y.J. 2001. Environmental geochemistry of the stream system in the vicinity of the abandoned coal mine of the Sangdong-Taebaek area. Ph. D. Thesis, University of Chosun, Gwangju, Korea, 189 pp. 

  11. Kawai, T. and K. Tanida. 2005. Aquatic Insects of Japan: Manual with Keys and Illustrations.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1342 pp. 

  12. Kim, H.J., J.E. Yang, Y.S. Ok, J.Y. Lee, B.K. Park, S.H. Kong and S.H. Jun. 2005. Assessment of water pollution by discharge of abandoned mines. Journal of KoSSGE 10: 25-36. 

  13. Kim, J.J. and S.J. Kim. 2002. Variations in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acid mine drainages due to mineralwater interactions in Donghae mine area in Taebaek, Korea. Journal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5: 55-66. 

  14. Kim, J.J., S.J. Kim and Y.Y. Kim. 2003. Mineralogy of evapration residues and geochemistry of acid mine drainage in the Donghae mine area. Journal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6: 103-109. 

  15. Kim, Y.K., Y.J. Bae, G.S. Ryu, D.H. Yeom, S.K. Lee, S.H. Lee, J.H. Lee and K.J. Jo. 2005. Invertebrate Bioindicator and Environment Risk Assessment. Jeonghaengsa, Seoul, 211 pp. 

  16. Lee, H.G. and Y.J. Bae. 2011. Recovery of aquatic insect communities after a catastrophic flood in a Korean stream. Animal Cells and Systems 15: 169-177. 

  17. Lee, J.H., S.H. Lee, Y.J. Bae, K.J. Cho, K.S. Ryoo, Y. Kim and M.P. Jung. 2009. Freshwater health assessment techniques. pp. 25-34 In: Assessment techniques for ecological effects on heavy metal pollution using invertebrate biomarkers (Kim, Y., Y.J. Bae, K.S. Ryoo et al.,eds.). Jeonghaengsa, Seoul. 

  18. McCune, B. and M.J. Mefford. 1999.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4.25). MjM Software, Gleneden Beach, OR, USA. 

  19.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nia grassland. Nature 216: 168-169 

  20. Merrit, R.W., K.W. Cummins and M.B. Berg. 2008.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4h Ed. Kendall/Hunt Publish. Co. Dubuque, Iowa, 1158 pp. 

  21. Michaud, L.H. 1995. Recent technology related to the treatment of acid drainage. Earth and Mineral Science 63:53-55. 

  22.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Guide. NIER, 298 pp. 

  23. Nelson, S.M. and R.A. Roline. 1996. Recovery of a stream macroinvertebrate community from mine drainage disturbance. Hydrobiologia 339: 73-84. 

  24. Pond, G.J., M.E. Passmore, F.A. Borsuk, L. Reynolds and C.J. Rose. 2008. Downstream effects of mountaintop coal mining: Comparing biological conditions using familyand genus-level macroinvertebrate bioassessment tools.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27:717-737. 

  25. Ro, T.H. and D.J. Chun. 2004. Functional Feeding Group Categorization of Korean Immature aquatic Insects and Community Stability Analysi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7: 137-148. 

  26. Rosemond, A.D., S.R. Reice, J.W. Elwood and P.J. Mulholland. 1992. The effects of stream acidity on benthic invertebrate communities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Freshwater Ecolcogy 27: 193-209. 

  27.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233 pp. 

  28. Wiederholm, T. (Ed.) 1983. Chironomidae of the Holarctic Region. Keys and diagnoses. Part 1-Larvae. Ent. Scand. Suppl. 19, pp. 457. 

  29. Won, D.H., Y.C. Jun, S.J. Kwon, S.J. Hwang, K.G. Ahn and J.K. Lee. 2006. Development of Korean saprobic index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its application to biological stream environment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2: 768-783. 

  30. Yoon, I.B. 1988.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30 Aquatic Insect. Ministry of Education Republic of Korea, 840 pp. 

  31. Yoon, I.B. 1995. Aquatic Insects of Korea. Junghaengsa, 262 pp. 

  32. Yoon, I.B., D.S. Kim and J.W. Byeon. 1981. A Study on the aquatic insect community in the upper stream of Nakdong Rive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14: 27-49. 

  33. Yoon, I.B., D.S. Kong and J.K. Ryu. 1992. Studies on the biological evaluation of water quality by benthic macroinvertebrat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10: 24-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