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M 형상정보를 이용한 증강현실기반 가시화 사례
A Study of Augmented Reality based Visualization using Shape Inform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원문보기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20 no.2, 2012년, pp.1 - 11  

허경진 (경북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이석준 (경북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정순기 (경북대학교 IT대학 컴퓨터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의 건축계획 및 설계과정에서는 건축물 내 외부의 공간감을 확인하기 위해 건물모형을 제작하였으나 건물모형은 비교적 많은 제작 시간과 노력이 들며 건물의 내부 정보를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기존 설계, 계획 과정과 그에 대한 가시화 방법으로써 CAD툴을 사용하여 건물 모형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건물 내부 정보를 가시화 할 수 있었지만, 건물모형에서 확인할 수 있는 부피감을 확인하기에는 부족함이 존재한다. 기본적으로 CAD는 설계에 목적을 두고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며 일반적인 가시화 환경인 2차원 모니터 화면상에서 3차원 건물을 보여주게 되므로 공간에 대한 인지적 몰입감을 만족시키기에는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BIM 형상정보 데이터를 일련의 소프트웨어로 가공하여 증강현실 컨텐츠로 변환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이는 건축계획 및 설계과정에서 형상정보가 수정될 경우 최종 가시화까지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BIM 형상정보를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하여 3차원 인지공간에서 가시화함으로써 3차원 건물의 내 외부 공간정보를 분석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건물의 내 외부 정보를 증강현실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건축 요소의 제거, 슬라이스컷 등 다양한 인터랙션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urrent construction planning and designing process, an architectural miniature model was designed to verify the interior or exterior spatial sense of a building structure, but building of the miniature model is demand much more effort and time; in addition to this it has limitation to iden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건물 계획 및 설계 과정에서 BIM 형상정보가 변경되었을 때 손쉽게 증강현실 컨텐츠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 내에서의 BIM 형상정보를 효과적으로 가시화 하고 자유로운 사용자 상호작용을 구현하기 위해 건물 구성요소의 선택적 제거, 슬라이스컷 가시화 등을 제안한다.
  • 본 논문에서는 BIM 건축물 데이터를 활용하여 증강현실 환경에서 몰입적 가시화를 위한 정보가공 방법을 제안하고, 다양한 사례별 활용도를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결과는 하나의 건물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에 대한 가공방법과 그 활용법을 사례별로 정리하여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었으나, 앞으로 현장에서의 효과적 활용과 콘텐츠 구축을 위해서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가공과정을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처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적인 최적화 작업이 요구된다.
  • 본 논문에서는 BIM 기술과 증강현실 기술을 융합하여 건물 공간정보의 효율적인 관찰과 분석이 가능한 가시화 방법을 제안한다.
  • 별도의 플러그인을 추가 설치하게 되면 물리 엔진과 인공지능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BIM으로 설계된 건물에 OGRE 3D를 이용하여 다양한 가시화 효과를 주었다.
  • 본 논문에서는 건물의 전체 속성을 포함하고 있는 BIM 데이터를 활용하여 3차원 모델생성 과정없이 간단한 변환과정만을 통하여 증강현실 환경에서 가시화할 수 있도록 BIM 형상정보를 가공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는 건물 계획 및 설계 과정에서 BIM 형상정보가 변경되었을 때 손쉽게 증강현실 컨텐츠에 반영할 수 있다.
  • 공간정보 분석을 위한 기존의 가시화 방법으로는 2차원 디스플레이로 인한 가시성 확보와 형상정보 전달에 한계가 존재했다.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건축물 형상정보 가시화 기법을 제안하여 실세계와의 조화로운 가시화를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고정된 형태의 가시화 방법에서 나타나는 한계들을 개선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M이란? BIM은 건물의 설계에서부터 완공까지의 시공간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가능하여 건축물의 수명주기 동안 생성되는 모든 정보를 관리 감독하는 기술이다[1, 18].
현행 건축설계과정의 문제점은? 특히 건물모형은 아파트 분양을 위한 모델하우스 등에 전시함으로써 고객들의 의사결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수작업으로 제작 되는 모형건물은 제작과정에 많은 노력과 시간, 비용이 소모된다. 만약 설계도면이 수정되었을 때 이미 만들어진 건물모형을 수정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생기게 되며, 건물 모형만으로는 내부의 형상정보를 파악하기도 힘들다. 이러한 한계는 BIM 데이터를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가시화 기법을 이용하여 건물의 형상정보를 가시화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
3차원 공간정보데이터에서는 무엇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가? 공간정보기술은 기존의 지리정보체계 분야에 머무르지 않고 점차 발전하여 3차원 공간정보가 융합된 새로운 콘텐츠가 개발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3차원 공간정보데이터는 기존의 2차원 공간정보 데이터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어 공간정보데이터의 가시화 방법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공간정보 데이터 가시화를 위해 건축 분야의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을 활용한다면 뛰어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arles Thomsen, 2009,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PMIS. 

  2. Gregory Junker, 2010, "Pro OGRE 3D Programming," Apress, p.288. 

  3. James R. Vallino, 1998,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University of Rochester, New York. 

  4. Paul Milgram, Haruo Takemura, Akira Utsumi, Fumio Kishino, 1994, "Augmented reality: A class of displays on the reality-virtuality continuum," SPIE Vol. 2351, pp.282-292. 

  5. Ronald T. Azuma, 1997,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 6, No. 4, pp.355-385. 

  6. 강일웅, 2009, "3DS MAX 재질 MATERIAL REALITY," 디지털북스, p.512. 

  7. 고일두, 최중현, 김이두, 정연석. 이재민, 2008, "BIM으로부터 가상도시 구축용 건축물정보의 추출," 한국GIS학회, 제16권, 제2호, pp. 249-261. 

  8. 김규환, 2010, "ARCHICAD 13," 구미서관, p.266. 

  9. 김정환, 김신형, 길우성, 2009, "u-GIS 야외 증강 현실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지, 제11권, 제1호, pp. 183-188. 

  10. 김현승, 김민지, 박서영, 강인석, 2009, "증강현실과 Telepresence 기술 연계에 의한 건설 공사 진도관리 시각화 방법론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632-635. 

  11. 류정림, 추승연, 조진성, 2010, "주거단지 배치계획을 위한 증강현실 기술의 활용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21권, 제4호, pp. 89-97. 

  12. 박소영, 최진원, 2004, "건물정보 통합 데이터베이스와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건물정보 탐색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발표 논문집, 제24권, 제2호, pp.1151-1154. 

  13. 박소영, 최진원, 2005, "기존 건축물의 효율적인 정보 관리를 위한 증강현실 기술 응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1권, 제8호, pp. 37-44. 

  14. 박정욱, 김상철, 이상수, 송하영, 2009,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BIM 적용 문제점 및 대안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9권, 제4호, pp.93-102. 

  15. 안지연, 2010, "BIM 데이터를 적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건설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p.3083-3093. 

  16. 정관량, 2010, "BIM 설계 사례를 통해 본 문제점과 해결책," 한국건축시공학회지, 통권, 제41호, pp. 18-22. 

  17. 정동영, 2010, "증강현실이 가져올 미래변화," SERI 경영노트, 제46호, pp.1-12. 

  18. 조한광, 2010, "BIM 소개," 기술사, 제43권, 제5호, pp.31-34. 

  19. 최기무, 연설흠, 김한규, 허비또, 2010, "IT 융.복합서비스에서의 디지털 컨버전스," 정보와통신, 제27권, 제5호, pp.8-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