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기반 시공간정보를 이용한 건강부문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Public Health to Climate change Using Spatio-temporal Information Based on GIS 원문보기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20 no.2, 2012년, pp.13 - 24  

유성진 (고려대학교 환경GIS) ,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오수현 (고려대학교 기후환경학과) ,  변정연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 변화로 인한 건강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고 적응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적응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건강 부문의 취약성 평가는 폭염, 오존, 매개질환 전염병의 세부 부문으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각 부문별로 민감도, 적응능력, 노출 규준을 설정하고, 적합한 평가 지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GIS를 이용하여 지표별 공간자료를 구축하고 처리하였다. 그 결과, 폭염에 의한 취약성은 남부 지방의 저지대가 중부지방에 비해 높았고, 오존에 의한 취약성은 대구분지 주변과 자동차수가 많은 수도권 및 대도시권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역 특이성이 높은 말라리아와 쯔쯔가무시증은 각각 군사분계선 근방, 남서 평야지대에서 취약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미래에는 전반적으로 취약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부에서 중부로 그리고 평지에서 낮은 산간지대로 취약 지역이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향후 관련 지표 자료의 확보와 지표별 가중치를 산정하고, 새로운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기상예측자료를 사용하면 좀 더 신뢰성 높은 취약성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prevent the damage to human health by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should be conducted for establishment of adaptation strategies. In this study, vulnerability assessment was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vulnerable area for making adaptation policy. vulnerability assessm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기후변화로 인해 증가되는 사망자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적, 경제적 인자와 연령 및 계층적 구조의 고려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건강 피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을 고려하여 자료를 통합하였고,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미래 기후자료 및 예측자료를 이용하여 미래의 건강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 하지만 기존의 취약성 평가 연구는 시군내의 상세한 결과를 도출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상세한 취약성 결과 도출을 목적으로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고, 우리나라 전국을 대상으로 평가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취약성 평가는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이 분명하게 나타나는 건강 피해에 대해 실시하였다.
  • 또한 기후노출지수로 사용된 기상 값은 지형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만, 이러한 변화 양상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형적 요인을 고려하고, 하나의 시군 내에서의 차이를 두기 위하여, 고도에 따른 기온 감율을 적용시키고 1km 해상도의 노출 지표를 생성하여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상세한 취약성 결과 도출을 목적으로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고, 우리나라 전국을 대상으로 평가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취약성 평가는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이 분명하게 나타나는 건강 피해에 대해 실시하였다. 여름철 기온 상승으로 인해 발생 빈도가 높아지는 폭염으로 인한 건강영향, 대기오염 물질 방출 증가와 기온상승으로 피해가 증대되는 오존으로 인한 건강영향, 그리고 질병을 매개하는 숙주의 생태적 변화로 발병 양상이 달라지는 말라리아와 쯔쯔가무시증에 의한 건강영향으로 나누어 평가를 실시하였다.
  • 현재 우리나라 환경부는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 계획 수립을 지원하기 위하여 국립환경과학원에서 개발한 취약성 평가 도구 프로그램인 CCGIS를 이용하여 건강 부문의 취약성 지도를 생산하고 있다[16]. 이 연구는 다양한 건강 세부 부문에 대해 취약성을 평가하고 지표자료들에 가중치를 적용하였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평가 결과가 시군구별로 도출되어 16개 광역시도 수준의 적응계획 수립 지원에는 적합하나, 하나의 시군 내에서의 취약 지역구분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 부문의 취약성 평가는 어떻게 나누어 진행했는가? 본 연구에서는 적응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건강 부문의 취약성 평가는 폭염, 오존, 매개질환 전염병의 세부 부문으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각 부문별로 민감도, 적응능력, 노출 규준을 설정하고, 적합한 평가 지표를 선정하였다.
기후 변화로 인한 건강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기후 변화로 인한 건강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고 적응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적응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건강 부문의 취약성 평가를 GIS를 이용하여 지표별 공간자료를 구축한 결과는 어떻게 나왔는가? 그리고 GIS를 이용하여 지표별 공간자료를 구축하고 처리하였다. 그 결과, 폭염에 의한 취약성은 남부 지방의 저지대가 중부지방에 비해 높았고, 오존에 의한 취약성은 대구분지 주변과 자동차수가 많은 수도권 및 대도시권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역 특이성이 높은 말라리아와 쯔쯔가무시증은 각각 군사분계선 근방, 남서 평야지대에서 취약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미래에는 전반적으로 취약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부에서 중부로 그리고 평지에서 낮은 산간지대로 취약 지역이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향후 관련 지표 자료의 확보와 지표별 가중치를 산정하고, 새로운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기상예측자료를 사용하면 좀 더 신뢰성 높은 취약성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D. R. Easterling, B. Horton, P. D. Jones, T. C. Peterson, T. R. Karl, D. E. Parker, M. J. Salinger, V. Razuvayev, N. Plummer, and P. Jamason, 1997,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trends for the globe," Science, vol. 277, no. 5324, p. 364. 

  2. D. Tilman, J. Fargione, B. Wolff, C. D'Antonio, A. Dobson, R. Howarth, D. Schindler, W. H. Schlesinger, D. Simberloff, and D. Swackhamer, 2001, "Forecasting agriculturally driven global environmental change," Science, vol. 292, no. 5515, p. 281. 

  3. H. E. Landsberg, 1981, The Urban Climate. New York Academic Press. 

  4. H. M. Fussel, and R. J. T. Klein, 2006,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s: an evolution of conceptual thinking," Climate Change, vol. 75, no. 3, pp. 301-329. 

  5. IPCC, 2007, Fourth Assessment Report: Climate Change 2007: Impact, Adaptation & Vulnerability. 

  6. J. C. Semenza, C. H. Rubin, K. H. Falter, J. D. Selanikio, W. D. Flanders, and J. L. Howe Wilhelm, 1996, "Heat-related deaths during the July 1995 heat wave in Chicago,"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35, pp. 84-90. 

  7. J. H. Greenberg, J. Bromberg, C. M. Reed, T. L. Gustafson, and R. A. Beauchamp, 1983, "The epidemiology of heat-related deaths, Texas-1950, 1970-79, and 1980,"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73, pp. 805-807. 

  8. L. P. Rothfusz, 1990, The heat index equation (or more than you ever wanted to know about heat index), NWS Southern Region Technical Attachment, SR/SSD-90-23, Foort worth, TX;1-2. 

  9. R. T. Watson, M. C. Zinyowera, and R. H. Moss, 1998, The regional impacts of climate change: an assessment of vulnerability, Cambridge Univ. Press. 

  10. S. Hajat, R. S. Kovats, R. W. Atkinson, and A. Haines, 2002, "Impact of hot temperatures on death in London: a time series approach," The journal of Epidemiology Community Health, vol. 56, pp. 367-372. 

  11. S. W. Lindsay, and M. H. Birley, 1996, "Climate change and malaria transmission," Annals of Tropical Medicine and Parasitology, vol. 90, no. 6, pp. 573-588. 

  12. T. S. Jones, A. P. Liang, and E. M. Kilbourne, 1982,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the July 1980 heat wave in St. Louis and Kansas City,"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247, pp. 3327-3331. 

  13. W. N. Rom, 1998,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Medicine, Harvard Univ. Press 

  14. 공우석, 신이현, 이희일, 황태성, 김현희, 이난영, 성지혜, 이슬기, 윤광희, 2007, "쯔쯔가무시증의 시,공간적 분포와 환경생태 요인," 대한지리학회지, 제42권, 제6호, pp. 835-958. 

  15. 국립기상연구소, 2011, IPCC 5차 평가보고서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보고서 2011. 

  16. 국립환경과학원, 2012,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세부시행계획 수립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부문별 취약성 지도 -총괄/요약보고서-. 

  17. 김동진, 2009, "기후변화에 따른 전염병관리 분야 적응대책," 보건복지포럼, 제154호, pp. 23-38. 

  18. 김소연, 2004, 기후변화로 인한 여름철 혹서현상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의학박사학위 논문. 

  19. 류성호, 송양숙, 정수용, 문성실, 송진원, 송기준, 박광숙, 2003, "한국 야생들쥐의 Orientia tsutsugamushi 감염에 대한 역학적 조사," 대한미생물학회지, 제33권, 제2호, pp. 131-137. 

  20. 박선민, 이우균, 권태협, 이버들, 손요환, 조용성, 2011, "GIS 기반 공간정보를 이용한 해양부문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9권, 제3호, pp. 1-9. 

  21. 박종길, 정우식, 김은별, 최효진, 2006, 폭염특보에 관한 연구(I), 기상청. 

  22. 윤진일, 최재연, 안재훈, 2001, "일별 국지기온 결정에 미치는 관측지점 표고영향의 계절변동," 한국농림기상학회지, 제3권, 제2호, pp. 96-104. 

  23. 이현주, 이귀옥, 원경미, 이화운, 2009, "최신토지 피복자료를 이용한 대구시의 열환경 수치모의," 한국대기환경학회지, 제25권, 제3호, pp. 196-210. 

  24. 장재연, 조승헌, 2003, 한반도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 프로그램 마련, 환경부. 

  25. 장재연, 박윤형, 2008,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피해 모니터링 및 위험인구 감소전략 개발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26. 정지웅, 이우균, 최계선, 이상철, 최성호, 최현아, 2010, "수자원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모형의 공간 및 유역규모별 적용 연구," 한국기후변화학회지, 제1권, 제1호, pp. 21-30. 

  27. 질병관리본부, 2010, 한국의 기후변화 건강영향과 적응대책. 

  28. 차유미, 이효신, 문자연, 권원태, 부경온, 2007, "ECHO-G/S를 활용한 미래 동아시아 기후 전망," 대기, 제17권, pp. 55-68. 

  29. 최광용, 최종남, 권호장, 2005, "높은 체감온도가 서울의 여름철 질병 사망자 증가에 미치는 영향, 1991-2000," 예방의학회지, 제38권, 제3호, pp. 283-290. 

  30. 최광호, 2008, "기후변화 영향과 향후 적응대책방안에 대한 소고," 환경영향평가, 제17권, 제3호, pp. 201-212. 

  31. 최종근, 2007, 지구통계학, 시그마프레스. 

  32. 최현아, 이우균, 곽한빈, 최성호, 변재균, 유성진, Guishan Cui, 2009, "시공간정보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지, 제11권, 제3호, pp. 63-69. 

  33. 한화진, 안소은, 최은진, 한기주, 이정택, 김해동, 손요환, 박용하, 조광우, 윤정호, 이은애, 김승만, 2007,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시스템 구축I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4. 환경부, 2001, 오존 오염의 현황과 대응방안. 

  35. 환경부, 2010,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에 따른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2011-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