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erbart의 수학교육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of Herbart 원문보기

한국수학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25 no.2, 2012년, pp.35 - 55  

강현영 (목원대학교 수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글에서는 처음으로 교육학의 과학적 성격을 분명히 하고 교육학을 하나의 체계적인 학문으로 정립시키려고 노력하였던 Herbart의 수학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시사점을 논의한다. Pestalozzi의 '직관의 ABC'에 기초하여 자신의 교육학 체계를 구체화하여 직관적 도형교육을 제시한 Herbart의 "Pestalozzi's Idea of an ABC of Sense-Perception Investigated and Scientifically Carried out as a Cycle of Preliminary Exercise in the Application of Forms"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이것은 Herbart의 수학교육에 대한 거의 유일한 저술로서 Herbart의 수학교육의 의미와 방법 등의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discusses and reviews the mathematics education of Herbart who had clarified the nature of the scientific education and established the systematic study of pedagogy for the first time. We are mainly investigated the "Pestalozzi's Idea of an ABC of Sense-Perception Investigated and Scie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erbart는 누구인가? Herbart(1776〜1841)는 서구사회에서 처음으로 학문적 교육학을 시도한 독일의 교육철학자로 교육학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그는 교육학의 과학적 성격을 분명히 하고 교육학을 하나의 체계적인 학문으로 정립시키려고 노력하였으며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을‘도덕성’을 실현하는 것임을 명시하고 있다.
Herbart가 제안한 수업은? 그는 교육학의 과학적 성격을 분명히 하고 교육학을 하나의 체계적인 학문으로 정립시키려고 노력하였으며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을‘도덕성’을 실현하는 것임을 명시하고 있다. 또한 그 당시 주를 이루었던 지식전달위주의 교육방식을 비판하고 인간의 다차원적인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수업을 제안하였다. 오늘날 지적 교육과 정의적 교육의 조화 속에서 바람직한 인간을 기르고자 하는 학교 수업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Herbart에 의하면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Herbart는 인간의‘도야가능성(Bildsamkeit)’을 제시하면서 인간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능력을 갖고 태어났다는 점뿐 아니라 인간이 교육을 통해 도덕적인 인간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Herbart에 의하면 인간은 두 세계에 존재하며, 감각적인 인간인 동시에 이성적인 인간이 될 수 있는 능력을 타고난 존재이다. 인간은 먼저 감각세계에 존재하고 시간이 지나고 경험을 쌓음에 따라 인간의 모습은 이성적이고 도덕적인 존재로 변화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강현영, 심성함양으로서의 수학교육, 서울 : 경문사, 2008. 

  2. 권낙원, ,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 김정환, ,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원 (1988), vol. 5, pp. 97-105. 

  4. 김창완, Herbart; 실천학으로서의 교육학, 서울 : 문음사, 2002. 

  5. 이환기, Herbart의 교수이론, 교육과학사, 1998. 

  6. 임태평, , 교육사상연구 (2009), 23권 2호, pp. 125-147. 

  7. 우정호,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SNU-PRESS, 2010. 

  8. 정영경, ,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9. 정혜진, 칸트 철학의 교육사상적 표현 ; 페스탈로찌, 헤르바르트, 프뢰벨, 제 6 회 성경제 강연회 '칸트와 메타프락시스', 2010. 

  10. 한대희,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11. Boyd, W., The History of Western Education(1964), 이홍우 외 (역),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1996). 

  12. Eckoff, W. J., (translated, with introduction, notes and commentary), Herbart's ABC of sense-perception and minor pedagogical works, New York: D. Appleton and Company(1896). 

  13. Herbart, J. F., Allgemeine Padagogik aus dem Zweck der Erziehung abgeleitet(1818), 김영래 (역), 일반교육학, 서울 : 지만지 (2008). 

  14. Herbart, J. F., "Pestalozzi's Idea of an ABC of Sense-Perception Investigated and Scientifically Carried out as a Cycle of Preliminary Exercise in the Application of Forms", Herbart's ABC of senseperception and minor pedagogical works, New York: D. Appleton and Company(1896), pp. 132-278. 

  15. Harris, W. T., Editor's Preface, Herbart's ABC of sense-perception and minor pedagogical works, D. Appleton and Company(1896), vii-xi. 

  16. Klein, F., 'Erlanger Antrittsred', A Transcription with English Translation and commentary( 1872), D E. Rowe, Historia Mathematica 12(1985), pp. 123-141. 

  17. Klein, F., "Aber den mathematischen Unterricht an den hoheren Schulen," Jahresbericht der Deutschen Mathematiker-Vereinigung, vol. 11(1902), pp. 123-141. 

  18. Klein, F., The arithmetizing of mathematics, "An address delivered at the public meeting of the Royal Academy of Sciences of Gottingen," (November 2nd, 1895), L. Maddison( Trans), Bulletin of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Series II(2), pp. 241-249. 

  19. Pyenson, L., Neohumanism and the persistence of Pure Mathematics in Wilhelmian Germany,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19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