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행속도의 변화가 만성 뇌졸중 환자 지팡이의 수직력과 마비측 발의 체중지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ange in Gait Speed on Vertical Force of the Cane and Distribution of Affected Foot in the Persons with Chronic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7 no.2, 2012년, pp.223 - 230  

정경심 (삼육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서현두 (삼육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이관우 (삼육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정이정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eight bearing of cane and affected foot at different speeds during walking. Methods : Thirteen subjects (6 males, 7 females) with stroke enrolled in the study. A foot sensor and an instrumented cane were integrated to analyze the vertical peak fo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부분 보행상태에 대한 연구는 편안한 속도에서 주로 이루어져 왔으며(Schmid 등, 2007), 환자의 보행패턴을 충분히 이해하고, 지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속도에서의 보행 분석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Polese 등, 2012). 따라서 본 연구는 보행속도의 변화에 따라 지팡이와 마비측 발에 대한 체중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 가지의 다른 속도로 걷게 하였을 때, 지팡이와 마비측 발에 대한 최대 수직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느린 속도로 걸었을 때는 빠른 속도와 편안한 속도로 걸었을 때보다 지팡이에 대한 최대 수직력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이러한 속도의 변화에 따라 지팡이를 이용한 보행패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더욱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팡이를 이용한 보행패턴 중 지팡이에 대한 의존도 및 그에 따른 체중지지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 가지의 다른 속도로 보행을 하는 동안 지팡이와 마비측 발에 대한 최대 수직력을 확인함으로써 지팡이와 마비측 발에 실리는 체중지지율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동적균형과 지팡이, 마비측 발에 대한 최대 수직력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동적 균형 능력에 따라서 지팡이에 대한 의존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지팡이를 이용한 보행패턴 중 지팡이에 대한 의존도 및 그에 따른 체중지지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 가지의 다른 속도로 보행을 하는 동안 지팡이와 마비측 발에 대한 최대 수직력을 확인함으로써 지팡이와 마비측 발에 실리는 체중지지율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동적균형과 지팡이, 마비측 발에 대한 최대 수직력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동적 균형 능력에 따라서 지팡이에 대한 의존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또한 TUG와 지팡이, 마비측 발에 대한 최대 수직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적 균형과 지팡이에 대한 최대 수직력은 유의한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지팡이에 대한 최대 수직력과 마비측 발에 대한 최대 수직력 또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13명의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보행속도에 따른 지팡이와 마비측 발에 대한 최대 수직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그 결과 느린 속도로 걸었을 때 빠른 속도와 편안한 속도에 비해 지팡이에 대한 최대 수직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느린 속도에서 걸었을 때 마비측 발에 대한 최대 수직력은 빠른 속도와 편안한 속도로 걸었을 때보다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발병원인은 MRI를 통하여 진단받은 것을 토대로 뇌출혈과 뇌경색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통하여 환자의 현재 가능한 보행상태를 기록하게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속도로 보행하는 동안 지팡이에 대한 최대 수직력을 비교함으로써 속도가 지팡이에 대한 의존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느린 속도로 걸었을 때 빠른 속도와 편안한 속도로 걸었을 때 보다 지팡이에 의존하는 정도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에 따라 마비측 발에 대한 체중지지율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행결함은 누구에게서 나타나나? 보행결함(gait deficit)은 뇌졸중 환자에게 나타나는 중요한 기능장애 중 하나로써, 보행능력은 삶의 독립성과 중요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Horváth 등,2001). 뇌졸중 환자는 전체 체중의 61~80%가 비마비측 하지에 편중되는 경향이 있으며(Bobath, 1990), 이로 인하여 비대칭적인 보행을 하게 된다(HodtBillington 등, 2008; Kim과 Eng, 2003).
뇌졸증 환자의 보행의 개선에 도움될 수 있는 도구는? 지팡이는 뇌졸중 환자와 같이 근력이 약하거나 불안정한 보행을 보이는 환자에게 기저면을 증가시켜 안정성을 제공함으로써(Laufer, 2002, 2003), 보행 속도를 빠르게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Kuan 등, 1999) 체중부하가 이루어지는 신체부위에 대해 통증과 피로 및 손상을 감소시켜준다(Kuan 등, 1999; Murray 등, 1969). 또한 지팡이는 보행시 심리적인 자신감과 안전성을 제공함으로써(Aminzadeh과 Edwards, 1998; Dean과 Ross, 1993; Tinetti와 Powell, 1993), 만성 뇌졸중 환자에 있어 삶의 독립성을 증가시켜 준다(Polese 등, 2012).
HodtBillington가 언급한 뇌졸중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특징은? 보행결함(gait deficit)은 뇌졸중 환자에게 나타나는 중요한 기능장애 중 하나로써, 보행능력은 삶의 독립성과 중요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Horváth 등,2001). 뇌졸중 환자는 전체 체중의 61~80%가 비마비측 하지에 편중되는 경향이 있으며(Bobath, 1990), 이로 인하여 비대칭적인 보행을 하게 된다(HodtBillington 등, 2008; Kim과 Eng, 2003). 또한 뇌졸중 환자는 근력의 약화와 강직, 균형과 감각의 손상으로 인해 보행속도가 느려진다고 하였다(Ada 등, 2006; Bohannon, 1986, 1987; Bohannon과 Andrew, 1990; Brandstatter 등, 1983; Hsu 등, 2003; Nadeau 등, 1999a, 1999b; Olney등,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da L, Dorsch S, Canning CG. Strengthening interventions increase strength and improve activit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Aust J Physiother. 2006;52(4):241-8. 

  2. Aminzadeh F, Edwards N. Exploring seniors' views on the use of assistive devices in fall prevention. Public Health Nurs. 1998;15(4):297-304. 

  3. Bateni H, Maki BE. Assistive devices for balance and mobility: benefits, demands, and adverse consequences. Arch Phys Med Rehabil. 2005;86(1):134-45. 

  4. Beaman CB, Peterson CL, Neptune RR et al. Differences in self-selected and fastest-comfortable walking in post-stroke hemiparetic persons. Gait Posture. 2010;31(3):311-6. 

  5. Brandstatter ME, de Bruin H, Gowland C et al. Hemiplegic gait analysis of temporal variables. Arch Phys Med Rehabil. 1983;64(12):583-7. 

  6. Bobath B. Adult Hemiplegia Evaluation and Treatment, 3rd ed. London. Heinnemann. 1990. 

  7. Bohannon RW. Strength of lower limb related to gait velocity and cadence in stroke patients. Physiother Can. 1986;38(4):204-6. 

  8. Bohannon RW. Gait performance of hemiparetic stroke patients: selected variables. Arch Phys Med Rehabil. 1987;68(11):777-81. 

  9. Bohannon RW, Andrews AW. Correlation of knee extensor muscle torque an spasticity with gait speed in patients with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1990;71(5):330-3. 

  10. Buurke JH, Hermens HJ, Erren-Wolters CV et al. The effect of walking aids on muscle activation patterns during walking in stroke patients. Gait Posture. 2005;22(2):164-70. 

  11. Chen CL, Chen HC, Wong MK et al. Temporal stride and force analysis of cane-assisted gait in people with hemipleg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1;82(1):43-8. 

  12. Chiu SL, Chou LS. Effect of walking speed on inter-joint coordination differs between young and elderly adults. J Biomech. 2012;45(2):275-80. 

  13. Dean E, Ross J. Relationships among cane fitting, function, and falls. Phys Ther. 1993;73(8):494-500. 

  14. Dickstein R, Abulaffio N, Pillar T. Vertical force loaded on walking canes in hemiparetic patients. Gait Posture. 1993;1(2):113-8. 

  15. Ely DD, Smidt GL. Effect of cane on variables of gait for patients with hip disorders. Phys Ther. 1977;57(5):507-12. 

  16. Hodt-Billington C, Helbostad JL, Moe-Nilssen R. Should trunk movement or footfall parameters quantify gait asymmetry in chronic stroke patients? Gait Posture. 2008;27(4):552-8. 

  17. Horvah M, Tihanyi T, Tihanyi J. Kinematic and kinetic analyses of gait patterns in hemiplegic patients. Facta Univ. 2001;1(8):25-35. 

  18. Hsu AL, Tang PF, Jan MH. Analysis of impairments influencing gait velocity and asymmetry of hemiplegic patients after mild to moderate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3;84(8):1185-93. 

  19. Jonkers I, Delp S, Patten C. Capacity to increase walking speed is limited by impaired hip and ankle power generation in lower functioning persons post-stroke. Gait Posture. 2009;29(1):129-37 

  20. Kim CM, Eng JJ. Symmetry in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is accompanied by symmetry in temporal but not distance variables of gait in persons with stroke. Gait Posture. 2003;18(1):23-8. 

  21. Kodesh E, Kafri M, Dar G et al. Walking speed, unilateral leg loading, and step symmetry in young adults. Gait Posture. 2012;35(1):66-9. 

  22. Krakauer JW. Motor learning: its relevance to stroke recovery and neurorehabilitation. Curr Opin Neurol. 2006;19(1):84-90. 

  23. Kuan TS, Tsou JY, Su FC. Hemiplegic gait of stroke patients: the effect of using a cane. Arch Phys Med Rehabil. 1999;80(7):777-84. 

  24. Laufer Y. Effects of one-point and four-point canes on balance and weight distribution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Clin Rehabil. 2002;16(2):141-8 

  25. Laufer Y. The effect of walking aids on balance and weight-bearing patterns of patients with hemiparesis in various stance positions. Phys Ther. 2003;83(2):112-22. 

  26. Mastos M, Miller K, Eliasson AC et al. Goaldirected training: linking theories of treatment to clinical practice for improved functional activities in daily life. Clin Rehabil. 2007;21(1):47-55. 

  27. Murray MP, Seireg AH, Scholtz RC. A survey of the time, magnitude and orientation of forces applied to walking sticks by disabled men. Am J Phys Med. 1969;48(1):1-13. 

  28. Nadeau S, Arsenault AB, Gravel D et al. Analysis of the clinical factors determining natural and maximal gait speeds in adults with a stroke. Am J Phys Med Rehabil. 1999a;78(2):123-30. 

  29. Nadeau S, Gravel D, Arsenault AB et al. Plantarflexor weakness as a limiting factor of gait speed in stroke subjects and the compensating role of hip flexors. Clin Biomech (Bristol Avon). 1999b;14(2):125-35. 

  30. Olney SJ, Griffin MP, McBride ID. Temporal, kinematic, and kinetic variables related to gait speed in subjects with hemiplegia: a regression approach. Phys Ther. 1994;74(9):872-85. 

  31. Podsiadlo D, Rechardson S. The timed up and go: Atest of basis fu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32. Polese JC, Teixeira-Salmela LF, Nascimento LR et al. The effects of walking sticks on gait kinematics and kinetics with chronic stroke survivors. Clin Biomech (Bristol, Avon). 2012;27(2):131-7. 

  33. Schmid A, Duncan PW, Studenski S et al. Improvements in speed-based gait classifications are meaningful. Stroke. 2007;38(7):2096-100. 

  34. Studenski S, Perera S, Wallace D et al. Physical performance measures in the clinical setting. J Am Geriatr Soc. 2003;51(3):314-22. 

  35. Shumway-Cook A, Brauer S, Woollacott M. Predicting the probability for fall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using the timed up & go test. Phys Ther. 2000;80(9):896-903. 

  36. Tinetti ME, Powell L. Fear of falling and low selfefficacy: a case of dependence in elderly persons. J Gerontol. 1993;48:3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