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20대와 40대 초반 근시안의 최대조절력 비교
Comparative Study of the Maximum Accommodative Amplitude in 20's and 40's Myopia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7 no.3 = no.48, 2012년, pp.273 - 278  

윤재홍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  황해영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수운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현목 (수성대학교 안경광학과) ,  손정식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20대와 40대 초반 근시안의 성별 및 근시도에 따른 최대조절력의 평균 크기를 비교 분석하여 세대간 조절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대 초반과 40대 초반의 근시안 각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푸쉬업법(pushup method)을 이용하여 최대조절력을 측정하였다. Hofstetter 공식을 이용하여 얻어진 최대조절력 기대값을 기준으로 기대최소치 미만군(under), 정상군(normal), 기대최대치 초과군(excess)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20대 초반의 평균 조절력은 9.77~11.64 D$(10.77{\pm}2.49D)$, 40대 초반의 평균 조절력은 4.67~6.21 D$(5.34{\pm}1.28D)$로 나타났고, 20대 초반에서 조절력의 기대최소치 미만군은 20%, 정상군 75%, 기대최대치 초과군 5%의 분포를 나타내었고, 40대 초반에서는 조절력의 기대최소치 미만군 18%, 정상군 82%를 나타내었고, 기대최대치 초과군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두 연령층 모두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조절력의 감소를 나타내었는데, 근시도와 성별에 따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각 연령대별로 최대조절력의 기대평균치와 최대조절력 평균의 차를 비교해 보았을 때 20대 초반에서 기대평균치보다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근업 기회가 많은 20대의 조절력 저하가 훨씬 빨리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verage of the maximum accommodation amplitude of myopia in different generation, early 20's and early 40's were compared according to gender, degree of myopia. Methods: Maximum amplitude of accommodation for each 100 patients of early 20's and 40's were measured with push-up method. Maximu...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같은 동양인 대부분의 굴절이상인 근시안을 대상으로 초기 노안으로 근용안경이 필요하기 시작하는 40대 초반과 개인용 시각매체 발달로 40대에 비해 근거리 작업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하며 성장한 연령대인 20대 초반에 대해 생활환경이 다른 두 세대 간 최대조절력 및 성별, 근시도에 따른 최대조절력의 크기를 비교 분석하였고, Hofstetter 공식에 의한 최대조절력의 기대치와 비교 평가해 봄으로써, 향후 20대의 조절력 변화를 예상하여 노안의 처방에 참고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urimoto S, Iwasaki T, Nomura T, Noro K, Yamamoto S. Influence of VDT (visual display terminals) work on eye accommodation. J UOEH. 1983;5(1):101-110. 

  2. Hedman LR, Briem V. Short-term changes in eyestrain of VDU users as a function of age. Hum factors. 1984:26(3): 357-370. 

  3. Lee JY, Yu DS, Son JS, Cho HG, Moon BY. The diurnal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s by near work. J Korean Oph Opt Soc. 2011;16(1):75-81. 

  4. Lee EH, Lee SY, Lee HJ, Cho SI, Paek DM. The Agespecific change of refraction(D) power and relative risks of refractive errors. J Korean Oph Opt Soc. 2007;12(3):1-5. 

  5. Benjamin WJ. Borish's Clinical Refraction, 1st Ed. Philadelphia: Saunders, 1998;697. 

  6. Theodore Grosvenor. Primary Care Optometry, 4th Ed. Boston: Butterworth-Heinemann, 2002;469-480. 

  7. Yoo JS, Lim HS, Lee SC, Hwang JH, Kim HJ. A clinical study on presbyopia in wearing the near spectacle for the first time. J Korean Oph Opt Soc. 2008;13(4):103-107. 

  8. Benjamin WJ, Borish IM. Borish's Clinical Refraction, 2nd Ed. Philadelphia: Butterworth-Heinemann, 2006;396, 899-900. 

  9. Hofstetter HW. A useful age-amplitude formula. The Pennsylvania Optometrist. 1947;7(1):5-8. 

  10. Kim DH, Kim SM, Kim JM, Kim CS, Shin MK. Ocular Physiology, 2nd Ed. Seoul: Hyunmoonsa, 2000;155-177. 

  11. Ha NR, Yoo JK, Kim JM. Ten-year refractive error and astigmatism changes in Korean subjects. J Korean Oph Opt Soc. 2010;15(4):389-397. 

  12. Rosenfield M, Cohen AS. Repeatability of clinical measurements of the amplitude of accommodation. Ophthalmic Physiol opt. 1996;16(3):247-249. 

  13. Kashani S, Mearza AA, Claoue C. Refractive lens exchange for presbyopia. Cont Lens Anterior Eye. 2008;31(3):117- 121. 

  14. Yoon KH. A study on near addition of presbyopia. J Korean Oph Opt Soc. 2006;11(1):1-5. 

  15. Kim TH, Lee JY, Park JS. Changes accommodation in refractive error and heterophoria. J Kor Soc Hygienic Sciences. 2009;15(2):77-81. 

  16. Kim BC. A study on the average of the Korean amplitude of accommodation.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979;1-21. 

  17. Park JK. The normal value of amplitude of accommodation in Koreans. Master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2010;1-19. 

  18. Kim JH. A study for young and middle age people of accommodation. J Korean Oph Opt Soc. 1998;3(1):129- 136. 

  19. Griffin JR. Binocular Anomalies: Procedures for Vision Therapy, 2nd Ed. New York: Chicago Professional Press, 1982;161. 

  20. Shin JA, Lee OJ.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ymptoms with near work and binocular function. J Korean Oph Opt Soc. 2007;12(3):125-130. 

  21. Shin JA. Prevalence of accommodative insufficiency and convergence insufficiency in college students. Korean J Vis Sci. 2004;6(1):95-102. 

  22. Kim SU, Choi O. Average presbyopic additions for various age groups in korea. J Korean Ophthalmol Soc. 1982; 23(3):621-625. 

  23. Kim MY, Kim JG, Kim TH, Sung AY. Clinical study on tendency of addition power with age. J Korean Oph Opt Soc. 2006;11(2):131-135. 

  24. Kim HC, Woo CH, Kim JC, Shin KH. The investigation of the changes of ocular function in VDT workers. J Korean Ophthalmol Soc. 1991;32(12):1137-1144. 

  25. You JS, Yoon JW, Kim JH. Influence of VDT work on accommodative function. J Korean Ophthalmol Soc. 1992; 33(7):693-69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