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시, 안경 및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조절반응량 비교
Comparison of Accommodative Response among Emmetropes, Spectacle and Contact Lens Wearer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7 no.4 = no.49, 2012년, pp.403 - 410  

이규병 (대전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박지현 (신성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효진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정시와 안경 및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조절반응량을 비교하고, 각 그룹내에서 굴절이상도와 조절래그의 상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고 굴절이상이 완전 교정된 72명(144안)을 대상으로 폐쇄형 자동굴절검사기로 측정한 굴절이상도를 사용하여 정시, 안경착용자 및 콘택트렌즈 착용자로 분류하였다. 이후 우세안, 나안시력 및 교정시력을 측정하고,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하여 단안 및 양안으로 원/근거리(5 m/33 cm)를 주시할 때의 굴절이상도를 측정하여 조절래그를 산출하였다. 결과: 좌우안 및 우세안/비우세안의 조절래그는 단안/양안주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단안주시의 조절래그가 양안주시보다 더 크게 검출되었다. 또한 남녀간의 조절래그는 단안주시는 남자가 컸지만 양안주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근시도와 조절래그는 단안/양안주시 모두 근시안이 정시안에 비해 더 컸지만, 안경착용자와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조절래그는 단안/양안주시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체 대상자의 굴절이상도와 조절래그 상관성은 단안/양안주시 모두 굴절이상도가 클수록 조절래그가 컸으며, 정시안과 콘택트렌즈 착용자는 단안/양안주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으나 안경착용자는 단안/양안주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결론: 정시안과 근시안의 조절래그는 유의한 차이가 있고, 근시안 중 안경착용자와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조절래그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시안과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굴절이상도는 조절반응량과 상관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accommodative response among emmetropes, spectacle wearer and contact lens wearer, and correlation between refractive error and accommodative respons for each group. Methods: The 72 subjects(144 eyes) who do not have any ocular diseases were p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 연구에서 양안개방 상태에서 측정된 조절반응량은 근시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절반응량이 작아지는 양의 상관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同 Multi 등Ple 근시와 관련된 연구에서 근시 발생 후 조절래그의 증가를 보고하였다. 이와 반대로 근거리 작업의 증가는 조절기능의 변화를 유발시켜 근시로의 진행을 더 촉진시킬 수 있다는 주장도 있으며, 的 조절과 관련하여 조절과 근시 진행의 상관성에 대해서 계속적인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hin JA, Lee OJ.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ymptoms with near work and binocular function. J Korean Oph Opt Soc. 2007;12(3):125-130. 

  2. Theodore G. Primary care optometry, 5th Ed. Butterworth- Heinemann, 2006:267-268. 

  3. Kurtz D, Carlson NB. Clinical procedure for ocular examination, 3rd Ed. McGraw-Hill, 2003:197-201. 

  4. Manny RE, Chandler DL, Scheiman MM, Gwiazda JE, Cotter SA, Everett DF, et al. Accommodative lag by autorefraction and two dynamic retinoscopy methods. Optom Vis Sci. 2009;86(3):233-243. 

  5. Bae HJ, Yoon MO, Kim HS, Eom JH. The correlation of refractive error and accommodative response. Korean J Vis Sci. 2010;12(2):103-109. 

  6. Bae SH, Kwak HW. Comparison between accommodative response change on the full vision correction and low vision correction. J Korean Oph Opt Soc. 2012;17(1):75- 81. 

  7. Kim HK. Comparison of accommodative response between emmetropia and myopia in children and adult. Master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2012:5-59. 

  8. Baarg SB, Jeong YH. The accommodative lag and refractive error in early adults. J Korean Oph Opt Soc. 2012; 17(1):59-65. 

  9. Mutti DO, Mitchell GL, Hayes JR, Jones LA, Jones LA, Moeschberger ML, et al. Accommodative lag before and after the onset of myopia.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6;47(3):837-846. 

  10. Rabbetts RB. Clinical visual optics. 4th Ed., New York, Butterworth-Heinemann. 2007:148-149. 

  11. Shim HS, Lee SW, Shim MS, Choi SM, Jang SJ. Accommodative response measurement using both eyes openview autorefractometer. J Korean Oph Opt Soc. 2005; 10(4):323-328. 

  12. Weizhong L, Zhikuan Y, Wen L, Xiang C, Jian G. A longitudin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yopia development and near accommodation lag in myopic children. Ophthalmic Physiol Opt. 2008;28(1):57-61. 

  13. Nakatsuka C, Hasebe S, Nonaka F, Ohtsuki H. Accommodative lag under habitual seeing conditions: comparison between myopic and emmetropic children. Jpn J Ohthalmol. 2005;49(3):189-194. 

  14. Rosenfield M, Desai R, Portello JK. Do progressing myopes show reduced accommodative responses?. Optom Vis Sci. 2002;79(4):268-273. 

  15. Seidel D, Gray LS, Heron G. Retinotopic accommodation responses in myopia.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3; 44(3):1035-1041. 

  16. Norton TT. Animal models of myopia: learning how vision controls the size of the eye. ILAR J. 1999;40(2): 59-77. 

  17. Gwiazda J, Thorn F, Bauer J, Held R. Myopic children show insufficient accommodative response to blur. Invest Ophthalmol Vis Sci. 1993;34(3):690-694. 

  18. Schmid KL, Hilmer KS, Lawrence RA, Loh SY, Morrish LJ, Brown B. The effect of common reductions in letter size and contrast on accommodation responses in young adult myopes and emmetropes. Optom Vis Sci. 2005; 82(7): 602-611. 

  19. Buehren T, Collins MJ. Accommodation stimulus-response function and retinal image quality. Vision Res. 2006;46(10): 1633-1645. 

  20. Rosenfield M, Gilmartin B. Disparity-induced accommodation in late-onset myopia. Ophthalmic Physiol Opt. 1988;8(3):353-355. 

  21. Han GA, Hwang JH, Mah KC. Objective measurement of accommodative responses with open-field autorefractor. Korean J Vis Sci. 2009;11(1):35-44. 

  22. Shim HS, Shim MS, Joo SH. A study of accommodative response on emmetropia. J Korean Oph Opt Soc. 2006; 11(3):187-192. 

  23. Szklo M, Nieto FJ. Epidemiology: beyond the basics, 2nd Ed. Jones and Bartlett, 2006:164-181. 

  24. He JC, Burns SA, Marcos S. Monochromatic aberrations in the accommodated human eye. Vision Res. 2000;40(1): 41-48. 

  25. Cheng H, Barnett JK, Vilupuru AS, Marsack JD, Kasthurirangan S, Applegate RA, et al. A population study on changes in wave aberrations with accommodation. J Vis. 2004;4(4):272-280. 

  26. Gambra E, Sawides L, Dorronsoro C, Marcos S. Accommodative lag and fluctuations when optical aberrations are manipulated. J Vis. 2009;9(6):1-15. 

  27. Plainis S, Ginis HS, Pallikaris A. The effect of ocular aberrations on steady-state errors of accommodative response. J Vis. 2005;5(5):466-47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