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게리트 리트벨트 디자인 개념 재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ppraisal of Gerrit Thomas Rietveld's Design Concept 원문보기

한국 디지털 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 · Interior Association, v.12 no.4 = no.28, 2012년, pp.97 - 105  

이광인 (두원공과대학교 건축디자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valuate Rietveld's creative design style and concepts. To this end, I looked into the evaluation of major researchers on Rietveld, classified all his works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design types and analyzed them.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work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일한 공간구축 언어를 사용하는 작품들을 그룹핑하고 각 그룹별 작품 제작과정과 공간언어 발전과정을 분석하여 리트벨트가 일관되게 실현하고자 하였던 창의적인 디자인 양식과 그의 디자인 개념을 밝히려고 한다. 이를 위해 작품들을 유형별로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한다.
  • 본 논문에서는 리트벨트에 관한 기존 연구자들의 평가들을 살펴하고, 작품분류 방법을 설정하여 작품분석을 진행한다. 이어서 작품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리트벨트의 작품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리트벨트의 디자인 양식이 현대예술에 끼치고 있는 영향에 대해 그 추이를 추적하여 현대예술에 기여한 공로들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트벨트의 독창적인 디자인 양식과 그의 예술적 관점을 재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어서 작품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리트벨트의 작품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리트벨트의 디자인 양식이 현대예술에 끼치고 있는 영향에 대해 그 추이를 추적하여 현대예술에 기여한 공로들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트벨트의 작품을 연구한 기존 학자들은? 리트벨트의 작품을 연구한 기존 학자인 데니엘 바로니(Daniele Baroni), 폴 오베리(Paul Overy), 비트러스 뮬더(Bertus Mulder), 아이다 반 자일(Ida van Zijl)등은 일반적으로 더 스테일(De stijl)의 개념을 3차원 작품으로 실현시킨 리트벨트의 성과에대해 높게 평가하고 있다. 일부 연구자는 의자로부터 시작해서 건축물에 이르기까지 더 스테일의 이념을 완벽하게 구현한 재능에 대해 찬사를 보내기도 하며, 또 다른 연구자들은 더 스테일과 러시아 구성주의 영향권 안에서의 동화된 한 멤버로서 평가하기도 한다.
리트벨트가 설계한 쉬뢰더 주택의 건축주는? 일부 연구자는 의자로부터 시작해서 건축물에 이르기까지 더 스테일의 이념을 완벽하게 구현한 재능에 대해 찬사를 보내기도 하며, 또 다른 연구자들은 더 스테일과 러시아 구성주의 영향권 안에서의 동화된 한 멤버로서 평가하기도 한다. 그러나 리트벨트가 설계한 쉬뢰더 주택의 건축주인 쉬뢰더 (Schröder)부인은 오베리와의 인터뷰에서 리트벨트는 더 스테일이나 구성주의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나 그들의 철학이나 디자인 개념에 완전히 동조하기 보다는 자신의 공방활동을 통해 자신의 작품을 꾸준하게 발전시키고 개발하는 실험에 몰두한 실험예술가였다고 회고하고 있다.
반 두즈버그가 리트벨트의 적청의자에 대하여 평가한 내용은? 반 두즈버그는 1919년 논문에서 리트벨트의 의자와 인테리어 디자인에 대해 ‘미래 인테리어의 진정한 추상적 조각’이며, 더 스테일의 추구하는 모든 원리를 실체화하였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리트벨트의 적청의 자에 대해서는 반중력적, 반구성적(antistatic, counter composition) 표본을 보여주었다고 극찬하였다. 그는 이미 출판된 사조에 근거로 한 이해와 지식에 목적을 둔 것이 아니라 시각예술, 건축을 만드는 사건이나 사상에서 집중한 점을 들어 리트벨트에 대한 예술사적 평가를 비학문적 방법으로 깊이있게 정의하는 경향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rown, Theodore, The Work of G. Rietveld Architect., the MIT Press, 1958 

  2. Barroni, Daniele, The furniture of Gerrit Thomas Rietveld, Barron's Educational Series, Inc., 1978 

  3. Kuper, Marijke ed, Gerriet Rietveld complete works, Centraal Museum Utrecht, 1992 

  4. Overy, Paul ed, The Rietveld Schroder House, the MIT Press, 1988 

  5. Mulder, Bertus, Ida van Zijl, Rietveld Schroder House,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999 

  6. Mulder, Bertus, Ida van Zijl, Rietveld Schroder House,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999 

  7. Troy, Nancy J. , The De Stijl environment,. Cambridge: MIT, 1983 

  8. Blotkamp, Carel , De Stijl : The Formatives Years., MIT press, 1982 

  9. Theo van Doesburg, Oeuvre Catalogue, Centraal Museum, 2000 

  10. Baljeu, Joost, Theo Van Doesburg, Studio Vista, 19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