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칼리계 무연 압전 세라믹과 에폭시 복합소재의 유전 및 압전 특성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Alkaline Lead-free Piezoceramic-epoxy Composites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5 no.6, 2012년, pp.420 - 425  

윤창호 (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 ,  러득탕 (한국세라믹기술원 전자부품센터) ,  허대준 (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 ,  안경관 (울산대학교 기계공학부) ,  이재신 (울산대학교 첨단소재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epoxy composites with '0-3' connectivity were prepared by cold-pressing with a temperature controlled curing method. A ceramic powder with a composition of $(Na_{0.51}K_{0.47}Li_{0.02})(Nb_{0.8}Ta_{0.2})O_3$ was synthesized by a conventional solid state 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세라믹 압전 소재의 경우 취성이 강해서 유연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유연성을 가진 세라믹-고분자 복합소재가 필요하지만, 지금까지 무연 압전 세라믹/고분자 복합소재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연성을 가진 친환경 압전 복합 소재 개발을 위하여 알칼리계 무연 압전 세라믹과 에폭시 수지 복합재료를 제조한 다음, 제조된 압전 복합소재의 유전 특성과 압전 특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무연계 복합소재와 유연계 복합소재를 비교하기 위하여 유연계인 0.2 Pb(Mg1/3Nb2/3)O3 -0.8 Pb(Zr0.475Ti0.525)O3 (PMN-PZT)를 이용한 복합소재도 제조하여 서로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택한 PMN-PZT 세라믹스의 유전 및 압전 특성에 대해서는 이 전의 논문에 자세히 보고한 바 있다[2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0-3’형 구조의 복합소재의 장점은? 최근 의료용 압전 소재와 압전 에너지 수확 관련 연구가 활발해짐에 따라 압전 세라믹-고분자 복합소 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1-10]. 여러 가지 형태의 복합소재 중에서 세라믹 입자가 고분자 매질에 불연속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0-3’형 구조의 복합 소재는 가장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복잡한 형상의 제 품을 쉽게 제조할 수 있는 공정 상의 장점이 있어서 많은 연구가 되어 왔다 [11-17]. 그러나 현재까지 보 고된 압전 세라믹-고분자 복합소재들은 대부분 납이 포함된 유연계 압전 소재를 이용한다는 문제점을 가 지고 있다.
유전손실의 변화를 보면 세라믹 함량 증가에 따라 복합소재의 유전손실도 증가하는데, 그 원인은? 한편, 그림 3(b)의 유전손실의 변화를 보면, 편차가 있지만 대체로 세라믹 함량 증가와 함께 복합소재의 유전손실도 증가함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PMN-PT/(PVDF-TrFE) 0-3 복합소재에 대한 Lam 등의 연구에서도 보고된 바 있으며 [13], 세라믹 분말 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세라믹 입자와 고분자의 계 면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Pb(Zr,Ti)O3 (PZT)와 같은 압 전 소재의 문제점은? 최근 전자산업 및 자동차 분야에서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유해물질이 함유된 전자부 품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압 전 소재의 경우에도 Pb(Zr,Ti)O3 (PZT)가 주성분인 데, 이 소재의 경우 인체에 유해한 납이 중량비로 60% 이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대체하기 위한 무연 압전 소재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 게 진행되고 있으나 [18,19], 주로 세라믹 소재에 집 중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 K. Shung, J. M. Cannata, and Q. F. Zhou, J. Electroceram., 19, 141 (2007). 

  2. I. Patel, E. Siores, and T. Shah, Sensor. Actuat., A159, 213 (2010). 

  3. M. Aureli, C. Prince, M. Porfiri, and S. D. Peterson, Smart Mater. Struct., 19, 015003 (2010). 

  4. P. J. Cottinet, D. Guyomar, B. Guiffard, C. Putson, and L. Lebrun, IEEE Trans. Ultrason. Ferroelectr. Freq. Control, 57, 774 (2010). 

  5. L. Lebrun, D. Guyomar, B. Guiffard, P. J. Cottinet, and C. Putson, Sensor. Actuat., A153, 251 (2009). 

  6. K. L. Ren, Y. M. Liu, X. C. Geng, H. F. Hofmann, and Q. M. M. Zhang, IEEE Trans. Ultrason. Ferroelectr. Freq. Control, 53, 631 (2006). 

  7. D. Shen, S. Y. Choe, and D. J. Kim, Japanese Journal of Applied Physics Part 1-Regular Papers Brief Communications & Review Papers 46, 6755 (2007). 

  8. D. Y. Wang, K. Li, and H. L. W. Chan, Appl. Phys. A-Mater. Sci. Process., 80, 1531 (2005). 

  9. J. H. Seol, J. S. Lee, H. N. Ji, Y. P. Ok, G. P. Kong, K. S. Kim, C. Y. Kim, and W. P. Tai, Ceram. Int., 38S, S263 (2012). 

  10. D. A. van den Ende, H. J. van de Wiel, W. A. Groen, and S. van der Zwaag, Smart Mater. Struct., 21, 015011 (2012). 

  11. P. L. Tan, D. A. Hall, M. A. Williams, and A. K. Wood, Proceedings of 10th IEEE Inrernational Symposium on Applications of Ferroelectrics, 295 (1996). 

  12. W. Thamjaree, W. Nhuapeng, A. Chaipanich, and T. Tunkasirir, Appl. Phys., A81, 1419 (2005). 

  13. K. H. Lam and H. L. W. Chan, Compos. Sci. Technol., 65, 1107 (2005). 

  14. A. Petchsuk, W. Supmak, and A. Thanaboonsombut, J. Appl. Polym. Sci., 114, 1048 (2009). 

  15. S. F. Mendes, C. M. Costa, V. Sencadeas, and J. S. Nunes, Appl. Phys., A96, 1037 (2009) 

  16. D. T. Le, N. B. Do, D. U. Kim, I. K. Hong, I. W. Kim, and J. S. Lee, Ceram. Int., 38S, S259 (2012). 

  17. Y. J. Choi, M. J. Yoo, H. W. Kang, H. G. Lee, S. H. Han, and S. Nahm, Journal of Electroceramics, published online (2012). DOI 10.1007/s10832-012-9706-7 

  18. K. H. Lam, X. Wang, and H. L. W. Chan, Compos. Pt., A, Appl. Sci. Manuf., 36, 1595 (2005). 

  19. S. H. Choy, W. K. Li, H. K. Li, K. H. Lam, and H. L. W. Chan, J. Appl. Phys., 102, 114111 (2007). 

  20. M. S. Kim, S. J. Jeong, I. S. Kim, J. S. Song, and Y. W. Oh, Jpn. J. Appl. Phys., 48, 010204 (2009). 

  21. B. M. Jin, D. S. Lee, I. W. Kim, J. H. Kwon, J. S. Lee, J. S. Song, and S. J. Jeong, Ceram. Int., 30 1449 (2004). 

  22. T. Yamada, T. Ueda, and T. Kitayama, J. Appl. Phys., 53, 4328 (1982). 

  23. Z. J. Lim H. Y. Gong, and Y. J. Zhang, Current Appl. Phys., 9, 588 (2009). 

  24. Y. T. Or, B. Ploss, F. G. Shin, H. L. W. Chan, and C. L. Choy, Integ. Ferroelectr., 47, 19 (2002). 

  25. J. S. Hornsby and D. K. Das-gupta, IEEE Trns. Dielectr. Electr. Insul., 11, 19 (2004). 

  26. S. Priya and D. Inman, Energy Harvesting Technologies (Springer, New York, 2008). 

  27. K. H. Lam, X. Wang, and H. L. W. Chan, Compos. Pt., A, Appl. Sci. Manuf., 36, 1595 (2005). 

  28. H. G. Lee and H. G. Kim, J. Appl. Phys., 67, 2024 (1990). 

  29. G. Han, J. Ryu, C. W. Ahn, W. H. Yoon, J. J. Choi, B. D. Hahn, J. W. Kim, J. H. Choi, and D. S. Park, J. AM. Ceram. Soc., published online, DOI: 10.1111/j.1551-2916.2012.05139.x 

  30. K. H. Lam, D. M. Lin, Y. Q. Ni, and H. L. Chan,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8, 283 (2009). 

  31. Y. Jeong, J. Hong, B. H. Seo, Y. K. Oh, J. Yoo, and L. Hwang, 2010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Applications of Ferroelectrics ISAF (IEEE Xplore, Edinburgh, 2010). 

  32. Z. Y. Shen, J. F. Li, R. Chen, Q. Zhou, and K. K. Shung, J. AM. Ceram. Soc., 94, 1346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