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임지붕형 쌍곡포물선 쉘구조의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Gabled Hyperbolic Paraboloid Shells 원문보기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v.12 no.1, 2012년, pp.87 - 98  

김승남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  유은종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  나창순 (국민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쉘의 테두리를 보가 둘러싸고 있는 전통적인 형태와 모서리보를 제거한 형태의 모임지붕형 쌍곡포물선쉘구조의 유한요소해석결과비교를 통해 모서리보의 역할을 확인하고, 또한 지붕의 경사도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유한요소해석에 의하면 쉘면에 작용하는 하중은 쉘 대각선 방향의 아치작용을 통해 모퉁이의 지점에 직접 전달되므로 막이론에 비해 테두리보에는 부재력이 작게 작용하고 모퉁이의 지점 부분의 쉘에는 응력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서리보를 제거하면 지점 부근의 쉘에 더욱 응력이 집중되고 경사진 모서리 부분의 처짐이 증가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지붕의 경사도가 낮아짐에 따라 현저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임지붕형 쌍곡포물선쉘 구조에서는 지점 부분의 쉘두께를 보다 증가할 필요가 있으며 경사도가 낮은 쌍곡포물선쉘 구조의 모서리보 제거는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mechanical role of edge beams in the gabled hyperbolic paraboloid shells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comparisons of Finite element(FE) analysis results between the shells structures with and without edge beams. In addition, the effects of roof slope was studied. FE analysis showe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모서리보를 없애면 자중이 줄어들고 보 주위의 건조수축(shrinkage)이 억제되어 균열이 줄어드는 장점도 있으나 새로운 형태를 적용하기위한 보다 엄밀한 검증이 요구된다. 기존의 연구7)에서는 한정된 구조형태에 대한 기본적인 검토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형태에 대해 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지점의 변형이나 재료 및 기하학적 비선형에 의한 영향도 구조물의 거동에 영향을 미친다6, 8-12) 본 연구에서는 먼저 재료를 탄성범위로 한정하고 지붕의 기울기를 달리하면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고 기울기의 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600mm ×125mm)의 크기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illington D.P., Thin Shell Concrete Structures, McGraw-Hill Book Company, 2nd Ed., 1982 

  2. 박성수, 성재표, 복합 H.P. Shell의 유한요소해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9(8), 1993, pp.183-191 

  3. 권홍주, 유은종, 나창순, 역우산형 쌍곡포물선 쉘의 유한요소해석, 한국공간구조학회지, 11(1), 2011, pp.87-95 

  4. Sahoo S. and Chakravorty D., "Finite Element Bending Behaviour of Composite Hyperbolic Paraboloidal Shells with Various Edge Conditions", Journal of Strain Analysis for Engineering Design, 39(5), 2004, pp.499-513 

  5. Shaaban A. and Ketchum M.S., "Design of Hipped Hypar Shells", Journal of the Structural Division, 102(ST11), 1976, pp.2151-2161 

  6. Simmonds S. H., "Effect of Support Movement on Hyperbolic Paraboloid Shell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115(1), 1989, pp.19-31 

  7. Jadik T. and Billington D.P., "Gabled Hyperbolic Paraboloid Roofs without Edge Beam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121(2), 1995, pp.328-335 

  8. Min C.S., "Design and Ultimate Behavior of RC Plate and Shells; Two Case Study",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14(2), 2002, pp.171-190 

  9. Min C.S., "Design and Ultimate Behavior of RC Plate and Shells",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228(1-3), 2004, pp.207-223 

  10. Noh H.C., "Ultimate Strength of Large Scale Reinforced Concrete Thin Shell Structures", Thin-Walled Structures, 43(9), 2005, pp.1418-1443 

  11. 민창식, 이재석, RC 쌍곡포물선 내림마루형식 지붕 쉘의 극한해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16(I-2), 1996, pp.143-152 

  12. 장명호, 김재열, 서삼열, 쉘구조물의 기하학적 비선형해석, 한국공간구조학회지, 3(4), 2003, pp.85-92 

  13. CSI Analysis Reference Manual, 2005 

  14. Schnobrich W.C., "Umbrella and Gable Roofs", SP-110, ACI, 1988, pp.89-1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