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쌍곡포물선 대공간구조물의 지붕 풍압계수분포 특성
Characteristic of Wind Pressure Distribution on the Roof of Hyperbolic Paraboloid Spatial Structures 원문보기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v.12 no.3, 2012년, pp.47 - 54  

유기표 (전북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영문 (전북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공간 건축물의 특징 중 경량화 된 지붕 구조 및 재료의 사용으로 인해 지붕면의 손상이나 파괴 등의 피해가 많다. 대규모 경기장의 경우에는 지붕의 구조가 철골 트러스와 인장케이블을 기반으로 테프론이라는 막재료를 사용하여 구조체를 감싸거나 덮는 형태로 많이 설계가 되는데, 특히 이 막재료의 피해가 많으며 심각한 상황이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대공간 건축물의 지붕에 대한 내풍설계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쌍곡포물선 대공간구조물의 지붕의 형태에 대한 공기역학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풍압실험과 유체해석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의 지붕 모서리에서 가장 큰 최소피크외압계수가 나타나지만 지붕의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최소피크풍압계수는 감소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oof surface of spatial structures is often damaged or destroyed because of its light weight roof structure and materials. Many of large scale stadiums have roof structure framed with steel truss or stay cable and wrapped or covered with membrane material Teflon, and this membrane material is 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FD해석은 풍동실험에서 얻은 실험결과에 대한 기류흐름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CFD해석에 사용한 소프트웨어는 STREAM 8.
  • 이들의 피해는 구조 설계시 강한 강풍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으로 밝혀졌으며, 앞선 사례를 통해 대공간 건축물의 지붕면에 대한 내풍설계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6)7)8)9)10)11)12)13)14)15). 이에본 논문은 쌍곡포물선 대공간구조물에 대한 공기역학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지붕의 형태별 풍압력 분포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막재료에 의한 피해사례는? 대규모 경기장의 경우에는 지붕의 구조가 철골 트러스와 인장케이블을 기반으로 테프론이라는 막재료를 사용하여 구조체를 감싸거나 덮는 형태로 많이 설계가 되는데, 특히 이 막재료에 의한 피해가 많으며 심각하다5) . 예를 들면 2003년 9월 순간최대풍속이 60m/s인 태풍 매미로 인하여 제주 월드컵 경기장의 막구조 지붕막이 심하게 찢어지고 구조물의 안전성까지도 위협할 정도였다. 또한 미국의 Georgia Dome 경기장은 완공된 후 3년이 지난 1995년에 강풍으로 인하여 지붕막이 10m 이상 찢어졌으며, 미국 Raleigh 체육관은 강풍 발생에 따른 지붕면의 심한 진동으로 내부사용에 위험을 느끼고 사용이 불가능해지자 그 피해를 막기 위해 지붕 하부에 연결 골재를 설치하였다. 이들의 피해는 구조 설계시 강한 강풍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으로 밝혀졌으며, 앞선 사례를 통해 대공간 건축물의 지붕면에 대한 내풍설계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6)7)8)9)10)11)12)13)14)15).
CFD해석을 실시한 이유는? CFD해석은 풍동실험에서 얻은 실험결과에 대한 기류흐름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CFD해석에 사용한 소프트웨어는 STREAM 8.
대공간 건축물의 특징 중 경량화 된 지붕 구조 및 재료의 사용으로 발생하는 문제는? 또한 대규모의 공간 구조물에 경량화 된 지붕 구조 및 재료1)2), 불특정 다수 이용 시설물이라는 고유의 특성으로 인해 구조 설계 및 시공이 난해하고 이러한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을 경우에는 구조물의 파손이 발생할수 있a으며 더 나아가 구조물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3)4). 대공간 건축물의 특징 중 경량화 된 지붕 구조 및 재료의 사용은 지붕면의 손상이나 파괴 등의 피해가 많다. 대규모 경기장의 경우에는 지붕의 구조가 철골 트러스와 인장케이블을 기반으로 테프론이라는 막재료를 사용하여 구조체를 감싸거나 덮는 형태로 많이 설계가 되는데, 특히 이 막재료에 의한 피해가 많으며 심각하다5)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Yuan-Qi Li, Yukio Tamura(2004), Wind-Resistant Analysis for Large-span Single-layer Reticulated Shells, Vol.19, No.1 pp.47-59 

  2. P. Biagini, C. Borri, M. Majowiecki, M. Orlando, L. Procino(2006), BLWT tests and design loads on the roof of the new olympic stadium in Piraeus, pp.293-307 

  3. Qing-Shan Yang, Rui-Xia Liu(2005), On Aerodynamic Stability of Membrane Structures, Vol.20, No.3 pp.181-188 

  4. Richard J. kind(1982), Department of Mechanical and Aeronautical Engineering, Carleton University, Ottawa, Canada. pp.429-439 

  5. Yutaka ASAMI(1999), Wind Test for Membrane Structure, J. of Wind Engineering, No.78 pp.49-50 

  6. Yasushi Uematsu, Motohiko Yamada, Akihiro Karasu(1997), Design wind loads for structural frames of flat long-span roofs: Gust loading factor for a structurally integrated type, pp.155-168 

  7. Yasushi Uematsu, Keisuke Watanabe, Akihiro Sasaki, Motohiko Yamada, Takeshi Hongo(1999), Wind-induced dynamic response and resultant load estimation of a circular flat roof, pp.251-261 

  8. Y. Uematsu, M. Yamada, A. Sasaki(1996), Wind-induced dynamic response and resultant load estimation for a flat long-span roof, pp.155-166 

  9. Fabio Rizzo, Piero D' Asdia, Massimiliano Lazzari(2009), Aerodynamic behaviour of hyperbolic paraboloid shaped roofs - wind tunnel tests 

  10. Fabio Rizzo, Piero D' Asdia, Lorenzo Procino(2008), Wind action evaluation on tension roofs of hyperbolic paraboloid shape 

  11. Zhi-hong Zhang, Yukio Tamura(2006), Aeroelastic Model Test on Cable Dome of Geiger Type, Vol.21, No.3 pp.131-140 

  12. P. Montes, A. Fernandez(2001), Behavior of a hemispherical dome subjected to wind loading, pp.911-924 

  13. HE Yan-li, DONG Shi-lin(2002), A New Frequency Domain Method for Wind Response Analysis of Spatical Lattice Structures with Mode Compensation, Vol.17, No.1 pp.67-76 

  14. 유기표, "측벽 개방유무에 따른 축사지붕면의 풍압계수 특성분석" 한국공간구조학회, 제11권 2호 2011 

  15. 유기표 외 2인 "비닐하우스의 형태와 배치에 따른 지붕면 피크외압계수 특성분석",한국공간구조학회, 제10권 1호, 2010 

  16. 김영문 역, 실무자를 위한 건축물 풍동실험 가이드북, 한국풍공학회, 1998 

  17. 김영문 외 2인 역, 건축물의 내풍설계, 한림원,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