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둥근마(Dioscorea opposita Thunb.) 기내 소괴경 생산을 위한 배양환경과 배지의 교체효과
Effects of Media Replacement and Environmental Control for in vitro Microtuber Production of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5 no.2, 2012년, pp.225 - 231  

정은아 (안동대학교 원예육종학과) ,  정정학 (안동대학교 원예육종학과) ,  권순태 (안동대학교 원예육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둥근마 액체배양에서 소괴경의 생산을 위하여 배양온도와 일장의 전환과 배양 배지의 교체 효과를 조사하였다. 둥근마 액체배양에서 식물체의 증식을 위한 일장시간은 6주의 배양기간 동안 $25^{\circ}C$에서 16시간보다는 24시간이 효과적이었다. 기내소괴경의 생산을 위하여 배양기간을 12주로 연장하여 배양하였으며, 배지교체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배양 중기인 배양 후 6주째에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였더니, 배지를 교체하지 않은 것보다 소괴경의 형성수가 평균 5개씩 더 많았고, 소괴경무게도 70% 이상 증가하였다. 배양환경의 전환이 소괴경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2주의 배양기간 중에 식물체 생장이 활발한 초기 6주간은 $25^{\circ}C$에서 24시간의 일장환경에서 배양하고, 이후 6주간의 배양온도와 일장시간을 전환하였다. 배양온도는 $25^{\circ}C$$15^{\circ}C$보다 효과적이었고, $25^{\circ}C$에서 일장시간은 24시간이 암처리 또는 8시간 일장처리보다 효과가 있었다. 12주간의 배양기간중에 배지 교체의 적절한 시기는 배양 후 2, 4, 6, 8, 10주째 또는 배지 무교체 처리구중에서, 생체중, 마디수, 소괴경수에서는 2주 또는 6주째에 교체하는 것이 좋았고, 소괴경중은 8주째 교체 처리구에서 가장 무거웠으나 소괴경의 수와 무게를 모두 고려하였을 때, 초기 배양 후 6주째에 배지 교체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었다. 12주간의 배양기간 중 배양 후 6주째에 교체할 배지의 성분은 sucrose 30, 60 $g{\cdot}L^{-1}$ 또는 sucrose 60 g + BA 0.1 $mg{\cdot}L^{-1}$ 함유 배지 중에서 sucrose 60 $g{\cdot}L^{-1}$이 함유된 배지로 교체하였을 때, 소괴경의 총무게가 가장 무거워 소괴경의 비대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둥근마의 액체배양시 $25{\pm}1^{\circ}C$, 24시간 광조건으로, 마디접종 후 6주째에 sucrose 60 $g{\cdot}L^{-1}$를 함유한 배지로 교체하여 6주간 추가 배양하는 방법이 기내 식물체와 소괴경의 생장과 형성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figure out optimum culturing condition for $in$ $vitro$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production, various media components and environmental controls were evaluated, effective temperature, light condition and timing of the liquid media replace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배지교환식은 연속식이라고도 하며 신선한 배지를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고, 같은 부피의 배양액을 배출시켜 배양액의 부피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배지의 지속적인 공급에 의한 배양기간의 연장과 생장저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u and Humphrey, 1991). 이에 본 연구는 조직배양법을 이용하여 인공씨마로 이용 가능한 기내 소괴경을 대량 증식하는 체계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으며, 둥근마의 기내 배양을 위한 배양온도와 일장의 전환 및 배지의 교체 효과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둥근마의 상업적 특징은? , 1997). 그 중 둥근마는 다른 마에 비해 품질이 좋고, 괴경의 심도가 얕아 수확이 용이하고, 점액성 약리성분인 mucin의 함량이 장마나 단마에 비해 40% 이상 높고, 가공 특성이 좋아 소비자들의 각광을 받고 있다(Kim et al., 2011).
배지 교환식 조직배양의 장점은? , 1989), 오염가능성이 낮지만 양분의 고갈이나 생장 저해물질의 축적으로 세포의 생장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고, 유가식은 배양과정중에 배지를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배양 부피의 제한과 축적된 생장저해물질을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편, 배지교환식은 연속식이라고도 하며 신선한 배지를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고, 같은 부피의 배양액을 배출시켜 배양액의 부피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배지의 지속적인 공급에 의한 배양기간의 연장과 생장저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u and Humphrey, 1991). 이에 본 연구는 조직배양법을 이용하여 인공씨마로 이용 가능한 기내 소괴경을 대량 증식하는 체계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으며, 둥근마의 기내 배양을 위한 배양온도와 일장의 전환 및 배지의 교체 효과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고한다.
마(Dioscorea opposita)의 덩이뿌리 모양에 따른 구분은? 마(Dioscorea opposita)는 지하부인 덩이뿌리의 모양에 따라 장마, 단마, 둥근마로 구별된다(Chang et al.,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ang, K.J., H.J. Kim and M. Hayashi. 1997. Eco-physiological studies on growth and enlargement of tuber yam. Detection of activity of the endogenous substances related to the growth and enlargement of tubers. Korean J. Plant Res. 10:50-57 (in Korean). 

  2. Griffiths, J.B., D. Looby and A.J. Racher. 1992. Maximization of perfusion system and process comparison with batchtype cultures, Cytotechnol. 9:3-9. 

  3. Grout B.W. and Aston H. 1977. Transplanting of cauliflower plants regenerated from meristem culture. I. Water loss and water transfer related to changes in leaf wax and to xylem regeneration. Hort. Res. 17:1-7. 

  4. Jeong, E.A. and S.T. Kwon. 2011. Medium constituents for in vitro multiplication of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Korean J. Plant. Res. 24(2):208-213 (in Korean). 

  5. Kim, S.K., H.J. Choi, K.R. Kim and H.Y. Kim. 2011. Properties of starches in Chinese yam, Dioscorea oppsita Thunb. irradiated with proton beam. Korean J. Plant Res. 24(3):304-308. 

  6. Lee, H.S., J.I. Lee and S.R. Ryu. 1993. Studies on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bulbil section invitro culture of Dioscorea Japonica TUNBERC. Korean J. Breed. Soc. 25(2):61-62 (in Korean). 

  7. Murashige, T. and F. Skoog. 1962.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a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s. Physiol. Plant. 15:473-497. 

  8. Nam, S.I., J.H. Park, G.S. Kwon, J.S. Uhm and H.S. Na. 2006. Industrial massproduction of virus-free seed yam and search for functional substances of yam.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pp. 1-30 (in Korean). 

  9. Park, C.H., N.S. Seong, S.T. Lee and K.Y. Paek. 1996. Micropropagation through adventitious bud formation and direct bulblet production in Dioscorea batatas DECNE. Korean J. Plant Tissue Cult. 23(5):317-322 (in Korean). 

  10. Seong, N.S., C.H. Park, C.G. Park, S.T. Lee and S. I. Park. 1996. Meristem culture for healthy seedling production in Dioscorea batatas. Korean J. Breed. Soc. 28(2):134-141 (in Korean). 

  11. Shin, J.H., S.K. Kim, J.B. Kwon, B.H. Lee and J.K. Sohn. 2004a. Factors affecting the production of in vitro plants from the nodal pieces of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J. Plant Biotech. 6(2):97-102. 

  12. Shin, J.H., S.K. Kim, D.K. Kang, S.Z. Park, B.H. Lee and J.K. Sohn. 2004b. The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and medium strength on the shoot and bud formation from the shoot apex of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J. Plant Biotech. 6(2):103-106. 

  13. Su, W.W. and A.E. Humphrey. 1991. Production of rosmarinic acid from perfusion culture of Anchusa officinalis in membrane -aerated bioreactor, Biotechnol. Lett. 13:889-892. 

  14. Yasunori Koda and Yoshino Kikuta. 1991. Possible involvement of jasmonic acid in tuberization of yam plants, Plants Cell Physiol. 32(5):629-633. 

  15. Velez, D., L. Moller and J.D. Macmillan. 1989. Use of tangential flow filtration in perfusion propagation of hybridoma cells for produc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Biotechnol. Bioeng. 33:938-940. 

  16. 金奎元, 白基燁, 鄭根植, 鄭載東, 崔光泰. 2008. 首爾, 植物組織培養.技術, 鄕文社. p. 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