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임기 여성을 위한 엽산섭취빈도조사지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Folate Intake in Women of Child-bearing Age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7 no.2, 2012년, pp.156 - 166  

한보람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현숙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simpl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for assessing folate intake in women of reproductive age. We developed a 30-item FFQ, and tes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in 97 women aged between 20 and 39 yrs using the FFQs and 2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6)에 따른 민감도와 특이도를 평가한 후, 각각의 수준에 따른 민감도와 특이도를 모두 고려해 엽산 섭취 상태를 양호/불량으로 판정하는 기준점을 선택하였다. 따라서 대상자의 엽산 적정섭취비가 본 연구에서 설정한 기준점 이상일 때 엽산 섭취가 양호한 상태로, 기준점 미만일 때 엽산 섭취가 불량한 상태로 판별하고자 하였다. 민감도는 실제 영양문제가 있는 대상들 중에서 영양문제가 있는 사람들을 분류하는 지표이고, 반면 특이도는 실제 영양문제가 없는 대상들 중에서 영양문제가 없는 사람들을 분류할 수 있는 지표이다(Gibson 1990).
  • 본 연구는 97명의 가임기 여성(20~39세)을 대상으로 엽산 섭취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반정량적 엽산섭취빈도조사지를 개발하고자 신뢰도, 타당도, 민감도 및 특이도를 평가하였다. 엽산섭취빈도조사지와 24시간 회상법은 약 3개월 간격을 두어 각각 2회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서울 · 경기 지역의 특정한 질병이 없는 건강한 가임기 여성(20~39세)을 대상으로 지난 6개월 동안 섭취한 식품의 섭취 빈도를 조사하였다.
  • 연구자로부터 24시간 회상법과 엽산섭취빈도조사지의 작성 요령 및 식품모형을 이용한 목측량에 대한 사전교육을 받고 응답자가 자가 기록하였다. 응답자들이 식품섭취빈도지를 작성하는 데 약 10~15분 정도 소요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식생활과 관련된 엽산 섭취식품 선택을 고려해, 응답자의 시간적 · 심리적 부담을 줄여 가임기 여성의 엽산 섭취량을 비교적 간편하게 추정할 수 있는 반정량적 엽산섭취빈도조사지를 개발하고 조사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실용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곡류에 엽산 강화을 하면서 어떤 변화가 생겼음이 보고되는가? 특히 세포분열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임신 28일 이내에 태아의 신경관세포의 발달이 엽산 결핍에 의해 저해될 수 있으므로(Green 2002),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임신 전 최소 한 달 전부터 임신 12주 기간 동안 여성들에게 매일 400 µg의 엽산을 복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Lincetto 2007). 미국 23개 주의 자료를 분석한 Canfield 등(2005)은 곡류에 엽산 강화를 하기 전 시기인 1995~1996년에 비해, 엽산 강화를 시행한 후인 1999~2000년 사이에 출생한 신생아의 신경관 결손증(NTD; Neural Tube Defect)을 비롯한 구개 파열(cleft palates), 비뇨생식기의 결함(genitourinary defects)과 같은 선천적 결손증(birth defects)이 감소함을 관찰하였다. Grosse & Collins(2007)의 메타분석 결과에서도 엽산 보충 시 NTD의 재발률을 85~100%까지 예방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젊은 가임기 여성의 경우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이는가? 한편 젊은 가임기 여성의 경우 마른체형을 선호하는 인식으로 인해 부적절한 체중 조절을 시도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Wardle & Hasse 등 2006; Kim & Cha 2007). Wardle & Hasse 등(2006)의 연구에 따르면, 22개국 중 우리나라 여대생의 평균 BMI가 19.3로 가장 낮으나 체중 감량을 목표로 하는 학생의 비율은 7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체중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절식 요법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Park 등 2004; Kim & Kim 2010). 식이 섭취를 필요이상으로 제한하였을 때 에너지 및 단백질, 지질과 같은 주요 영양소를 비롯한 비타민 및 미량 영양소의 섭취가 부족해질 수 있는 위험과 함께, 정상 체중을 가진 여성의 고의적인 체중 감소로 인해 야기된 영양결핍이 월경 주기를 조절하는 호르몬 신호를 변형시킴으로써 생식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Brown 등 2008). 따라서 바람직한 임신 결과를 위한 영양 중재가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야하며, 특히 엽산 섭취가 불량한 위험 대상자를 선별할 수 있는 적절한 영양섭취 조사도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엽산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엽산은 대표적인 항빈혈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핵산과 아미노산 합성에 필수적인 비타민으로, 체내의 여러 대사과정에서 단일탄소기를 운반하는 조효소 역할을 한다. 엽산은 세포분열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임신기 및 모유가 분비되는 수유기에 그 필요량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hn KH, Yoo CJ, Kim YC (2007): Product differentiation strategy of DONGWON F&B through brand management. Korean Marketing Assoc 9(3): 167-185 

  2. Ahn HS, Jeong EY, Kim SY (2002): Studies on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nutritional status of vitamin $B_6$ , $B_{12}$ and folate in college women. Korean J Nutr 35(1): 37-44 

  3. Ahn YJ, Lee JE, Cho NH, Shin C, Park C, Oh BS, Kim KC (2004): Validation and calibration of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with participants of the Korean health and genome study-. Korean J Community Nutr 9(2): 173-182 

  4. Bae HS, Cho YH, Kim JY, Ahn HS (2006):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and antioxidant status in female college students by skin types. Korean J Community Nutr 11(1): 63-71 

  5. Bae HS, Choi SI, Ahn HS (2010a): Nutritional and antioxidant status by skin types among female adults. Nutr Res Pract 4(3): 215-221 

  6. Bae HS, Kim SY, Ahn HS, Cho YK (2010b):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life style variables, and pregnancy outcomes by the depression degree of pregnant women. Nutr Res Pract 4(4): 323-331 

  7. Baer HJ, Blum RE, Rockett HR, Leppert J, Gardner JD, Suitor CW, Colditz GA (2005): Use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n American Indian and Caucasian pregnant women: a validation study. BMC Public Health 5: 135-45 

  8. Bang SW, Lee SS (2009): The factors affecting pregnancy outcomes in the second trimester pregnant women. Nutr Res Pract 3(2): 134-140 

  9. Boucher B, Cotterchio M, Kreiger N, Nadalin V, Block T, Block G (2006):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Block98 food-frequency questionnaire in a sample of Canadian women. Public Health Nutr 9(1): 84-93 

  10. Brown JE, Isaacs JS, Krinke UB, Murtaugh MA, Sharbaugh C, Stang J, Wooldridge NH (2008):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third edition). Thomson/Wadsworth, Belmont, CA, pp.53-54 

  11. Canfield MA, Collins JS, Botto LD, Williams LJ, Mai CT, Kirby RS, Pearson K, Devine O, Mulinare J; National Birth Defects Preventin Network (2005): Changes in the birth prevalence of selected birth defects after grain fortification with folic acid in the United States: findings from a multi-state population-based study. Birth Defects Res A Clin Mol Teratol 73(10): 679-689 

  12. Clover E, Miller M, Bannernan E, Magarey A (2007): Relative validation of a short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calcium intake in older adults. Aust N Z J Public Health 31(5): 450-8 

  13. Gibson RS (1990): Principles of nutritional assessmen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11 

  14. Goldbohm RA, van den Brandt PA, Brants HAM, van't Verr P, AL M, Stunnans F, Hermus RJJ (1994): Validation of a dietary questionnaire used in a large-scale prospective cohort study on diet and cancer. Eur J Clin Nutr 48: 253-265 

  15. Green NS (2002): Folic acid supplementation and prevention of birth defects. J Nutr 132: 2356S-2360S 

  16. Grosse SD, Collins JS (2007): Folic acid supplementation and neural tube defect recurrence prevention. Birth Defects Res A Clin Mol Teratol 79(11): 737-42 

  17. Heu MS, Kim HJ, Yoon MS, Park KH, Shin JH, Lee TG, Kim JG, Kim JS (2010): DHA enrichment of salmon patty using emulsion curd and its component characteristics. Korean J Fish Aquat Sci 43(4): 285-292 

  18. Hyun TS, Han YH (2001): Comparison of folate intake and food sources in college students using the 6th vs 7thnutrient data base. Korean J Nutr 34(7): 797-808 

  19. Ji SK, Kim HS, Choi HM (2008): A study 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estimating energy intake of women in child-bearing age. Korean J Nutr 13(1): 111-124 

  20. Jin HO, Lim HS (2001): Major foods for folate and their folate contents of Korean child-bearing wom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1): 152-158 

  21. Jung SW, Lee NJ, Lee KG, Hong KW, Lee SJ (2006): Changes in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in tuna (Katsuwonus pelamis) of various thawing temperature. Food Engineering Progress 10(3): 186-191 

  22. Khan NC, Mai LB, Hien VT, Lam NT, Hoa VQ, Phuong TM, Nhung BT, Nakamori M, Shimizu Y, Yamamoto S (200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calcium intake in postmenopausal Vietnamese women. J Nutr Sci Vitaminol 54: 124-9 

  23. Kim EJ, Cha BK (2007): Weight control behaviors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Women Health Nurs 13(4): 320-26 

  24. Kim HC, Kim MR (2010): Analysis on awareness and practices for diet according to lifestyle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Hum Ecol 19(1): 157-165 

  25. Kim MK, Lee SS, Ahn YO (1996): Reproducibility and validity of a self-administer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mong middle-aged men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1(3): 376-394 

  26. Korea Institute for Animal Products Quality Evaluation (2011): Usage of meat classified by parts. Avaliable from http:// www.ekape.or.kr/view/user/information/eat_01.part_01.cow_ cow_01.asp [cited 2011 August 17] 

  27.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999): Seeing pictures of food weight estimated by eye. Seoul, KDA 

  28.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p.607 

  29. Lee SY (1997):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and diet quality obtained by 24-hour recall method in Korean adults living in rural area.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30. Lim HS, Jin HO, Lee JA (2000): Dietary intakes and status of folate in Korean women of child-bearing potential. Korean J Nutr 33(3): 296-303 

  31. Lim JY, Rha HB (2007): Weight control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health-related major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3): 247-58 

  32. Lincetto O (2007): Prevention of neural tube defects. Department of Making Pregnancy Safer, World Health Organization. Available from www.who.int/reproductivehealth/publications/maternal_perinatal_ health/neural_tube_defects.pdf. [cited 2011 Novemver 15] 

  33. Mikkelsen TB, Osler M, Oslen SF (2006): Validity of protein, retinol, folic acid and n-3 fatty acid intakes estimated from the food-frequency questionnaire used in the Danish National Birth Cohort. Public Health Nutr 9(6): 771-778 

  34. Mouratidou T, Ford F, Fraser RB (2006a): Validation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use in pregnancy. Public Health Nutr 9: 515-522 

  35. Mouratidou T, Ford F, Prountzow F, Fraser R (2006b): Dietary assessment of a population of pregnant women in Sheffield, UK. Br J Nutr 96(5): 929-935 

  36. Noia JD, Contento IR (2009): Use of a brie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estimating daily number of servings of fruits and vegetables in a minority adolescent population. J Am Diet Assoc 109: 1785-1789 

  37. Park JW, Park HM, Ha NS (2004): A study on the obesity and weight control methods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Pshch Mental Health Nurs 13(1): 5-13 

  38. Park KY, Yoon MS, Kim JG, Kim HJ, Shin JH, Lee JS, No YI, Heu MS, Kim JS (2010):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nned salmon frame. Korean J Fish Aquat Sci 43(2): 93-99 

  39. Son SM, Huh GY, Lee HS (2005):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and short DFQ using Na index for estimation of habitual sodium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10(5): 677-92 

  40. Swierk M, Williams PG, Wilcox J, Russell KG, Meyer Bj (2011): Validation of an Australian electronic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measure polyunsaturated fatty acid intake. Nutr 27(6): 641-646 

  41. Vriese SR, Henauw S Backer G, Dhont M, Christophe AB (2001): Estimation of dietary fat intake of Belgian pregnant women. Ann Nutr Metab 45: 273-278 

  42. Wardle J, Haase AM (2006): Steptoe a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in young adults: international comparisons in university students from 22 countries. Int J Obes (Lond) 30: 644-51 

  43. Willett W (1998): Nutritional epidemiology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York 

  44. Xia W, Sun C, Zhang L, Zhang X, Wang J, Wang H, Wu L (2011): Reproducibility and relative validity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developed for female adolescents in Suihua, North China. PLoS ONE 6(5): e19656 

  45. Xu L, Dibley MJ, D'Este C (2004):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food-frequency questionnaire for Chinese postmenopausal women. Public Health Nutr 7(1): 91-98 

  46. Yim KS, Lee TY, Park HS (2003):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diets of Korean adolescents. Korean J Community Nutr 8(2): 149-159 

  47. Yon MY, Hyun TS (2005): Additional data for the folate database for foods common in Korea. Korean J Nutr 38(7): 586-6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