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지적성평가 평가방법 개선방안 연구 : 거리측정 및 임계치 설정방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easuring Methods in Land Suitability Assessment: Focused on the Distance Measurement and Threshold Definition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3 no.1, 2012년, pp.69 - 78  

정연우 (토지주택연구원) ,  이상준 (토지주택연구원)

초록

본 연구에서는 토지적성평가 평가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지표값 측정 및 임계치 설정을 중심으로 현 제도에서 적용하고 있는 평가방법과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두 가지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방법에 비해 지니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과정은 1) 공간적 입지특성에 대한 거리측정시 저항을 고려한 분석, 2) 보전적성값 산정시 물리적 특성지표에 적용되는 귀속도 함수의 임계치 설정에 따른 평가결과를 측정하였다. 평가결과 첫째, 저항을 고려한 측정방법이 단순한 직선거리에 의한 방법에 비해 하천이나 임야 등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적 특성을 보다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지역의 최고값을 최대임계치로 설정하는 현재의 방법이 지표의 측정값 분포를 고려한 임계치 설정 때보다 상대적으로 평가절하된 점수값을 도출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공위성영상자료를 평가결과에 중첩시켜 보았을 때 본 연구의 방법에 의한 적성등급이 현황과 보다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방법은 토지적성평가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더불어 그간 제도의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평가단위의 문제, 평가절차상의 문제, 기초자료 정비의 문제 등--이 보완된다면 국토 및 도시정책 수립시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공간의사결정지원체계(SDSS)로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poses an approach to improve the accuracy of land assessment result focused on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The detailed analysis processes are; (a) that they are analyzed considering resistance in distance measurement on the space characteristics of location, and; (b) that an as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토지적성평가 평가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지표값 측정 및 임계치 설정을 중심으로 현 제도에서 적용하고 있는 평가방법과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두 가지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방법에 비해 지니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지적성평가 평가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토지의적성평가에관한지침(이하 ‘토지적성평가지침’이라 함) 및 토지적성평가 가이드(건설교통부・국토연구원, 2003)에서 적용하고 있는 평가방법, 특히 공간적 입지특성 지표에 대한 측정방법 및 보전적성값 산정시 물리적 특성에 대한 최대임계치 설정방법을 중심으로 개선방안을 검토하고,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이를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방법에 비해 지니는 효과와 유용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에 일반적으로 경사도가 높을수록 접근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반영하여 저항값을 설정하였는 바, 사례연구 대상지인 ○○시의 개발행위허가기준 및 도로설계기준(건설교통부, 2005)상 최대 종단경사범위를 바탕으로, 경사도별 저항값을 0~10도(1), 10도~20도(2), 20도 이상(3)으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토지이용에 따른 저항값을 설정하는데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기개발된 지역(주거・상업・공업・도로 등), 경작지(전・답 등), 자연지형(하천・임야 등)의 순으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는데 상대적으로 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가정하였다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지적성평가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법령의 제정과 동시에 사업이 추진된 관계로 제도 정착을 위한 다양한 기반이 마련되지 않은 등 다양한 미비점이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까지 토지적성평가 시행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으로는 평가단위의 문제, 평가 지표 임계치의 문제, 분석기법적 문제, 평가절차상의 문제, 기초자료 정비의 문제, 도시계획제도상의 문제, 도시계획정보화 관점에서의 문제 등을 들 수 있다(임종훈, 2004; 이은옥, 2007). 평가체계Ⅰ의 경우, 평가결과에 따라 부여된 토지적성등급에 대해 주민들에게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근거가 부족하며, 나아가 적성등급이 지자체 현황과 불일치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 실무적 차원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토지적성평가는 무엇인가? 특히 준농림지역을 중심으로 한 토지의 난개발이 사회문제화 되면서 이를 방지하고 계획적으로 국토를 관리하기 위해 토지적성평가 제도가 도입되었다(이종용과 이용범, 2004). 토지적성평가는 토지의 환경생태적・물리적・공간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 토지가 갖는 환경적・사회적 가치를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토지용도를 분류하여 국토・도시계획에 활용하는 제도이다. 그 동안 이와 유사한 제도로서 토지분류조사, 농지능력구분조사, 녹지자연도 등이 있었지만, 토지가 갖는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그 평가 결과를 계획에 반영하는 체계적인 토지평가제도는 토지적성 평가제도가 최초라고 할 수 있다(채미옥, 2002).
McHarg의 생태적 적지분석론이 가진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인가? 특히 오늘날 환경친화적 토지이용계획 분석 기법으로 가장 많이 거론되고 있는 McHarg의 생태적 적지분석론은 우리에게 실천적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 이론의 가장 큰 특징은 땅과 자연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생태적 수용력(ecological carrying capacity)이 바로 그 토지의 용도를 결정할 수 있다는 관점에 있으며, 이를 위해 생태학적 접근방법과 지도중첩기법(map overlay method)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공간개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생태적 적지(ecological suitable site)를 찾는 것이며, 그러한 적지에서는 개발에 따른 환경에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설계안이 제안될 수 있다는 것이다(McHarg, 196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국토연구원(2003), 토지적성평가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2. 김우혁, 황의진, 류지협(2007), "토지적성평가의 운용방법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5(4): 71-79. 

  3. 김인현, 오규식, 양희범(2009), "토지적성평가 지표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GIS학회지, 17(2): 201-212. 

  4. 김항집(2004), "도시계획시설의 설치를 위한 토지적성의 평가방법 개선을 위한 연구: 평가체계II의 문화체육시설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9(7): 85-95. 

  5. 김항집(2004), "토지적성평가의 한계와 개선방안: 도시관리계획의 입안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논문집, 429-441. 

  6. 여홍구, 임종훈(2004), "토지적성평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평가체계II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9(2): 107-116. 

  7. 오규식, 정연우(1999), "GIS-퍼지 접근방법의 유용성", 국토계획, 34(4): 71-83. 

  8. 이은옥, 이혜숙, 김성삼, 유환희(2007), "공간영상정보를 이용한 토지적성평가 DB 갱신", 한국GIS학회 2007 공동춘계학술대회논문집, 40(2): 300-306. 

  9. 이종용, 이용범(2004), "효율적인 토지적성평가를 위한 격자 평가단위 적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7): 97-110. 

  10. 이종용(2005), "토지적성평가 데이터베이스의 정확도 향상방안", 국토계획, 40(3): 7-19. 

  11. 임종훈(2004), "토지적성평가의 평가단위 및 지표 임계치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장현웅, 이명훈(2002), "비도시지역의 난개발 방지를 위한 토지 적성평가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7): 17-27. 

  13. 채미옥(2002), "토지적성평가방법의 이론적 고찰", 국토연구, 35: 33-50. 

  14. 채미옥, 오용준(2004), "국토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토지적성평가 기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1): 45-58. 

  15. 최준성(2006), "토지적성평가의 지표분석개선과 전라북도 토지 특성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황희연, 오용준(2005), "지역특성을 반영한 토지적성평가지표 개발과 효과분석", 국토계획, 40(2): 93-107. 

  17. Altman, D. A. (1994), "Fuzzy set theoretic approaches for handling imprecision in spatial analysis", INT. J. GIS, 8(3): 271-289. 

  18. Burrough, P. A. and R. A. McDonnell (2000), "Principle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 Davidson, D. A., S. P. Theocharopoulos, and R. J. Bloksma (1994), "A land evaluation project in Greece using GIS and based on Boolean and Fuzzy set methodologies", INT. J. GIS, 8(4): 369-384. 

  20. Hall, G. B., F. Wang, and Subaryono (1990), "Fuzzy information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in conventional GIS software: database design and application", INT. J. GIS, 8(4): 261-283. 

  21. McHarg, I. L. (1969), "Design with Nature", New York: Doubleday/Natural History Press. 

  22. Oh, K and Y. Jeong (2002), "The Usefulness of the GIS-Fuzzy Set Approach in Evaluating the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9: 589-60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