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지표와 대안지표를 활용한 토지적성등급 비교분석 - 충청북도 증평군을 대상으로
Comparative Analyses of Land Appropriateness Degrees Based on the Basic and Alternative Indicators : Focused on Forest Areas Surrounding Management Zones in Chungcheongbuk-Do Jeungpyeong Counties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1 no.4, 2013년, pp.83 - 93  

이진항 (충북대학교 환경.도시공학과) ,  김광주 (충북대학교 환경.도시공학과) ,  이명범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만형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에 따라 토지적성평가시 토지의 적성을 비교적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기존지침의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본지표가 지역의 다양한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역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이 필요한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토지적성평가의 한계를 타개하기 토지적성평가시 새로운 지표로평가지표를 대체하였을 때 변화되는 적성등급까지 분석하는 실증적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관리지역 경계부 임야지역이 합리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는가를 확인하고,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에 따른 관리지역 경계부 임야지역의 합리적인 평가방법을 확인하였다. 토지적성평가에 지역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대체지표를 추가 하거나, 좀 더 효과적인 대체지표가 어떤 것인지를 확인하기 보다는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에 따라 토지적성평가를 수행하였을 때, 관리지역 경계부 임야지역의 합리적인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nd Suitability Assessment can help to evaluate whether to preserve or to develop through analysis of various land characteristics. So, the evaluation index and method are very important for making the best result. The principle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identify effective method that 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관리지역 경계부 임야지역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는가를 확인하고, 합리적인 대안을 강구하려고 한다.
  • 우선등급 분류 및 평가대상지에 대한 평가지표별 물리적 특성·지역특성·공간적 입지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의 주제도를 구축하였다.
  • 이 연구는 관리지역 경계부 임야지역이 합리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는가를 확인하고,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에 따른 관리지역 경계부 임야지역의 합리적인 평가방법을 제안하여고 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지역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대체지표를 추가 하거나, 좀더 효과적인 대체지표가 어떤것 인지를 확인하기보다는 현행 토지적성평가 지침에 따라 토지적성평가업무를 수행하였을 때에, 관리지역 경계부 임야지역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방법을 찾아보는 데에 1차적인 의의가 있다.
  • 이 연구는 지역고유지표나 대체지표를 찾아보고 추가하는 방법이 아니라,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상의 방법과 토지적성평가에 관한 지침상의 기타 방법을 활용하였을 때에, 도시지역과 접하는 관리지역 임야를 가장 합리적인 평가방법으로 찾는 데에 있다.
  • 이 연구는 토지적성평가시 기개발지 인접으로 인한 관리지역 경계부 임야의 토지적성값이 왜곡되는 현상을 보완하기 위한 좀더 효과적인 방법을 찾는데 1차적인 목적을 두었다.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상의 기본지표로 토지적성평가를 시행하여 관리지역 경계부임야에 대해 타당한 적성등급이 나오는지 확인 후,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상 단서 조항에 해당하는 2가지의 대안지표를 활용하여 토지적성평가를 실시하여 좀 더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인지를 확인해 보았다.
  • 이 연구는 토지적성평가시 기개발지 인접으로 인한 관리지역 경계부 임야의 토지적성값이 왜곡되는 현상을 보완하기 위한 좀더 효과적인 방법을 찾는데 1차적인 목적을 두었다.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상의 기본지표로 토지적성평가를 시행하여 관리지역 경계부임야에 대해 타당한 적성등급이 나오는지 확인 후,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상 단서 조항에 해당하는 2가지의 대안지표를 활용하여 토지적성평가를 실시하여 좀 더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인지를 확인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지적성평가란 무엇인가? 토지적성평가는 전국토의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보장하고 개발과 보전이 조화되는 선계획·후 개발의 국토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각종의 토지이용계획이나 주요시설의 설치에 관한 계획을 입안하고자 하는 경우에 토지의 환경생태적·물리적·공간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토지가 갖는 환경적·사회적 가치를 과학적으로 평가함으로써 보전할 토지와 개발가능한 토지를 체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계획을 입안하는 단계에서 실시하는 기초조사이다(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
토지적성평가 지침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토지적성평가 지침은 2002년 12월 16일 제정된 이례로 수차례의 개정을 거쳐 현재와 같은 제도로 다듬어져 왔다. 지침은 총칙, 일반원칙, 토지적성평가 실시, 업무지원 및 특례, 부칙 및 별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토지분류의 예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즉 토지 분류는 토지 고유의 자연적·사회적 제 성질을 기초로그 성격을 유형화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Cho, Bong Un, 2005) 예를 들어 경사도에 따라 저지, 평지, 급경사지 등으로 구분하거나, 기후에 따라 한대, 온대, 열대 등으로 구분하는 것이 토지분류에 해당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ae, M.O., Kim, C.H., Oh, Y.J., 2002, Sustainable land use management, land suitability evaluation study on the use of technique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 Chae, M.O., Kim, J.H., 2003, Policy alternatives for land suitability assessment system,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3. Chang, H.W., Lee, M.H., 2002, A study on the use of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system to prevent urban sprawl of rural area, journal of korean planners association, Vol.37, No.7, pp.17-27. 

  4. Cho, B.U., 2005, Considera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and challenges the use of land suitability evaluation,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5. Choi, H.H., 2007, Apply alternative indicators in land suitability assessment study on, Dongshin Unversity Master's Thesis. 

  6. Eom, J.H., 2003, Introduction background and meaning of land suitability assessment, Vol.38 No.416, Jounal of Urban Problem, pp.11-17. 

  7. Han, S.H., Choi, Y.S., Park, S.M., Kim, Y.G., 2008, A study on the application replotting design of gis,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pp.333-334. 

  8. Hwang, H.Y., Oh, Y.J., 2005,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land suitability assessment indicator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case of agricultural-mountainous areas, Korean Planners Association, Vol.40 No.2, pp.93-107 

  9. Jung, H.S., 2006,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sand improvement of land suitability assessment system : focused on the case of namyangju, University of Seoul. 

  10. Kim, H.J., 2004, The improvement of land suitability assessment for building infrastructure, Conference of Korean Planners Association, pp.85-95. 

  11. Lee, J.H., 2013, Comparative analyses of land appropriateness degrees based on the basic and alternative indicators : focused on forest areas surrounding management zones in jeungpyeong and danyang counties, chungbuk university. 

  12. Lee, J.Y., The guideline of building database for the land suitability assesment, journal of korean planners association, Vol.40 No.3, pp.7-19. 

  13.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2009, Operation guideline of Development Permit System. 

  1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2, A study on indoor spatial informa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location search. pp. 15. 

  15.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 A Directive of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16. Oh, Y.J., Hwang, H.Y., 2004, A study on land suitability assessment factors specific to islands : case of namhaegun, Korean Planners Association, Vol.39 No.5, pp.73-85. 

  17. Park, Y.S., 2010, A study on alternative index application with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given land suitability assessment, Chosun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