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자유 탐구 보고서에 나타난 특징과 탐구 수행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Open-Inquiry Report and Their Perceptions of Conducting Inquiry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56 no.3, 2012년, pp.371 - 377  

박미현 (대구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차정호 (대구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김인환 (대구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이 연구에서는 대구 지역 중학교 2학년 165명이 작성한 자유 탐구 보고서를 주제 영역, 탐구 가설, 그리고 탐구 변인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여름방학이 시작되기 전 2시간 동안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면서 탐구 과정에 대해 소개하고, 주제를 탐색하도록 하였다. 여름방학 동안 학생들은 주제 선정, 실험설계 및 수행, 자료 수집 및 분석, 결과 보고서 작성 등의 과정을 스스로 진행하였다. 여름방학 후, 결과보고서를 제출받으면서 학생들이 주제 선정에서 활용한 자료의 출처, 가설의 정의, 그리고 탐구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단계에 대한 인식도 조사하였다. 보고서의 주제 영역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생활 영역으로, 보고서에 기술된 가설은 예측 가설과 설명 가설로 분류하였고 가설의 정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비교하였다. 탐구 주제, 탐구 가설, 실험 설계 부분에 제시된 탐구 변인을 분석하여 범주형, 연속형, 불확실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주제 영역 중 화학 영역의 보고서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생물과 생활 영역이 많았다. 전체 165개 보고서 중 130개에 탐구 가설을 포함하고 있었는데, 이들 중 대부분은 예측 가설에 해당하였다. 보고서에 제시된 탐구 변인을 분석한 결과, 탐구 주제와 탐구 가설에 기술된 독립 변인과 종속 변인은 불확실 유형이 많았다. 그러나 실험 설계 부분에 기술된 변인들은 불확실 유형이 많이 줄어들었고, 범주형 변인이 증가하였다. 탐구 수행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단계에 대한 질문에 학생들은 주제 선정 단계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open inquiry reports of 165 eighth graders in Daegu were analyzed in terms of content area, the types of inquiry hypothesis, and the types of inquiry variables. Before summer vacation, students learned about inquiry process and explored their own inquiry topic for two class hours. D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작성한 자유 탐구 보고서의 특징을 분석하고, 탐구 수행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 선행 연구에서도 유사한 접근이 있었지만, 탐구 보고서에 제시된 일부분에 대해 집중함으로써18-21 학생들이 실제 탐구 과정에서 겪는 경험에 대한 포괄적이고 정확한 이해를 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이 탐구 문제 설정에서부터 보고서 작성에 이르는 전 과정을 직접 수행한 뒤 제출한 결과 보고서의 다양한 측면을 분석하였다. 보고서 내용 중에서도 특히 과학적 탐구의 출발점이 되는 탐구 문제,22 탐구를 하고 있으면서도 잘못 파악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탐구 변인,18 그리고 탐구의 핵심이 되는 과학적 가설23을 중심으로 포괄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유 탐구 수행 과정 중 학생들이 어려워 했던 단계는? 자유 탐구를 수행하는 과정 중 실험 설계나 결과 정리 및 결론 도출에 대해 많은 학생들이 어려움을 표현했지만,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했던 단계는 주제 정하기였다. 주제 설정은 초등 예비교사들에게도 가장 도전적이었던 것으로,1 성공적인 자유 탐구 수행을 위해서는 주제 정하기 단계에서 학생들에게 세심한 안내가 요구된다.
임시적 원인 설명이란? 가설은 크게 예상으로서의 가설과 임시적 원인 설명으로서의 가설로 분류될 수 있다. 예상이란 앞으로 관찰될 것으로 기대되는 현상이고, 임시적 원인 설명이란 지금 보이는 현상을 보이지 않는 임시적인 원인으로 설명하는 것이다.24 또한, 박종원25은 예측 가설이 되려면 아직 그 현상에 관한 일반법칙이 주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스스로 예측에 필요한 법칙을 제안하고 그로부터 어떤 현상을 예측해야 하며, 설명 가설이 되려면 어떤 현상이 왜 일어났는지를 인과적으로 설명하는 임시적인 해를 제안해야 한다고 정의한 바 있다.
탐구 중심 교육을 위해 변경된 교육과정은 무엇인가? 7 결국 교과서에 제시된 단순한 과학 실험8은 ‘요리책’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2007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국민공통교육과정에 해당되는 3학년부터 10학년까지 매 학년별로 최소한 6차시의 탐구를 수행하는 ‘자유 탐구’를 신설하였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im, S.; Yang, I.; Kim, S.; Hong, E.; Lim, J.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0, 30, 291. 

  2. National Research Council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1996. 

  3. National Research Council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2000. 

  4. Cuevas, P.; Lee, O.; Hart, J.; Deaktor, 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5, 42, 337. 

  5. Ministry of Education Commentary on Middle School Curriculum (III): Math,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Daehan Publishing Company: Seoul, 1999. 

  6. Lee, B.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5, 25, 873. 

  7. Lee, Y.; Park, 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2010, 3, 65. 

  8. Chinn, C.A.; Malhotra, B.A. Science Education 2002, 86, 175. 

  9.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Middle School Curriculum; Seoul, Korea, 2007. 

  10. Lee, K.; Jee, K.; Park, J. Teacher Education Research 2010, 49, 71. 

  11. Sadeh, I.; Zion, 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9, 46, 1137. 

  1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ommentary on Middle School Curriculum(III): Math,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Seoul, Korea, 2008. 

  13. Lee, H. C.; Lee, J. C.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0, 34, 405. 

  14. Chang, J.; Jhun, Y.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10, 29, 207. 

  15. Kim, J.; Lim, H.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2011, 15, 535. 

  16. Hwang, H.; Jhun, Y.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9, 28, 404. 

  17. Byun, S.; Kim, H.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1, 31, 210. 

  18. Kim, J.; Pak, S.; Oh, W. K.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98, 18, 297. 

  19. Shin, M.; Choe, 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08, 29, 341. 

  20. Shin, M.; Choe, 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09, 30, 759. 

  21. Park, J.; Song, Y.; Kim, B.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1, 31, 143. 

  22. Shin, D.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7, 26, 149. 

  23. Kwon, Y.; Jeong, J.; Kang, M.; Kim, Y.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3, 23, 458. 

  24.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Teminology in Science Education; Kyoyookbook Publishing Company: Seoul, 2005. 

  25. Park, J.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0, 20, 667. 

  26. Quinn, A. E.; George, K. D. Science Education 1975, 59, 289. 

  27. Cha, J., Development of Chemistry Education Homepage with Individualizing Web Agent and Analysis of Interactions in On-line Discussion. Docto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03. 

  28. Kwon, M., Study of Teacher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Hypotheses and an Analysis of Common (Intergrated) Science Textbooks: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Scientific Hypothesis. Master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001. 

  29. Kang, S.; Park, H.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011, 21, 309. 

  30. Sung, H.; Hwang, S.; Nam, J.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2, 32, 1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