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가교고분자 재활용기술
Recycling Technology of Crosslinked-Polymers Using Supercritical Fluid 원문보기

Elastomers and composites =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47 no.2, 2012년, pp.111 - 120  

구종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물질구조제어연구단) ,  유시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물질구조제어연구단) ,  백범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물질구조제어연구단) ,  조항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물질구조제어연구단) ,  이윤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화학생물공학부) ,  홍순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물질구조제어연구단)

초록

열경화성 고분자들은 불융/불용 특성으로 인하여 현재 개발된 재활용 기술의 부재로 대부분 매립 또는 소각처리 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환경요염 문제 및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가교고분자의 재활용 기술이 크게 주목 받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초임계 공정에 의한 가교고분자 재활용 방법에 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dustrial wastes of crosslinked polymers have been burned or disposed of in landfills because there is no recycling technology due to their insoluble and infusible network chain structure. However, recycling of cross-linked polymers has been taken a growing attention because of issues of environ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관점에서 폐 가교 고분자에 대한 재활용 요구의 증가로 환경오염 없이 재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개발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며, 본 논문에서는 현재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가교고분자의 재활용 기술 및 연구 동향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활용하기 용이한 폐 가교 폴리올레핀 수지의 종류는? 자원화 대상 폐기물 현황 측면에서 연간 약 100만톤의 폐가교 고분자(에폭시 수지, 페놀수지, 불포화폴리에스터수지, 우레탄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그 중 재활용하기 용이한 폐 가교 폴리올레핀 수지(수가교, 화학가교, 전자선 가교 수지 등)는 절연 전선류 8만톤(LS전선, LG화학, 한화그룹 등), 파이프류 20,000톤, 발포 쉬트류 15,000톤, 내화학성 용기류 20,000톤 등 연간 150,000톤 이상으로 예상되고 있다.
폐 가교고분자에는 무엇이 있는가?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포장 필름류 등에 대해서는 생산자 책임 재활용 제도의 시행으로 재활용 효율이 점차 개선되고 있지만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가교 폴리에틸렌 수지 등과같이 폐 가교고분자의 재활용에 대해서는 일부 선진국에서만 연구 개발 및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을 뿐 국내에서는 대부분 소각 또는 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다.1
① 순수 소각, ② 고형연료화기술의 단점은? 이 가운데서 ①∼③은 폐플라스틱의 일반 처리기술이며 ④만이 다층필름 특유의 재자원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①과 ②의 경우에는 원료와 자원으로 재이용이 불가능함과 동시에 소각시에 대기오염 (예를 들어 나일론에서 NOx 발생) 등의 환경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③과 ④의 방법에서는 재생품의 품질이 나쁘기 때문에 사용 용도가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ct on the Promotion of Saving and Recycling of Resources", Korea Environmental Law, Act No. 8611 (2007). 

  2. S. M. Hong, H. K. Cho, C. M. Koo, J. H. Lee, W. Y. Park, H. S. Lee, and Y. W. Lee, "Decrosslinking of Crosslinked Polyethylene Using Supercritical Methanol", Korean Chem. Eng. Res., 46, 63 (2008). 

  3. S. M. Hong and Y. W. Lee, "Development of Recycling Technology for Thermosetting Plastic Waste using Supercritical Fluid", A Research Paper for Resource Recycling R&D Program (2010). 

  4. P. G. Debenedetti, J. W. Tom, X. Kwauk, and S. D. Yeo, "Rapid Expansion of Supercritical Solutions (RESS) :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Fluid Phase Equilib., 82, 311 (1993). 

  5. S. Hayashi, K. Nomaguchi, T. Okusawa, O. Yokomizo, Y. Ishigaki, and H. Ishimaru. "Feasibility investigation on a dual waste-plastics recycling system concept", J. Mater Cycles Waste Manag, 2, 57 (2000). 

  6. H. Tagaya, Y. Shibasaki, C. Kato, J. I. Kadokawa, and B. Hatano, "Decomposition reactions of epoxy resin and polyetheretherketone resin in sub- and supercritical water", J. Mater Cycles Waste Manag, 6, 1 (2004). 

  7. T. Goto and T. Yamazaki, "Recycling of Silane Cross-linked Polyethylene for Insulation of Cables using Supercritical Alcohol", Hitachi Cable Review, 23 (2004). 

  8. C. Bozoglu, T. Karayildirim, and J. Yanik, "Utilization of Products Obtained from Copyrolysis of Oil Shale and Plastic", Oil Shale, 26, 475 (2009). 

  9. Y. K. Park, N. H. James, C. W. Curtis, and C. B. Roberts, "Depolymerization of Styrene-Butadiene Copolymer in Near- Critical and Supercritical Water", Ind. Eng. Chem. Res., 40, 756 (2001) 

  10. S. M. Hong, K. S. Kang, H. J. Han, and B. G. Cho, "Trend on the Recycling Technologies for the Used Thermosetting Resin by the Patent Analysis", A Technical Report collaborated with KIST and Siontech Co., Ltd., Unpublished (2008). 

  11. Phosentech, "Definition and Application of Supercritical Fluid", Web Site, http://www.phosentech.com/technical/technical_01.htm, Open Resource. 

  12. E. L. V. Goetheer, M. A. G. Vorstman, and J. T. F. Keurentjes, "Opportunities for Process Intensification Using Reverse Micelles in Liquid an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Chem. Eng. Sci. 54, 1589 (1999). 

  13. P. G. Jessop and W. Leitner, "Chemical Synthesis Using Supercritical Fluid", Wiley-VCH, Weinheim, Germany (1993). 

  14. H. Inomata and K. Arai,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Supercritical Fluid Technology", Kr. Chem. Tech., 3, 28 (2000). 

  15. M. Goto, M. Sasaki, and T. Hirose, "Reactions of polymers in supercritical fluids for chemical recycling of waste plastics", J. Mater Sci., 41, 1509 (2006) 

  16. A. Kamimura, "Effective Depolymerization Waste FRPs by Treatment with DMAP and Supercritical Alcohol", Chemistry Letters, 35, 6 (2006) 

  17. A. Kamimura, "Formation of recycled plastics from depolymerized monomers derived from waste fi ber-reinforced plastics", J. Mater Cycles Waste Manag, 11, 38 (2009) 

  18. J. Ozaki, S. K. I. Djaja, and A. Oya, "Chemical Recycling of Phenol Resin by Supercritical Methanol", Ind. Eng. Chem. Res., 39, 245 (2000). 

  19. Z. Tartakowski, "Recycling of packaging multilayer films: New materials for technical products",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55, 167 (2010). 

  20. V. Rajesh, "Supercritical extraction with carbon dioxide and ethylene of poly(vinyl butyral) and dioctyl phthalate from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J. Supercritical Fluids, 23, 153 (2002). 

  21. M. Goto, "Supercritical Water Process for the Chemical Recycling of Waste Plastics", AIP Conf. Proc., 169, 1251 (2010). 

  22. H. K. Cho, S. M. Hong, K. Y. Baek, H. S. Lee, Y. W. Lee, and C. M. Koo, "Phys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rmoplasticized Crosslinked-Polyethylene Foam in Supercritical Methanol", Macromol. Res., 17, 950 (2009). 

  23. G. C. Hwang, K. H. Kim, S. Y. Bae, S. C. Yi, and H. Kumazawa, "Degradation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Their Mixtures in Supercritical Acetone" Kr. J. Chem. Eng., 18, 396 (2001). 

  24. Y. J. Kwon,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rmoplasticized Crosslinked Polyethylene Composites in Supercritical Methanol",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Korea Univ., 8 (2011). 

  25. Y. J. Kwon, W. Y. Park, S. M. Hong, and C. M. Koo, "Foaming of Recycled Crosslinked Polyethylenes via Supercritical Decrosslinking Reaction", J. Appl. Polym. Sci., In Print. 

  26. H. K. Cho, S. M. Hong, and C. M. Koo, "Crystallization and the Mechan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Decrosslinked- Crosslinked- High-Density Polyethylenes Using a Supercritical Fluid", J. Appl. Polym. Sci., 120, 2090 (2011). 

  27. M. B. King, "Extraction of Natural Products Using near-critical Solvents",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1993). 

  28. Y. J. Kwon, D. K. Kim, W. N. Kim, B. G. Cho, S. M. Hong, and C. M. Koo, "Optimum Compatibilization for the Nonflammability of Thermoplasticized Crosslinked Polyethylene/ Metal Hydroxides Composites with a Compatibilizer", J. Appl. Polym. Sci., 124, 2814 (2012). 

  29. Y. J. Kwon, S. M. Hong, and C. M. Koo, "Viscoelastic Properties of Decrosslinked Irradiation-Crosslinked Polyethylenes in Supercritical Methanol", J. Polym. Sci., 48, 1265 (2010). 

  30. H. S. Lee, J. H. Jeong, H. K. Cho, C. M. Koo, S. M. Hong, H. Kim, and Y. W. Lee, "A Kinetic Study of the Decrosslinking of Crosslinked Polyethylene in Supercritical Methanol", Polym. Degrad. Stabil., 93, 2084 (2008). 

  31. S. M. Hong and J. Economy, "Effect of annealing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biaxially oriented liquid crystalline copolyester films", Macromolecules, 28, 6481 (1995). 

  32. J. R. Lee, D. G. Lee, S. M. Hong, and H. J. Kang, "Enhancement of Physical Properties in Partially Crosslinked Waste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 (Korea), 31, 25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