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 어머니와 간호학 전공 대학원생의 영유아 건강증진행위 중요도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Infants and Toddlers according to Mothers of Children in this Age Group and Graduate Students in Nursing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18 no.2, 2012년, pp.60 - 67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권미경 (관동대학교 간호학과) ,  최미영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  허보윤 (존스홉킨스대학) ,  정소피아지혜 (아이오와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infants and toddlers as perceived by mother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graduate students in nursing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health promotion in early childhood.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어머니와 간호학 전공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영유아 건강증진행위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영유아 어머니의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도록 돕는 효과적인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영유아 어머니와 간호학 전공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영유아 건강증진행위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영유아 어머니의 건강증진행위 실천 중재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영유아 어머니와 간호학 전공 대학원생의 영유아 건강증진행위 중요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조사연구이다.
  • 또한 건강관리자인 간호학 전공 대학원생의 영유아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인식은 부모의 영유아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인식과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지만 간호학 전공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학 전공 대학원생과 영유아 어머니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영유아 건강증진행위를 비교해봄으로써 효율적인 영유아 건강증진행위 수행을 위한 방안 모색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에게 있어 간호사의 건강증진에 대한 인식은 어떤 요인이 될 수 있는가? 건강관리자로서 간호사의 건강증진에 대한 인식은 영유아를 위한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볼 수 있으며, 부모의 영유아 건강증진행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중재요인이 될수 있다(Paik & Kim, 2000). 이러한 측면에서 간호사이면서 간호 전문영역에서의 지식과 기술을 연마하여 이를 실무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간호학 전공 대학원생들은 영유아 어머니의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도록 돕기 위한 최적의 위치에 있다.
영유아 어머니의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도록 돕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이 필요한 이유는? 특히 생애초기인 영유아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도록 돕는 전략은 부적절한 건강습관으로 인해 건강에 문제가 발생한 후 중재하는 것보다 훨씬 더 효율적이고 비용효과적인 접근방법이다. 주된 양육자인 어머니의 건강행위는 영아의 건강생활습관형성 모델이 되며 건강수준 향상에 결정적 역할을 하게 되며(Shin, 2010), 사전에 건강교육을 받은 어머니와 건강교육을 받지 않은 어머니의 영아 사망률을 비교한 결과 사전에 교육을 받은 어머니일수록 영아사망률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araçam, 2006). 이러한 이유로 영유아 어머니의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도록 돕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건강증진행위란? 건강증진행위란 안녕을 증진시키고 인간의 건강 잠재력을 실현하고자 하는 동기화된 행동으로, 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잠재력을 확대하려는 노력으로 정의된다(Pender, Murdaugh, & Parsons, 2001). 특히 생애초기인 영유아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도록 돕는 전략은 부적절한 건강습관으로 인해 건강에 문제가 발생한 후 중재하는 것보다 훨씬 더 효율적이고 비용효과적인 접근방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hn, H. J., & Song, S. M. (2007). The difference in university students' beliefs of appropriate education and child rearing attitudes before and after pre-parents education clas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6, 1119-1130. 

  2. Berger, E. H. (1995). Parents as partners in education: Families and school working together. NJ: A simmion & Schuster company. Prentice-Hall Inc. 

  3.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4. Han, K. J., Kwon, M. K., Bang, K. S., & Kim, J. S. (2001).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parent role education program I - Focusing on the six-months result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7, 96-107. 

  5. Hwang, N. M. (2008). Future directions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policy for healthy start in life. Health-welfare Policy Forum, 141, 5-19. 

  6. Jeon, M. S., & Kim, H. O. (2010). A predictive mod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obese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264-276. 

  7. Jeong, N. O. (2009). Influence of parents' parenting 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early childhoo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 236-244. 

  8. Karacam, Z. (2006). Factors affecting exclusive breastfeeding of healthy babies aged zero to four months: A community-based study of Turkish wome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 341-349. 

  9. Kim, S. J., Kang, K. A., Yun, J., & Kwon, O. J. (2007). Development of tool to measure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infants and toddl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 21-32. 

  10. Kwon, M. K., Bang, K. S., Kim, N. S., & Ahn, H. Y. (2006).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parental role by mothers with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2, 170-179. 

  11. Lee, B. L. (2003).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e-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undergraduate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3, 133-152. 

  12. Mattheus, D. J. (2010). Vulnerability related to oral health in early childhood: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 2116-2125. 

  1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Planned Population Federation of Korea. (2010). State of world population. Seoul: Author. 

  14.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0). 2008 National physical examination wtatistical year book. Seoul: Author. 

  15. National Police Agency. (n. d). Kids love, from child safety equipment. Retrieved December 6, 2011, from http://www.police.go.kr/announce/newspdsView.do?idx87458 

  16. Paik, Y. C., & Kim, I. S. (2000). A study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2, 477-489. 

  17. Pender, N. J., Murdaugh, C. L., & Parson, M. A. (2001).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18. Peterson-Sweeney, K., & Stevens, J. (2010). Optimizing the health of infants and children: Their oral health count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5, 244-249. 

  19. Shin, S. S. (2010). The influence and characteristics of a mother's multicultural family and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towards the promotion of children's health issue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0, 175-1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