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와 전업모의 건강증진행위 비교
Comparative Stud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5 no.4, 2014년, pp.282 - 290  

백희정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ealth promoting behavior between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an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mothers'health promoting behavior.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conveniently sampled 403 w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와 전업모의 건강증진 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와 전업모의 건강증진 행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지역사회 모성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모자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영유아의 건강관리뿐 아니라 산전과 산후, 모성의 건강증진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와 전업모의 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여 모성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와 전업모의 건강증진행위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지역사회 모성건강증진사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는 취업모나 전업모에 관계없이 건강증진행위 중 신체활동과 스트레스관리를 잘 못하고 있고, 전업모는 취업모에 비해 신체활동뿐 아니라 영적성장이나 대인관계 측면의 건강증진행위도 잘 못 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로, 어떤 가능성이 높아지는가? 최근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의 변화는 출산과 양육의 사회적 책임 강화에 대한 인식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정부의 저출산 대응 정책들은 임신과 출산에 관련된 다양한 지원정책으로 확대되고 있다. 한편 여성의 사회참여의 확대와 그에 따른 결혼 연령의 지연은 저출산의 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고 산모의 고령화는 저체중 출생아와 선천성 이상아 등 임신, 출산과 관련된 장애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저출산과 관련된 대다수의 정책들은 보육비와 유아교육비 지원, 보육시설의 확충, 육아휴직제도 등 자녀의 양육과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며, 임산부 ․ 영유아 영양플러스사업 이외에 모성의 건강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정책은 미흡하다[1].
해외 결혼이민여성의 건강증진행위 점수와 비교한 결과는?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조사된 연구가 없어 직접 적인 비교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나, 본 연구대상자와 유사한 연령을 대상으로 한 결혼이민여성의 건강증진행위 점수와 비교하면 본 연구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점수가 다소 높았다[18]. 국외 자료와 비교하면, 영유아 자녀를 둔 타이완 한족 여성이나 원주민 여성보다 낮았고[23], 유사한 연령대의 유아기 자녀를 둔 캐나다 어머니보다 낮았다[21]. 뿐만 아니라 여성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해 다양한 연령대에서 수행한 연구결과와 비교해 볼 때, 평균 연령이 20대인 미혼 임부[11]나 중년여성[14,15], 독거노인[16]보다 본 연구결과가 낮았다. 따라서 본 연구대상자인 영유아 자녀를 돌보는 취업모와 전업모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정도는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영유아의 건강은 무엇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나? 영유아의 건강은 다음 세대 국가 경쟁력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중요하게 다루어 져야 하는데, 영유아의 건강관리를 주로 담당하는 자는 어머니이므로 영유아의 건강은 어머니에게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머니는 자녀 및 다른 가족의 일생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생적보건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운동, 영양습관 등 생활방식 결정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ee SY, Im JY. Improving the population quality in low fertility and aging Korea: Policy challenges for birth outcomes for women of advanced maternal age [Interne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cited 2014 March 8]. Available from: http://img.kisti.re.kr/originalView/originalView.jsp 

  2. Jeon BJ. Low fertility era and maternal health promotion.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6):162-173. http://dx.doi.org/10.5392/JKCA.2014.14.06.162 

  3. Ahn MO. Life-cycle specific comprehensive women's health and maternal child healt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4;18(1):1-12. 

  4. Yang EH, Choi HS.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arenting self-efficacy of preschooler mothers.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 2011;16(6):211-230. 

  5. Kim MS, Min SI. Mediation effect of mother's lifestyle habit between mother's stress and young children's lifestyle habit. Korea Journal of Child and Education. 2012;72:263-279. 

  6. Joo AR.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dual earner coupl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2):221-229. http://dx.doi.org/10.5807/kjohn.2011.20.2.221 

  7. Kim EK, Park YS. Health promotion,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enital neoplasms.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0;13(2):114-122. 

  8. Son SM. Parenting Stress and related factors of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ith infants. Korea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2;19(1):331-357. 

  9. Song YJ, Lee MR, Chun HU. Parenting stress changes in both of continuous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after the birth of their first child: A focus on the effects of the values, knowledge and expectations about their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14;35(5):15-35. http://dx.doi.org/10.5723/KJCS.2014.35.5.15 

  10.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87;36(2):76-81. 

  11. Chung KA.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erception, prenatal care behavior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unmarried pregnan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6;12(2);115-123. 

  12. Jo L.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postpartum women [master's thesis].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998. 59 p. 

  13. Kim H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occupational stress,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office-working mother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1. 66 p. 

  14. Lee YM, Kim GM, Jung YH. Factors affecting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10):570-582. http://dx.doi.org/10.5392/JKCA.2014.14.10.570 

  15. Park BY.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middle-aged women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en's University; 2008. 76 p. 

  16. Lee JH.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self-esteem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the elderly women who live alon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5;14(2):109-118. 

  17. Shin KR, Kim JS, Kim JY. A comparison on self-rated health,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between low income and non-low income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5;17(5):732-742. 

  18. Seo IJ, Park JS. Health promoting behaviors, health problems and self-rated health status in female marriage immigrant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3;11(4):369-382. 

  19. Choi JY. The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the related factors among Japanese marriage-migrant women [master's thesis]. [Daegue]: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2011. 75 p. 

  20. Black C, Ford-Gilboe M. Adolescent mothers: Resilience, family health work and health-promoting practices (Issues and Innovations in Nursing Practi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4;48(4):351-360. 

  21. Monteith B.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resilience, family health work, and mother's health-promoting lifestyle practices in family with pre-school children [master's thesis]. [Ontario]: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1997. 105 p. 

  22. Chen CM, Kuo SF, Chou YH, Chen HC. Postpartum Taiwanese women: Their postpartum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7;16(8):1550-1560. 

  23. Ko SH, Chen CH. Comparison of health-promoting lifestyles between postnatal Han Taiwanese and Indigenous wome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0;18(3):191-198. http://dx.doi.org/10.1097/JNR.0b013e3181edef18 

  24.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191. 

  25. Baek HC, Lee SJ, Go YA, Yang SH.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1;25(1):73-83. 

  26. Kim MS, Min SI. Mediation effect of mother's lifestyle habit between mother's stress and young children's lifestyle habit. Korea Journal of Child and Education. 2012;72:263-279. 

  27. Paluska SA, Schwenk TL. Physical activity and mental health: Current concepts. Sports Medicine. 2000;29(3):167-180. 

  28. Park JS, Lee HR. A comparative study on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between high and low income elderly. Journal of Korean Community Health Nursing. 2003;14(1):157-166. 

  29. Ohum MS, Chun DI. A study on caregiving burdens and social support about the low-income families of single parents. Social Welfare Review. 2006;11:75-1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