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홀터 심전계를 위한 심방세동 신호 추출 알고리즘
Atrial Fibrillation Waveform Extraction Algorithm for Holter Systems 원문보기

電子工學會論文誌.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시스템 및 제어, v.49 no.3 = no.345, 2012년, pp.38 - 46  

이전 (연세대학교 의공학부) ,  송미혜 (연세대학교 의공학부) ,  이경중 (연세대학교 의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심방세동발작성 심방세동 단계에서부터 검출 및 분석하여 적절한 치료를 실시하여야 하며, 홀터 심전계를 통해서만 측정할 수 있다. 현재 12채널 심전계를 통해서는 심방세동 신호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들이 개발되어 있으나, 홀터 심전계를 위한 방법으로는 심실활동 템플릿을 단순 제거하는 ABS(averaged beat subtraction)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단일 채널 심전도로부터 심방세동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또는 SVD(singular value decomposition) 기반의 알고리즘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구현이 복잡하고 전문가의 개입이 필요한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 입력인 심방세동 심전도에서 심실활동을 이벤트로서 검출한 뒤 이를 기준 입력으로 하는 이벤트 동기 적응필터(ESAF, event-synchronous adaptive filter)를 제안하고, 심방세동 신호 추출 성능을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 기존 ABS 방법에 비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개입 없이도 PCA 또는 SVD 기반의 알고리즘과도 대등한 성능을 보였다. 나아가 이형성 심실활동이 있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확장 ESAF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단형성 심실활동이 있는 경우와 유사한 수준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홀터 심전계에 적용하면 발작성 심방세동 심전도의 분석뿐만 아니라 항부정맥 약물의 치료효과를 실시간으로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trial fibrillation is needed to be detected at paroxysmal stage and to be treated. But,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ECG is hardly obtained with 12-lead electrocardiographs but Holter systems. Presently, the averaged beat subtraction(ABS) method is solely used to estimate atrial fibrillatory wa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제안된 ESAF 기반의 심방세동 신호 추출 알고리즘의 성능을 시간 도메인 파라미터(ρ, NMSE, S, VR)와 주파수 도메인 파라미터(AF frequency)를 통해 평가해 보았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이형성 심실활동의 경우를 대비해 제안한 확장 ESAF 기반 심방세동 신호 추출 방법의 성능도 평가해 보았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단일 채널 심전도로부터 전문가의 개입 없이 심방세동 신호를 추출할 수 있는 새로운 이벤트 동기 적응필터(ESAF, event-synchronous adaptive filter)[16] 기반의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더불어 심실수축 파형이 이형성을 가지는 경우를 대비한 확장 ESAF도 제안하고 그 성능을 평가해 보았다.
  • 본 절에서는 심방세동 신호 추출에 ESAF를 적용하기 위해 심방세동 심전도를 어떻게 모델링하였는지와 이러한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ESAF 설계 및 적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 그러나 이들 방법은 ABS에 비해 매우 복잡한 신호처리 과정을 거쳐야 할 뿐만 아니라, 그 결과 나온 n개의 요소(component) 중심방활동 신호에 해당하는 요소들을 찾아내거나 이들 요소를 이어 붙여 심방활동 추정 신호를 복원해 낼 때 발생하는 신호 불연속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문가 개입의 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단일 채널 심전도로부터 전문가의 개입 없이 심방세동 신호를 추출할 수 있는 새로운 이벤트 동기 적응필터(ESAF, event-synchronous adaptive filter)[16] 기반의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더불어 심실수축 파형이 이형성을 가지는 경우를 대비한 확장 ESAF도 제안하고 그 성능을 평가해 보았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단일채널 심전도로부터 심방세동 신호를 추출할 수 있는 ESAF 기반의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 일반 적응 필터보다도 적은 연산량에도 불구하고 심방세동 신호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평균 비트 제거법의 한계는 무엇인가? 때문에 현재는 여러 비트의 심실활동(VA, ventricular activity) 신호 즉, QRST 세그먼트 신호의 앙상블 평균을 심전도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심방활동 신호를 추정하는 평균 비트 제거법(ABS, averaged beat subtraction)이 분석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13]. 하지만, 이 ABS 방법은 고정된 QRST 템플릿을 각 심전도 비트로부터 뺌으로써 심방활동 신호를 추정하기 때문에 가변하는 QRS 콤플렉스 크기 및 모양에 대해 큰 잔차 오차(residual error)를 유발하는 한계를 안고 있다.
심방세동이란 무엇인가?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은 임상에서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 부정맥으로서, 우리나라의 유병률은 65세 이상에서 약 2.1%로 보고되어 있으며[1], 미국의 경우 60세 이상 노인의 8-9%, 85세 이상 노인의 17.
심방세동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때문에 적절한 시점에 치료를 시행하지 못하여 뇌졸중, 심근 장애, 출혈, 억제 불가능한 부정맥과 같은 치명적 합병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심방세동은 그 지속시간과 정도에 따라 크게 발작성(paroxysmal), 지속성(persistent), 영구성(permanent) 심방세동으로 구분된다. 발작성 심방세동의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정상리듬으로 회복되나 발작성 심방세동 환자의 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J. H. Jeong,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atrial fibrillation in Korean adults older than 40 years", J. Korean Med. Sci., Vol. 20, no. 1, pp. 26-30, 2005. 

  2. P. Dorian, W. Jung, D. Newman, M. Paquette, K. Wood, G. M. Ayers, et al., "The impair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intermittent atrial fibrillation: Implications for the assessment of investigational therapy", J. Am. Coll. Cardiol., Vol. 36, no. 4, pp. 1303-1309, 2000. 

  3. F. Hegbom, K. Stavem, S. Sire, M. Heldal, O. M. Orning, K. Gjesdal, "Effects of short-term exercise training on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atrial fibrillation", Int. J. Cardiol., Vol. 116, no. 1, pp. 86-92, 2007. 

  4. N. Takahashi, A. Seki, K. Imatak, J. Fujii, "Clinical features of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An observation of 94 patients", Japanese Heart Journal, Vol. 22, no. 2, pp. 143-149, 1981. 

  5. B. F. Kannel, P. A. Wolf, E. J. Benjamin, D. Levy, "Prevalence, incidence, prognosis, and predisposing conditions for atrial fibrillation: population based estimates", Am. J. Cardiol., Vol. 82, pp. 2N-9N, 1998. 

  6. M. M. Gallagher, J. Camm, "Classification of atrial fibrillation", Am. J. Cardiol., Vol. 82, pp. 18N-28N, 1998. 

  7. A. Capucci, M. Biffi, G. Boriani, F. Ravelli, G. Nollo, P. Sabbatani, C. Orsi, B. Magnani, "Dynamic electrophysiological behavior of human atria during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 Circulation, Vol. 92, pp. 1193-1202, 1995. 

  8. V. Fuster, L. E. Ryden, D. S. Cannom, et al., "ACC/AHA/ESC 2006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and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Committee for Practice Guidelines", J. Am. Coll. Cardiol., Vol. 48, pp. 854-906, 2006. 

  9. K. T. Koning, C. J. Kirchhof, J. R. Smeets, H. J. Wellens, O. C. Penn, M. A. Allessie, "High-density mapping of electrically induced atrial fibrillation in humans", Circulation, Vol. 98, pp. 1665-1680, 1994. 

  10. J. J. Rieta, F. Castells, C. Sanchez, V. Zarzoso, J. Millet, "Atrial activity extraction for atrial fibrillation analysis using blind source separation", IEEE Trans. Biomed. Eng., Vol. 51, pp. 1176-1186, 2004. 

  11. M. Stridh, L. Sornmo, "Spatiotemporal QRST cancellation techniques for analysis of atrial fibrillation", IEEE Trans. Biomed. Eng., Vol. 48, pp. 105-111, 2001. 

  12. A. Bollmann, K. Sonne, H. Esperer, I. Toepffer, J. Langberg, H. Klein, "Non-invasive assessment of fibrillatory activity in patients with paroxysmal and persistent atrial fibrillation using the Holter ECG", Cardiovasc. Res., Vol. 44, pp. 60-66, 1999. 

  13. J. Slocum, A. Sahakian, S. Swiryn, "Diagnosis of atrial fibrillation from surface electrocardiograms based on computer-detected atrial activity", J. Electrocardiol., Vol. 25, pp. 1-8, 1992. 

  14. F. Castells, C. Mora, J. J. Rieta, D. Moratal-Perez, J. Millet, "Estimation of atrial fibrillatory wave from single-lead atrial fibrillation electrocardiograms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oncepts", Med. Biol. Eng. Comput., Vol. 43, pp. 557-560, 2005. 

  15. R. Alcarza, J. J. Rieta, "Adaptive singular value cancelation of ventricular activity in single-lead atrial fibrillation electrocardiograms", Physiol. Meas., Vol. 29, pp. 1351-1369, 2008. 

  16. H. D. Park, Y. C. Park, S. P. Cho, B. R. Jang, K. J. Lee, "New Cardiac MRI Gating Method Using Event-Synchronous Adaptive Digital Filter", Annals of Biomedical Engineering, Vol. 37, no. 11. pp. 2170-2187, 2009. 

  17. J. Pan, W. J. Tompkins, "A real-time QRS detection algorithm", IEEE Trans. Biomed. Eng., Vol. 32, pp. 230-236, 1985. 

  18. F. Castells, J. J. Rieta, J. Millet, V. Zarzoso, "Spatiotemporal blind source separation approach to atrial activity estimation in atrial tachyarrhythmias", IEEE Trans. Biomed. Eng., Vol. 52, pp. 258-267, 2005. 

  19. M. Stridh, A. Bollmann, S. B. Olsson, L. Sornmo, "Detection and feature extraction of atrial tachyarrhythmias", IEEE Eng. Med. Biol. Mag., Vol. 25, no. 6, pp. 31-39, 2006. 

  20. 송미혜, 이전, 조성필, 이경중, "SVM 분류기를 통한 심실세동 검출", 전자공학회논문지, 제42권 SC편, 제 5호, 27-34쪽, 2005년 9월 

  21. 박진오, 전문구, "심박동 시간간격을 사용한 심방세 동 판별", 2009 한국정보기술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251-256쪽, 목표해양대학교, 2009년 6월. 

  22. A. Bollmann, D. Husser, L. Mainardi, F. Lombardi, P. Langley, A. Murray, J. J. Rieta, J. Millet, S. B. Olsson, M. Stridh, L. Sornmo, "Analysis of surface electrocardiograms in atrial fibrillation: techniques,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Europace, Vol. 8, no. 11, pp. 911-926, 2006. 

  23. J. Fraden, M. R. Neuman, "QRS wave detection", Med. Biol. Eng. Comput., Vol. 18, pp. 125-132, 19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