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 누룩으로부터 호산성 Urease 생산 효모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idophilic Yeasts Producing Urease from Korean Traditional $Nuruk$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2, 2012년, pp.308 - 314  

이민나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박희동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암성 ethyl carbamate의 전구물질인 요소의 분해를 촉매하는 urease 생산 효모를 분리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전통 누룩으로부터 약 223주의 효모를 분리하고 이들 중 urease 활성이 있는 6 균주를 선별하였다. 분리된 6 균주는 ITS I-5.8S-ITS II 영역의 PCR-RFLP 분석 및 계통분석을 통하여 이 균주 모두가 $I.$ $orientalis$ ATCC 24210과 99.8% 이상의 염기서열 상동성을 나타내어 유전적으로 매우 가까운 근연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분리 효모 중 uresae 활성이 가장 강한 2 균주 JJ22와 SH10을 선정하여 형태학적, 생리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I.$ $orientalis$와 특성이 거의 유사하여 $I.$ $orientalis$로 동정하였다. 이 균주들은 온도 $20-40^{\circ}C$의 넓은 범위에서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JJ22의 경우에는 $35^{\circ}C$, SH10의 경우에는 $30^{\circ}C$에서 urease 활성이 가장 높았다. pH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pH 2.0-6.0까지 넓은 범위의 산성 조건에서 생육이 매우 양호하여 호산성 효모로 생각된다. Urease 효소의 활성은 PH 5.0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pH가 감소하거나 높아짐에 따라 활성이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hundred and twenty three yeast strains were randomly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nuruk$. Among them, six urease producing yeast strains (designated JJA, JJB, JJ22, SHA, SHC and SH10) were selected on the Christensen urea agar plates. They showed the same pattern in the PCR-RFL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미생물로 대표적인 것은 유산균과 효모를 들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적으로 유용한 urease를 생산하는 효모의 분리를 목적으로 우리나라 전통주 제조에 사용되는 전통누룩으로부터 다양한 효모를 분리하고 이들 중 urease 활성이 강한 효모를 선별하여 미생물학적 특성과 urease 생산능을 조사하였다.
  • 8S-ITS II 영역의 염기서열은 균주에 따라 차이가 심하여 분자생물학적 계통분석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25-28). 본 연구에서는 분리 균주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PCR-RFLP 분석 및 이 영역의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한 계통분석을 행하였다. 분리 효모 6 균주의 DNA를 주형으로 하여 ITS I-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Urease (EC 3.5.1.5)란 무엇인가? 1.5)는 요소를 가수분해하여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의 생성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서 세균, 효모,곰팡이 등의 미생물과 동물 그리고 고등식물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1-3). 1926년 처음으로 이 효소가 발견된 이후 다양한 생물체에서의 존재가 밝혀지고 있다.
Urease가 처음 발견된 시기는 언제인가? 5)는 요소를 가수분해하여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의 생성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서 세균, 효모,곰팡이 등의 미생물과 동물 그리고 고등식물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1-3). 1926년 처음으로 이 효소가 발견된 이후 다양한 생물체에서의 존재가 밝혀지고 있다. Urease를 생산하는 미생물로는 Proteus, Klebsiella, Morganella, Providencia spp.
Urease를 생산하는 미생물은 무엇이 있는가? 1926년 처음으로 이 효소가 발견된 이후 다양한 생물체에서의 존재가 밝혀지고 있다. Urease를 생산하는 미생물로는 Proteus, Klebsiella, Morganella, Providencia spp.를 포함하는 장내세균 일부와 Helicobacter pylori,Proteus vulgaris, Ureaplasma urealyticum, Lactobacillusfermentum, Arthrobacter mobilis, Pseudomonas aeruginosa,Canavalia ensiformis, Rhizobium meliloti 등의 세균 및 Cryptococcus spp. 등의 효모가 알려져 있다(1,2,4-7).Helicobacter pylori의 urease를 이용하여 암모니아를 생산함으로써 위산을 중화하여 성장에 필요한 환경을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 병원균의 진단을 위하여 urease의 존재 유무를 조사하기도 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rajewska B (2009) Ureases I. Functional, catalytic and kinetic properties: A review. J Mol Cat B: Enzymatic, 59, 9-21 

  2. Krajewska B (2009) Ureases. II. Properties and their customizing by enzyme immobilizations: A review. J Mol Cat B: Enzymatic, 59, 22-40 

  3. Balasubramanian A, Ponnuraj K (2010) Crystal structure of the first plant urease from Jack bean: 83 years of journey from its first crystal to molecular structure. J Mol Biol, 400, 274-283 

  4. Miyagawa K, Sumida M, Nakao M, Harada M, Yamamoto H, Kusumi T, Yoshizawa K, Amachi T, Nakayama T (1999) Pur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of an acid urease from Arthrobacter mobilis. J Biotechnol, 68, 227-236 

  5. Karmali K, Karmali A, Teixeira A, Curto MJM (2004) The use of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to assay for urease from Pseudomonas aeruginosa and Canavalia ensiformis. Anal Biochem, 331, 115-121 

  6. Blanchard A, Barile MF (1989) Cloning of Ureaplasma urealyticum DNA sequences showing genetic homology with urease genes from gram-negative bacteria. Res Microbiol, 140, 281-290 

  7. Miksch G (1994) The urease structural gene ureA in Rhizobium meliloti is preceded by an open reading frame necessary for urease activity. FEMS Microbiol Lett, 124, 185-190 

  8. Fakhrjou A, Somi MH, Fattahi E, Koohbanani SS, Shadravan S. (2011) Rapid urease test, touch cytology and histopathologic assessment in determining infection by Helicobacter pylori in outpatient setting. Pak J Biol Sci, 14, 698-702 

  9. Stocks-Fischer S, Galinat JK, Bang SS (1999) Microbiological precipitation of $CaCO_{3}$ . Soil Biolo Biochem, 31, 1563-1571 

  10. Ramachandran SK, Ramakrishnan V, Bang SS (2001) Remediation of concrete using microorganisms. ACI Mater J, 98, 3-9 

  11. De Muynck W, De Belie N, Verstraete W (2010) Microbial carbonate precipitation in construction material: A review. Ecol Eng, 36, 118-136 

  12. Park SJ, Lee NY, Kim WJ, Ghim SY (2010) Application of bacteria isolated from Dok-do for improving compressive strength and crack remediation of cement-sand mortar.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8, 216-221 

  13. Uthurry CA, Suarez Lepe JA, Lombardero J, Garcia Del Hierro JR (2006) Ethyl carbamate production by selected yeasts and lactic acid bacteria in red wine. Food Chem, 94, 262-270 

  14. Ha MS, Kwon KS, Kim MH, Park HR, Hu SJ, Lee HM, Kim KM, Ko EJ, Ha SD, Bae DH (2006) Exposure assessment of ethyl carbamate in alcoholic beverages. J Microbiol Biotechnol, 16, 480-483 

  15. Kim EJ, Kim DK, Lee DS (1995) Application of acid urease to prevent ethyl carbamate formation in Takjuprocessing. Food Technol Biotechnol, 4, 34-38 

  16. Chung HJ, Kwon HJ (1997) Dependence of ethyl carbamate formation on the fermentation variables in Korean traditional soysauce. Korean J Soc Food Sci, 13, 92-98 

  17. Hong KP, Roh IW, Kang YS, Jung DC, Park SR, Yoon JH, Bae DH (2007)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ethyl carbamate in Korean major food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29-35 

  18. Andrich L, Esti M, Moresi M (2010) Urea degradation kinetics in model wine solutions by acid urease immobilised onto chitosan-derivative beads of different sizes. Enz Microb Technol, 46, 397-405 

  19. Weatherburn MW (1967) Phenol-hypochlorite reaction for determination of ammonia. Laboratory of hygiene, National Health and Welfare, Ottawa, Canada, p 971-972 

  20. Kaiser C, Michaelis S, Mitchell A (1994) Methods in yeast genetics: A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course manual. Cold Spring Havor Laboratory Press, New york, NY, p 137-147 

  21. Philippsen P, Stotz A, Scherf C (1991) DNA of Saccharomyces cerevisiae. Method Enzymol, 194, 169-182 

  22. Kurtzman CP, Fell JW (1998) The yeasts: A taxonomic study. 4th Elsevier, New York, NY, USA 

  23. Hall TA (1999) BioEdit: a user-friendly biological sequence alignment editor and analysis program for Windows 95/98/NT. Nuclic Acid Symp Ser, 41, 95-98 

  24. Tamura K, Dudley J, Nei M, Kumar S (2007) MEGA4: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MEGA) software version 4.0. Mol Biol Evol, 24, 1596-1599 

  25. Choi SH, Hong YA, Choi YJ, Park HD (2011)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ild yeasts isolated from Korean domestic grape varieties. Korean J Food Preserv, 18, 604-611 

  26. Torija MJ, Rozes N, Poblet M, Guillamon JM, Mas A (2001) Yeast population dynamics in spontaneous fermentations: comparison between two different wine-producing areas over a period of three years. Antonie Van Leeuwenhoek, 79, 345-352 

  27. Nisiotou AA, Spiropoulos AE, Nychas GJE (2007) Yeast community structures and dynamics in healthy and Botrytis-affected grape must fermentations. Appl Environ Microbiol, 73, 6705-6713 

  28. Zott K, Miot-Sertier C, Claisse O, Lonvaud-Funel A, Masneuf-Pomarede I (2008) Dynamics and diversity of non-Saccharomyces yeasts during the early stages in winemaking. Int J Food Microbiol, 125, 197-203 

  29. Okuma Y, Endo A, Iwasaki H, Ito Y, Goto S (1986) Isolation and properties of ethanol-using yeasts with acid and ethanol tolerance. J Ferment Technol, 64, 379-382 

  30. Clemente-Jimenez JM, Mingorance-Cazorla L, Martinez-Rodriguez S, Heras-Viazquez FJL, Rodriguez-Vico F (2004)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oenological properties of wine yeasts isolated during spontaneous fermentation of six varieties of grape must. Food Microbiol, 21, 149-155 

  31. Seo SH, Rhee CH, Park HD (2007) Degradation of malic acid by Issatchenkia orientalis KMBL 5774, an acidophilic yeast strain isolated from Korean grape wine pomace. J Microbiol, 45, 521-527 

  32. Kim DH, Hong YA, Park HD (2008) Co-fermentation of grape must by Issatchenkia oriental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reduces the malic acid content in wine. Biotechnol Lett, 30, 1633-1638 

  33. Hong SK, Lee HJ, Park HJ, Hong YA, Rhee IK, Lee WH, Choi SW, Lee OS, Park HD (2010) Degradation of malic acid in wine by immobilized Issatchenkia orientalis cells with oriental oak charcoal and alginate. Lett Appl Microbiol, 50, 522-529 

  34. Pretorius IS (2000) Tailoring wine yeast for the new millennium: novel approaches to the ancient art of winemaking. Yeast, 16, 675-729 

  35. Kitamoto K, Oda K, Gomi K, Takahashi K (1991) Genetic engineering of a sake yeast producing no urea by successive disruption of arginase gene. Appl Environ Microbiol 57:301-306. 

  36. Ough CS, Trioli G (1988) Urea removal from wine by an acid urease. Am J Enol Vitic 39: 303-3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