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발생한 청천난류 사례들에 대한 수치연구
A Numerical Study on Clear-Air Turbulence Events Occurred over South Korea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2 no.3, 2012년, pp.321 - 330  

민재식 ,  김정훈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전혜영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neration mechanisms of the three moderate-or-greater (MOG)-level clear-air turbulence (CAT) encounters over South Korea are investigated using th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model. The cases are selected among the MOG-level CAT events occurred in Korea during 2002-2008 that are categ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민재식 등 (2011)에서 유형화한 세 청천난류 발생메커니즘을 대표하는 사례를 각각 하나씩 선택하여 3차원 수치실험을 수행하고, 그 발생 메커니즘을 고해상도 모형에서 보다 정확하게 이해함으로써, 30 km 해상도의 재분석자료를 이용한 청천난류 유형화의 타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사용한 중규모 수치모델과 그 수치실험설계에 대해 설명하고, 3장에서는 수행한 3차원 수치실험에 대한 결과들을 설명하며, 요약 및 결론은 4장에 기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 제안된 3가지 청천 난류 발생 메커니즘의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각 메커니즘 별 사례를 하나씩 선정하여 WRF 모델을 이용한 3차원 고해상도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치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사례별 난류 발생 메커니즘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천난류란 무엇인가? 청천난류 (clear-air turbulence; CAT)는 대류운이 없는 자유 대기에서 작은 규모 (수십 m에서 수 km)의 수평 크기를 가지는 요란으로 정의되며, 이는 순항 중인 항공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어 항공기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 (Ellrod et al., 2003).
청천난류의 주요 발생 메커니즘은 어떻게 나뉘는가? 청천난류의 주요 발생 메커니즘은 (i) 제트 상부 및 하부의 상층 전선 지역에서의 시어불안정 (Dutton and Panofsky 1970; Ellrod and Knapp 1992), (ii) 강한 고기압성 흐름이 존재하는 지역에서의 관성불안정 (Kaplan et al., 2005; Knox et al., 2008), 그리고 (iii) 복잡한 산악지역에서 발생한 산악파 (Clark et al., 2000; Doyle et al., 2005)등으로 나눌 수 있다. 민재식 등 (2011)은 2002년 12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5년간 (2005년 자료는 결측으로 제외) 우리나라 상공 PIREP에 나타난 총 240개의 MOG 청천난류를 위의 세가지 난류발생 메커니즘 별로 유형화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물리과정 중, 상층경계조건은 중력파가 모델 상층경계에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엇을 수행하였는가? 본 연구에 사용한 물리과정 중, 미시구름물리 모수화는 WSM 6 (WRF Single Momentum 6-class) scheme (Hong and Lim, 2006), 행성경계층 모수화는 MellorYamada-Janjic scheme (Janjic, 2002), 적운 모수화는 Kain-Fritsch scheme (Kain 2004)을 사용하였다. 적운모수화는 D1과 D2에만 사용되었으며, 상층경계조건은 중력파가 모델 상층경계에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델 상단에서 5 km 아래로 Rayleigh damping을 이용한 스펀지 층을 설정하였고, 모든 실험에 대해 2-way nesting 방식을 택하였다. 모델 초기 입력자료는 NCEP/NCAR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National Centers for Atmospheric Research) GDAS (Global Data Assimilation System)에서 제공하는 6시간 간격의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정훈, 전혜영, 장욱, R. Sharman, 2009: 한국의 청천난류 예보 시스템에 대한 연구. Part II: Graphical Turbulence Guidance (GTG) 시스템. 대기, 19(3), 269-287. 

  2. 김정훈, 전혜영, 2011: 통합지역모델을 이용한 한국형 중상층 항공난류예측시스템 개발. 대기, 21(4), 497-506. 

  3. 민재식, 전혜영, 김정훈, 2011: 한국에서 발생한 청천난류 사례에서 나타나는 종관규모 대기상태에 대한 연구. 대기, 21(1), 69-83. 

  4. 장욱, 전혜영, 김정훈, 2009: 한국의 청천난류 예보 시스템에 대한 연구. Part I: 한국형 통합 난류 예측 알고리즘. 대기, 19(3), 255-268. 

  5. 전혜영, 정준희, 오재호, 김정우, 1996: 대기 대순환에 미치는 중력파 항력의 효과, 한국기상학회지, 32(4), 581-592. 

  6. Clark, T. L., W. D. Hall, R. M. Kerr, D. Middleton, L. Radke, F. M. Ralph, P. J. Nieman, and D. Levinson, 2000: Origins of aircraft-damaging clear-air turbulence during the 9 December 1992 Colorado downslope windstorm.: Numerical simulations and comparison with observations. J. Atmos. Sci., 57, 1105-1131. 

  7. Derber, J. C., D. F. Parrish, and S. J. Lord, 1991: The new global operational analysis system at the National Meteorological Center. Wea Forecasting, 6, 538-547. 

  8. Doyle, J. D., M. A. Shapiro, Q. Jiang, and D. L. Bartels, 2005: Large-amplitude mountain wave breaking over Greenland. J. Atmos. Sci., 62, 3106-3126. 

  9. Dutton, J., and H. A. Panofsky, 1970: Clear-air turbulence: A mystery may be unfolding. Science, 167, 937-944. 

  10. Ellrod, G. P., and D. L. Knapp, 1992: An objective clear-air turbulence forecasting technique: Verification and operational use. Wea. Forecasting, 7, 150-165. 

  11. Ellrod, G. P., P. F. Lester, and L. J. Ehernberger, 2003: Clear air turbulence. In Encyclopedia of Atmospheric Sciences, vol. 1, edited by J. R. Holton et al., Academic Press, 393-403. 

  12. Hong, S. Y., and J. O. Lim, 2006: The WRF single-moment 6-class microphysics scheme (WSM6). J. Korean Meteor. Soc., 42, 129-151. 

  13. Janjic, Z. I., 2002: Nonsingular implementation of the Mellor-Yamada level 2.5 scheme in the NCEP meso model. NCEP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 Office Note, No. 437, 61 pp. 

  14. Kain, J . S., 2004: The Kain-Fritsch convective parameterization: An update. J. Appl. Meteor., 43, 170-181. 

  15. Kaplan, M. L., A. W. Huffman, K. M. Lux, J. D. Cetola, J. J. Charney, A. J. Riordan, Y. L. Lin, and K. T. Waight III, 2005: Characterizing the severe turbulence environments associated with commercial aviation accidents. Part II: Hydrostatic mesoscale numerical simulations of supergradient wind flow and streamwise ageostrophic frontogenesis. Meteor. Atmos. Phys., 88, 129-153. 

  16. Kim, J.-H., and H.-Y. Chun, 2010: A numerical study of clear air turbulence (CAT) encounters over South Korea on 2 April 2007. J. Appl. Meteor. Climatol., 49, 2381-2403. 

  17. Kim, J.-H., and H.-Y. Chun, 2011: Statistics and possible sources of aviation turbulence over South Korea. J. Appl. Meteor. Climatol., 50, 311-324. 

  18. Kim, J.-H., and H.-Y. Chun, R. D. Sharman, and T. L. Keller, 2011: Evaluations of upper-level turbulence diagnostics performance using the Graphical Turbulence Guidance (GTG) and pilot reports (PIREPs) over East Asia. J. Appl. Meteor. Climatol., 50, 1936-1951. 

  19. Kim, J.-H., and H.-Y. Chun, 2012: A numerical simulation of convectively induced turbulence (CIT) above deep convection. J. Appl. Meteor. Climatol., 51, 1180-1200. 

  20. Kim, S.-Y., H.-Y. Chun, and D. L. Wu, 2009: A study on stratospheric gravity waves generated by Typhoon Ewiniar: Numerical simulations and satellite observations. J. Geophys. Res., 114, D22104, doi:10.1029/2009JD011971. 

  21. Knox, J. A., 1997: Possible mechanism of clear-air turbulence in strongly anticyclonic flow. Mon. Wea. Rev., 135, 3808-3824. 

  22. Knox, J. A., D. W. McCann, and P. D. Williams, 2008: Application of the Lighthill-Ford theory of spontaneous imbalance to clear-air turbulence forecasting. J. Atmos. Sci., 65, 3292- 3304. 

  23. Lane, T. P., J. D. Doyle, R. Plougonven, M. A. Shapiro, and R. D. Sharman, 2004: Observations and numerical simulations of inertia-gravity waves and shearing instabilities in the vicinity of a jet stream. J. Atmos. Sci., 61, 2692-2706. 

  24. Lane, T. P., J. D. Doyle, R. D. Sharman, M. A. Shapiro, and C. D. Watson, 2009: Statistics and dynamics of aircraft encounters of turbulence over Greenland. Mon. Wea. Rev., 137, 2687-2702. 

  25.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2009: U.S. Air Carrier Operations, Calendar 2005. Annual review of aircraft accident data. NTSB/ARC-09/01, Washington, D. C., 66 pp. 

  26. Skamarock, W. C., J. B. Klemp, J. Dudhia, D. O. Gill, D. M. Barker, M. G. Duda, X.-Y. Huang, W. Wang, and J. G. Powers, 2008: A description of the Advanced Research WRF version 3. NCAR Tech. Note NCAR/TN-4751STR, 88 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