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발생한 청천난류 사례에서 나타나는 종관규모 대기상태에 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f Synoptic Condition for Clear-Air Turbulence (CAT) Events Occurred over South Korea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1 no.1, 2011년, pp.69 - 83  

민재식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전혜영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김정훈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ynoptic condition of clear-air turbulence (CAT) events occurred over South Korea is investigated, using the 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RDAPS) data obtained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gency (KMA) and pilot reports (PIREPs) collected by Korea Aviation Meteorological A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03-2008년 5년 동안 한반도 상공에서 난류가 발생했을 때와 발생하지 않았을 때의 종관규모 대기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반도 상공에서 관측되는 청천난류의 주요 발생 메커니즘을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청천난류와 관련된 주요 난류진단지수들을 계산하여 메커니즘별 종관상태의 유형 분류를 실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궁극적으로 한국에서 발생하는 청천난류 예측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2003-2008년 5년 동안 한반도 상공에서 난류가 발생했을 때와 발생하지 않았을 때의 종관규모 대기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반도 상공에서 관측되는 청천난류의 주요 발생 메커니즘을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청천난류와 관련된 주요 난류진단지수들을 계산하여 메커니즘별 종관상태의 유형 분류를 실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누락이 많은 2005년을 제외한 2002년 12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5년간의 PIREP 을 이용하여 한국에서 발생한 청천난류 사례들을 MOG 와 NIL 사례로 분류하였고, 계절별, 고도별 (300-200 hPa)로 평균된 RDAPS 30 km 재분석장과 관측값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MOG 강도의 청천난류가 발생하였을 때 한반도 주변 종관규모 대기의 특징을 살펴보 았다. RDAPS 재분석장의 지오퍼텐셜고도, 기온, 바람을 이용하여 각 변수들의 MOG, NIL 사례에 대한 평균을 비교하였고, 그들의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 성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잠재와도의 단위 (potential vorticity unit, PVU; 1 PVU = 10-6m2 s-1K kg-1)가 2가 되는 고도를 대류권계면으로 정의하고, 대류권계면을 기준으로 ± 50 hPa 범위 내에서 25 hPa 간격의 총 5개의 고도에서 계산된 난류진단지수들이 최소한 한 고도 이상에서 그들이 제안한 임계값을 만족할 경우 난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가정하여, 그 난류발생 가능성에 대한 백분율을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천난류는 언제 처음 알려졌는가? , 2003). 이러한 현상은 1940년대에 처음 알려졌고 (Baughman, 1946), 1960년대가 되면서 항공기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미국 NTSB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의 2009년 보고서에서는 최근 10년간 발생한 모든 민간 항공기 사고에서 난류가 기상학적요인 중에서 가장 비중이 큰 발생 원인이었으며, 이로 인해 심각한 인명 피해를 유발시켰음을 지적하였다 (NTSB, 2009).
청천난류는 무엇인가? 청천난류 (CAT: Clear-Air Turbulence)는 구름이 없고 주변에 뇌우를 동반하지 않는 상층대기에서 수십 m에서 수 km의 수평 크기를 가지는 작은 규모의 대기 중 요란 운동으로, 항공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어 순항중인 항공기를 급격하게 요동시킬 수 있는 현상으로 정의된다 (Lester, 1994; Ellrod et al., 2003).
항공기 사고에서 기상학적 요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이러한 현상은 1940년대에 처음 알려졌고 (Baughman, 1946), 1960년대가 되면서 항공기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미국 NTSB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의 2009년 보고서에서는 최근 10년간 발생한 모든 민간 항공기 사고에서 난류가 기상학적요인 중에서 가장 비중이 큰 발생 원인이었으며, 이로 인해 심각한 인명 피해를 유발시켰음을 지적하였다 (NTSB, 2009). 또한 Sharm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김정훈, 전혜영, 장욱, R. Sharman, 2009: 한국의 청천난류 예보 시스템에 대한 연구. Part II: Graphical Turbulence Guidance (GTG) 시스템, 대기, 19(3), 269-287. 

  2. 장욱, 전혜영, 김정훈, 2009: 한국의 청천난류 예보 시스템에 대한 연구. Part I: 한국형 통합 난류 예측 알고리즘, 대기, 19(3), 255-268. 

  3. 전혜영, 정준희, 오재호, 김정우, 1996: 대기 대순환에 미치는 중력파 항력의 효과, 한국기상학회지, 32(4), 581-592. 

  4. Baughman, E. E., Jr., 1946: Turbulence with a stable lapse rate. Bull. Amer. Meteor. Soc., 27, 459-462. 

  5. Bluestein, H. B., 1993: Observations and Theory of Weather System. Vol. II. Synoptic-Dynamic Meteorology in midlatitudes, Oxford University Press, 594 pp. 

  6. Colson, D., 1963: Analysis of clear-air turbulence data for March 1962. Mon. Wea. Rev., 91, 73-82. 

  7. Colson, D., and H. A. Panofsky, 1965: An index of clear-air turbulence. Quart. J. Roy. Meteor. Soc. 91, 507-513. 

  8. Cornman, L. B., C. S. Morse, and G. Cunning, 1995: Realtime estimation of atmospheric turbulence severity from in-situ aircraft measurements. J. Aircraft, 32, 171-177. 

  9. Cornman, L. B., G. Meymaris, and M. Limber, 2004: An update on the FAA Aviation Weather Research Program's in situ turbulence measurement and reporting system. Preprints, 11th Conf. on Aviation, Range, and Aerospace Meteorology, Hyannis, MA, Amer. Meteor. Soc., CDROM, P4.3. 

  10. Doyle, J. D., and D. R. Durran, 2002: The dynamics of mountain wave-induced rotors. J. Atmos. Sci., 59, 186-201. 

  11. Doyle, J. D., M. A. Shapiro, Q. Jiang, and D. L. Bartels, 2005: Large-amplitude mountain wave breaking over Greenland. J. Atmos. Sci., 62, 3106-3126. 

  12. Dutton, J., and H. A. Panofsky, 1970: Clear-air turbulence: A mystery may be unfolding. Science, 167, 937-944. 

  13. Eliassen, A., and E. Palm, 1960: On the transfer of energy in stationary mountain waves. Geophys. Publ., Oslo, 22(3), 1-23. 

  14. Ellrod, G. P., and D. L. Knapp, 1992: An objective clear-air turbulence forecasting technique: Verification and operational use. Wea. Forecasting, 7, 150-165. 

  15. Ellrod, G. P., P. F. Lester, and L. J. Ehernberger, 2003: Clear air turbulence. In Encyclopedia of Atmospheric Sciences, vol. 1, edited by J. R. Holton et al., Academic Press, 393-403. 

  16. Frehich, R. and R. Sharman, 2004: Estimates of turbulence from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 output with applications to turbulence diagnosis and data assimilation. Mon. Wea. Rev., 132, 2308-2324. 

  17. Jaeger, E. B., and M. Sprenger, 2007: A northern hemispheric climatology of indices for clear air turbulence in the tropopause region derived from ERA40 reanalysis data. J. Geophys. Res, 112, D20106, doi:10.1029/ 2006JD008189. 

  18. Kaplan, M. L., J. J. Charney, K. T. Waight III, K. M. Lux, J. D. Cetola, A. W. Huffman, A. J. Riordan, S. D. Slusser, M. T. Kiefer, P. S. Suffern, and Y. L. Lin, 2006: Characterizing the severe turbulence environments associated with commercial aviation accidents. A realtime turbulence model (RTTM) designed for the operational prediction of hazardous aviation turbulence environments. Meteor. Atmos. Phys., 94, 235-270. 

  19. Kim, J. H., and H. Y. Chun, 2010: A Numerical study of clear-air turbulence (CAT) encounters over South Korea on 2 April 2007. J. Appl. Meteor. Climatol., 49, 2381-2403. 

  20. Kim, J. H., and H. Y. Chun, 2011: Statistics and possible sources of aviation turbulence over South Korea. J. Appl. Meteor. Climatol., 50, 311-324. 

  21. Knox, J. A., 1997: Possible mechanism of clear-air turbulence in strongly anticyclonic flow. Mon. Wea. Rev., 125, 1251-1259. 

  22. Lee, Y. G., B. C. Choi, R. Sharman, G. Wiener, and H. W. Lee, 2003: Determination of the primary diagnostics for the CAT (clear-air turbulence) forecast in Korea. J. Kor. Meteor. Soc., 39, 677-688. 

  23. Lester, P. F., 1994: Turbulence: A New Perspective for Pilots. Jeppesen Sanderson, 212 pp. 

  24. Marroquin, A., 1998: An advanced algorithm to diagnose atmospheric turbulence using numerical model output. Preprint, 16th Conf. on Weather Analysis and Forecasting, Phoenix, AZ, Amer. Meteor. Soc., 79-91. 

  25.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2009: U.S. Air Carrier Operations, Calendar Year 2005. Annual review of aircraft accident data. NTSB/ARC-09/01, Washington, D. C. 

  26. Petterssen, S., 1956: Weather Analysis and Forecasting. Vol. 1. McGraw-Hill, 428 pp. 

  27. Roach, W. T., 1970: On the influence of synoptic development on the production of high level turbulence. Quart. J. Roy. Meteor. Soc., 96, 413-429. 

  28. Sharman, R., C. Tebaldi, and B. Brown, 1999: An integrated approach to clear-air turbulence forecasting. Preprints, Eighth Conf. on Aviation, Range, and Aerospace Meteorology, Dallas, TX, Amer. Meteor. Soc., 68-71. 

  29. Sharman, R., C. Tebaldi, J. Wolff, and G. Wiener, 2002: Results from the NCAR Integrated Turbulence Forecasting Algorithm (ITFA) for predicting upper-level clear-air turbulence. Preprints, 10th Conf. on Aviation, Range, and Aerospace Meteorology, Portland, OR, Amer. Meteor. Soc., 351- 354. 

  30. Sharman, R., C. Tebaldi, G. Wiener, and J. Wolff, 2006: An integrated approach to mid- and upper-level turbulence forecasting. Wea. Forecasting, 21, 268-287. 

  31. Sparks, W. R., S. G. Cornford, and J. K. Gibson, 1977: Bumpiness in clear air and its relation to some synopticscale indices. Geophysical Memoirs 121, 53 pp. 

  32. Tung, K. K., and W. W. Orlando, 2003: The $k^{-3}$ and $k^{-5/3}$ energy spectrum of atmospheric turbulence: Quasigeostrophic two-level model simulation. J. Atmos. Sci., 60, 824-835. 

  33. Van Yuly, A. H., and J. A. Young, 1982: Numerical simulation of nonlinear jet streak adjustment. Mon. Wea. Rev., 110, 2038-20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