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동지역 대설 사례의 대기 하층 안정도 분석
An Analysis of Low-level Stability in the Heavy Snowfall Event Observed in the Yeongdong Region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2 no.2, 2012년, pp.209 - 219  

이진화 (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은승희 (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김병곤 (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한상옥 (국립기상연구소 재해기상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treme heavy snowfall episodes have been investigated in case of accumulated snowfall amount larger than 50 cm during the past ten yea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ssociation of low-level stability with heavy snowfall in the Yeongdong region. In general, the selected 4 events have similar synop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대기의 안정도의 중요성과 관련된 기존의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대설기간 중 하층 대기의 열역학적인 구조에 대한 관측적인 분석은 아직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동지역의 특정 대설 사례 일을 선정하여, 속초 고층기상관측자료와 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RDAPS) 자료 등을 활용하여 대설기간 및 전후의 하층 대기의 안정도 특징과 대설현상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에 다양한 기상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반도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있고 내륙으로 산악이 위치하고 있는데, 영동지역은 동쪽에는 동해, 서쪽에는 태백산맥이 위치한 복잡한 지형 때문에 다양한 기상현상이 나타나고 있고, 특히 겨울철에는 대설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선행 연구들 (홍성길, 1980; 전종갑 등, 1994; 정관영 등, 1999)에 의하면 영동지역 대설은 시베리아에서 연해주 방향으로 확장하는 시베리아 고기압과 남해안을 통과하는 저기압의 남북방향 배열로 인한 동풍유입이 대설유발의 중요한 필수 조건임을 지적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 대기의 열역학적인 안정도와 대설현상과의 연관성을 분석해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었는가? 2000년 이후부터 50 cm이상의 대설이 관측된 4가지 사례를 선택하여 속초의 고층기상자료와 RDAPS 자료를 이용하여 대기의 열역학적인 안정도와 대설현상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4가지 사례 모두 상대적으로 따뜻하고 습윤한 동해상에 시베리아 고기압이 확장하여 차고 건조한 공기가 남하하는 조건에서 이동성저기압이 우리나라 남해상을 통과하면서 동풍이 유발되는 유사한 종관적인 특징을 나타냈다. 속초와 동해안영역의 연직기상자료를 분석한 결과, 영동지역은 강설 전에 습윤 단열적으로 안정하던 대기가 강설기간동안 중립화되었지만, 동해상에서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해수면위로 차고 건조한 공기의 유입되면서 해수면으로부터 1~2 km이내까지 습윤단열적으로 불안정층 (상당온위의 연직감소)이 발달함을 알 수 있 었다. 한편, 해기차 (SST-T850 hPa)는 대설기간동안 대략 10oC 이상의 차이를 보였고, 대설기간 전부터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가 강설종료 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대설기간동안 해상 (2 m)과 850 hPa의 상당온위 차이는 대설기간동안 거의 양의 값을 나타내 대류불안정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도 측면에서 대설현상의 발생 원인에 대해 조사한 선행연구는 어떻게 요약할 수 있는가? 한편, 안정도 측면의 기존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따뜻한 해수면 위를 한랭건조한 공기의 남하로 인해 해수면온도 (Sea Surface Temperature; SST)와 850 hPa의 온도차가 증가하여 열과 수증기가 해수면으로부터 대기 중으로 공급되어 대설 현상이 발생한다고 요약할 수 있다 (박용대 등, 1979; Anderson and Nilson, 1990; 서은경과 전종갑, 1991; 이훈과 이태영, 1994; 전종갑 등, 1994; 최만규, 1994; 안중배와 조익현, 1998; 김지언 등, 2005). 특히 최만규 (1994)는 영동지역 대설이 해수면 온도가 높을 때 동해상에 상층 한기가 남하하여 대기 불안정을 증가시켰다고 설명하였으며, 안중배와 조익현 (1998)은 UCD/LINL(University of California at Davis/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의 MAS (Mesoscale Atmosphere Simulation) 모형을 사용하여 SST의 변화에 따른 영동지역의 강설량 변화분석을 통해 SST의 상승으로 인한 증발-응결-수렴-바람의 되먹임 과정으로 내륙의 강설이 증가하였음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김지언, 권태영, 이방용, 2005: 영동대설 사례와 관련된 동해상의 현열속과 잠열속 분포 특성, 한국해양연구원, 27(3), 237-250. 

  2. 박용대, 성학중, 박종탁, 1979: 영동고속도로 기상 특성, 국립기상연구소, MR-79-7, 79-88. 

  3. 박지훈, 김경익, 허복행, 2009: 영동과 영남 지역에서 발생한 두 대설의 발달 메커니즘 비교, 대기, 19(1), 9-36. 

  4. 서은경, 전종갑, 1991: 1990년 1월 29일-2월 1일 한반도에서 발생한 대설에 관한 연구, Asia-Pacific J. Atmos. Sci., 27(2), 165-179. 

  5. 안중배, 조익현, 1998: 한반도 주변 해수면 온도에 따른 중규모 대기 모델 반응, 한국기상학회지, 34(4), 643-651. 

  6. 이재규, 김유진, 2008: 북동 기류와 관련된 영동해안 지역의 대설 사례에 대한 WRF 수치모의 연구, 대기, 18(4), 339-354. 

  7. 이 훈, 이태영, 1994: 영동지역의 폭설 요인, 한국기상학회지, 30(2), 197-218. 

  8. 전종갑, 이동규, 이현아, 1994: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대설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0(1), 97-117. 

  9. 정관영, 정영선, 황병준, 1999: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한반도 강설 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35(3), 466-473. 

  10. 최광용, 김준수, 2010: 우리나라 대설 시 지상 종관 기후 패턴, 대한지리학회지, 45(3), 319-341. 

  11. 최만규, 1994: 동해상의 한기남하에 따른 영동지방의 대설, 강원지방기상청, 1-4. 

  12. 홍성길, 윤종남, 임신자, 서원효, 홍율기, 1980: 태백산맥의 폭우와 폭설, 국립기상연구소, MR-80-1, 45-47. 

  13. Anderson, T., and S. Nilson, 1990: Topographically induced convective snowbands over the Baltic Sea and their precipitation distribution, Bull. Am. Meteorol. Soc., 5, 299-312. 

  14. Kocin, P. J., and L. W. Uccellini, 1990: Snowstorms along northeastern coast of the United States; 1955 to 1985,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80pp. 

  15. Kraus, E. B., and J. A. Businger, 1994: Atmosphere-Ocean Interaction, Oxford Unv. Press, 362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