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어도 해양종합과학기지에서의 3차원 바람성분에 따른 에어로솔 수 농도 변동 특성
The Variation of Aerosol Number Concentrations in Relation with 3D Wind Components in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2 no.1, 2012년, pp.97 - 107  

박성화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공학연협동과정) ,  장상민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  이동인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  정운선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  정종훈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  정성아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  정창훈 (경인여자대학 보건의료관리과) ,  김경식 (부경대학교 물리학과) ,  김경익 (경북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variation of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at each different size with three-dimensional (3D) wind components in ocean area, aerosol particles and 3D wind components were measured in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which is located to 419 km southwest from Marado, the southernmost 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강수 전·후의 수 시간 동안 해상의 고정점에서의 3차원 바람성분과 에어로솔 수 농도 변동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이어도 해양 종합과학기지에서 종관기상상태와 라디오존데, 3차원 바람성분, 에어로솔 수 농도 관측을 실시하였으며, 강수 시스템의 이동에 따른 에어로솔의 변동과 수 농도 분포특성을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하계 동중국해역에서 발달하는 강수 시스템에 따라 변동하는 해양성 에어로솔 수 농도 분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0년 6월 25일부터 7월 8일 까지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에서 집중기상관측과 에어로솔 수 농도 관측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대기 중 에어로솔은 크기 범위가 매우 폭 넓어 수 농도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대수적 방법으로 입자의 크기 분포를 표현하게 된다. 이때 측정된 에어로솔은 동일한 광학적 성질을 가진 구형의 물질로 구성됨을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어 로솔이란 무엇인가? 대기 중에 자연 및 인위적으로 발생된 먼지나 여러 종류의 화학물질들로 구성된 작은 입자를 총칭하여 에어 로솔이라 한다 (Willeke and Baron, 1993). 에어로솔은 모래폭풍과 화산활동과 같은 자연적 과정이나 산업활동으로 인한 화석연료의 연소와 같은 인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생성원인이 다양하고 물리화학적 특성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시공간적으로도 매우 복잡한 특성을 보인다 (Carlson and Caverly, 1997; Duce et al.
에어로솔은 어떤 요인에 의해 발생하나요? 대기 중에 자연 및 인위적으로 발생된 먼지나 여러 종류의 화학물질들로 구성된 작은 입자를 총칭하여 에어 로솔이라 한다 (Willeke and Baron, 1993). 에어로솔은 모래폭풍과 화산활동과 같은 자연적 과정이나 산업활동으로 인한 화석연료의 연소와 같은 인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생성원인이 다양하고 물리화학적 특성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시공간적으로도 매우 복잡한 특성을 보인다 (Carlson and Caverly, 1997; Duce et al., 1980; Dutton et al.
에어로솔은 어떤 과정을 통해 지구 대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나요? , 1998). 또한 입자의 크기가 0.001~100 µm로 광범위하며, 기상학적으로 태양 에너지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직접 효과뿐 아니라 태양복사를 흡수 또는 산란시키고, 구름의 형성과정에서 응결핵으로 작용하는 등의 간접 효과를 통하여 지구 대기의 복사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Seinfeld and Pandis, 1998; 김지영과 최병철, 2002; IPCC, 1995). 대기 중 에어로솔의 크기 분포에 대한 정보는 에어로솔 복사 강제력을 산출하고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많은 보고가 있다 (Penn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강미영, 2003: 내륙지역 강설시 레이더 바람장을 이용한 에어러솔 농도 변동.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4. 

  2. 김종환, 염성수, 최경섭, 2005: 남해, 황해 상에서의 미세 에어러솔 크기별 수농도 분포 관측. 한국대기환경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5, 203-205. 

  3. 김지영, 최병철, 2002: 한반도에서 측정된 에어로솔의 크기 분포와 지역별 특성. 한국기상학회지, 38(2), 95-104. 

  4. 박성화, 이동인, 서길종, 유철환, 장민, 강미영, 장상민, 김동철, 최창섭, 이병걸, 2009: 이어도 해양종합과학기지에서의 에어로솔 수 농도 변동. 한국환경과학회지, 18(7), 721-733. 

  5. 이동인, 강미영, 서길종, 유철환, 박성화, 김부경, 박남식, 2008: 남서해안지역 강설시 바람장 변화에 따른 에어로솔 수 농도 변동. 한국환경과학회지, 17(6), 699-709. 

  6. Alpert, P., Y. J. Kaufman, Y. Shay-EI, D. Tanre, A. da Silva, S. Schubert, and Y. H. Joseph, 1998: Quantification of dust-forced heating of the lower troposphere. Nature, 395, 367-370. 

  7. Arao, K., and Y. Ishizaka, 1986: Volume and mass of yellow sand dust in the air over Japan as estimated from atmospheric turbidity. J. Meteor. Soc. Japan, 64, 79-94. 

  8. Carlson, T. N., and R. S. Caverly, 1997: Radiative characteristics of Saharan dust at solar wavelengths. J. Geophys. Res., 82, 3141-3152. 

  9. Duce, R. A., C. K. Unni, B. J. Ray, J. M. Prospero, and J. T. Merril, 1980: Long-range atmospheric transport of soil dust from Asia to the tropical North Pacific: Temporal variability. Science, 209, 1522-1524. 

  10. Dutton, E. G., P. Reddy, S. Ryan, and J. J. DeLuisi, 1994: Features and effect of aerosol optical depth observed at Mauna Loa, Hawaii: 1982-1992. J. Geophys., 99, D4, 8295-8306. 

  11. IPCC, Climate Change 1995: In the science of climate change. J. T. Houghton, L. G. Meira Filho, B. A. Callender, N. Harris, A. Kattenberg, S. K. Maskell, eds.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572. 

  12. Kikuchi, K., S. Matsuoka, H. Uyeda, O. Kikuchi, and D. I. Lee, 2003: Relationship between aerosol number concentrations and convergence fields in winter monsoon seasons. J. Geophys. Res., 108(D3), 4115. 

  13. Khemani, L. T., G. A. Momin, and M. S. Naik, 1987: Influence of atmospheric pollutants on cloud microphysics and rainfall. boundary-layer meteorology, 41, 367-380. 

  14. Lee, D. I., 1991: On the atmospheric aerosol particles in the relation to wind systems. J. Korean Meteor. Soc., 27, 333-352. 

  15. Neiman, P. J., and M. A. Shapiro, 1989: Retrieving horizontal temperature gradients and advection from single-station wind-profiler observations. Wea. Forecasting, 4, 222-233. 

  16. Nemesure, S., R. Wagener, and S. E. Schwartz, 1995: Direct shortwave forcing of climate by the anthropogenic sulfate aerosol: Sensitivity to particle size, composition, and relative humidity. J. Geophys. Res., 100, 26105-26116. 

  17. Ogren, J. A., 1995: A systematic approach to in situ observations of aerosol properties. In Charlson R. J. and Heintzenberg J. (eds.), Aerosol Forcing of Climate. Wiley, New York, 215-226. 

  18. Peng, L., H. Min, W. Zhijun, N. Yuwen, and Z. Tong, 2007: Marine aerosol size distributions in the springtime over China adjacent seas. Atmos. Environ., 41, 6784-6796. 

  19. Penner, J. E., R. J. Charlson, J. M. Hales, N. Laulainene, R. Leifer, T. Navakov, J. Ogren, L. F. Radke, S. E. Schwartz, and L. Travis, 1994: Quantifying and minimizing uncertainty of climate forcing by anthropogenic aerosols. Bull. Amer. Meteor. Soc., 75(3), 375-400. 

  20. Pruppacher, H. R., and J. D. Klett, 1978: Microphysics of clouds and precipitation. D. Reidel Publishing Company, 202-218. 

  21. Seinfeld, J. H., and S. N. Pandis, 1998: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from air pollution to climate change. John Wiley & Sons, Inc., 132. 

  22. Shimizu, S., H. Uyeda, T. Shinoda, K. Tsuboki, H. Yamada, and B. Geng,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 of humidity and types of rainfall on three rainbands near Shanghai during Meiyu period in 2001. The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soscale Convective Systems and Heavy Rainfall/Snowfall in Esast Asis, 13-18. 

  23. Smirnov, A., B. N. Holben, I. Slutsker, E. J. Welton, and P. Formenti, 1998: Optical properties of Saharan dust during ACE-2. J. Geophys. Res., 103(D21), 28079-28092. 

  24. Wark, K., and C. F. Warner, 1976: Air pollution: its origin control. Harper and Row Pub., New York, 153. 

  25. Willeke, K., and P. A. Baron, 1993: Aerosol measurement principle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Van Nostrand Reinhold, 8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