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WS 강우정보의 실시간 유량예측능력 평가
Validation of Real-Time River Flow Forecast Using AWS Rainfall Data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5 no.6, 2012년, pp.607 - 616  

이병주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수문자원연구팀) ,  최재천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수문자원연구팀) ,  최영진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배덕효 (세종대학교 물자원연구소,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AWS 관측강우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유량예측을 수행할 경우 적용가능한 예측선행시간 및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남한강 상류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2006~2009 홍수기간에 대해 SURF 모형을 구축하였다. 관측유량 자료동화 수행 유무에 따른 모의유량은 관측유량을 잘 모의하며 유효성지수를 이용하여 자료동화 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 충주댐 32.08%, 달천 51.53%, 횡성 39.70%, 여주 18.23%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첨두유량 발생시간 이전 가상의 현재시점까지의 AWS 관측강우정보를 이용하여 유량예측 적용성을 평가한 결과 허용오차 20% 범위 내에서 첨두유량은 충주 11시간, 달천 2시간, 횡성 3시간, 여주 5시간, 유출용적은 충주 13시간, 달천 2시간, 횡성 4시간, 여주 9시간 이내에서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역의 지체효과로 인해 관측강우만을 이용하여 적정 예측시간에 대해서 실시간 첨두유량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alid forecast lead time and the accuracy when AWS observed rainfall data are used for real-time river flow forecast. For this, Namhan river basin is selected as study area and SURF model is constructed during flood seasons in 2006~2009. The simulate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3%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구축한 SURF 모형은 유량예측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모형으로서 적합하다고 하겠다.
  • 본 연구에서는 AWS 실황강우를 이용하여 유량을 모의할 경우 첨두유량과 유출용적의 예측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AWS 강우자료를 실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서 유량을 예측하고 이 결과로부터 첨두유량 및 유출용적에 대해 적용가능한 예측선행시간 및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여기서 모의첨두유량은 첨두유량 발생 전 가상의 현재시점에서 모의된 관측첨두유량 발생시점의 모의유량을 의미하고 유출용적은 가상의 현재 시점으로부터 관측첨두유량 발생시점까지의 유출용적을 의미한다. 또한 상류에 댐이 위치하고 있는 달천과 여주지점의 경우는 임의시점 이후의 방류량은 관측강우와 동일하게 0으로 가정하였다. 그림에서 X축의 0은 관측첨두 유량 발생시점을 나타내고 0 이상의 값은 첨두유량 발생시점과 임의 현재시점과의 시간차를 의미한다.
  • 실시간으로 관측된 강우를 관측실황강우라 정의할 때, 이러한 강우정보를 이용하여 유량을 예측할 경우 유역별로 활용 가능한 예측선행시간을 분석하였다. 유량예측은 첨두유량이 발생하기 전의 임의시점을 현시점으로 가정하여 수행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수예측의 실효성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중소규모의 홍수에 대해서는 홍수조절용 댐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지만 이례적으로 큰 홍수에 대해서는 큰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대신 잘 구축된 홍수예측시스템이 홍수피해 완화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Sugawara, 1974). 홍수예측의 실효성은 예측유량의 정확도에 의해 좌우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관측강우와 예측강우의 정확도, 대상유역에 적합한 유출 모형 적용과 추정된 매개변수의 적합성으로부터 결정된다. 특히, 관측강우는 강우-유출반응의 지체시간만큼 미래기간의 유량을 산정하는데 있어서 직접적으로 활용될뿐만 아니라 예측강우가 적용되는 시점의 유량에 영향을 줌으로 단기유량예측에 있어서는 예측강우보다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홍수피해 완화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인 것은? 중소규모의 홍수에 대해서는 홍수조절용 댐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지만 이례적으로 큰 홍수에 대해서는 큰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대신 잘 구축된 홍수예측시스템이 홍수피해 완화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Sugawara, 1974). 홍수예측의 실효성은 예측유량의 정확도에 의해 좌우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관측강우와 예측강우의 정확도, 대상유역에 적합한 유출 모형 적용과 추정된 매개변수의 적합성으로부터 결정된다.
국지적인 집중호우나 돌발적인 기상 현상 등은 그 범위가 협소하기 때문에 기상관서에서의 관측만으로는 관측 되지 못하는 경우 관측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는? 국지적인 집중호우나 돌발적인 기상 현상 등은 그 범위가 협소하기 때문에 기상관서에서의 관측만으로는 관측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정규기상관측망으로 관측이 어려운 규모의 기상 현상을 관측하기 위해 무인기상관측장비를 개발하여 1970년대부터 선진국에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 기상청에서도 2010년 현재 기상관측소에 자동기상관측장비(automatic weather system; AWS) 687개소를 설치하여 1분 간격으로 관측을 실시하고 있으며 매시간 컴퓨터로 자료를 수집 및 처리하여 실시간으로 기상예보와 기상재해 발생을 통보하는데 이용하고 있다(www.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강민구, Cai, Ximing, 고덕구 (2009). "Grey 모형을 이용한 다목적댐의 유입 홍수량과 하류 하천 홍수량 실시간 예측."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1호, pp. 61-73. 

  2. 김진훈, 윤원진, 배덕효 (2005), "단기 예측강우를 활용한 실시간유량 예측기법의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1호, pp. 11-23. 

  3. 배덕효 (1997). "저류함수법을 이용한 추계학적 실시간 홍수예측모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5호, pp. 449-457. 

  4. 배덕효, 이병주(2011). "대유역홍수예측을위한연속형강우-유출모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4권, 제1호, pp. 51-64. 

  5. 배덕효, 이병주, Shamir E. (2009). "앙상블칼만필터를연계한추계학적연속형저류함수모형개발( I ) : -모형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11호, pp. 953-961. 

  6. 이병주, 배덕효 (2011a). "자료동화 기법을 연계한 실시간 하천유량예측모형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4권, 제3호, pp. 199-208. 

  7. 이병주, 배덕효(2011b). "낙동강유역하천유량예측모형구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4권, 제11호, pp. 853-861. 

  8. 이재형, 심명필, 전일권 (1993). "대청댐 예비방류를 위한 홍수예보."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26권, 제2호, pp. 99-105. 

  9. 장수형, 윤재영, 김상단, 윤용남 (2007). "홍수조절기능을 가진 저수지의 치수 및 이수목적 운영관리 시스템 구축: I. 실시간 저수지 유입량 예측모형 구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2B호, pp. 113-140. 

  10. Clark, C.O. (1945). Storage and the unit hydrograph, Tras, Am. Soc. Civ. Eng., Vol. 110, pp. 1419-1446. 

  11. Evensen, G. (1994). "Sequential data assimilation with a nonlinear quasi-geostrophic model using Monte Carlo methods to forecast error statistic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99, No. C5, pp. 10143-10162. 

  12. Kalman, R. (1960). "New approach to linear filtering and prediction problems." Trans AMSE, Journal of Basic Engineering, Vol. 82D, pp. 35-45. 

  13. McCarthy, G.T. (1938). The unit hydrograph and flood routing,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North Atlantic Division, U.S. Army Corps of Engineers, R.I. 

  14. Sugawara, M. (1974). On natural disasters-some thoughts of a Japanese, unpublished manuscript. 

  15. soil.rds.go.kr 

  16. www.kma.go.kr 

  17. www.wamis.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