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경험 기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사례연구 : 분광광도계
Case Study of User Interface Design for Spectrophotometer based on User Experien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6, 2012년, pp.32 - 40  

정성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  정상훈 (목원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화학, 생명공학, 환경공학 등의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분광광도계사용자 인터페이스사용자경험에 기반하여 디자인한 과정을 연구한 사례연구이다. 일반적으로 분광광도계를 포함한 실험기기 개발은 기능 및 기술을 우선하여 진행되므로 기기와 사용자간의 인터랙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순히 제품을 개발하는 엔지니어에 설계되었고, 연구자의 퍼포먼스를 높이고 효율적인 사용환경을 제시하는데 미흡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 개발을 담당하는 엔지니어와 실제 제품을 사용하는 실험자의 기존의 경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전문가인터뷰, 경험관찰 분석법 등으로 사용자의 니즈를 종합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디자인 인사이트를 추출하고 휴리스틱가이드라인에 의해 디자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기존의 기능적 측면만 고려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아닌 사용자경험에 기반을 두어 연구자의 퍼포먼스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개발되었으며, 분광광도계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시 인터페이스의 역할 재정의, 시간 효율성 제고, 보안성 확보, 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충분한 정보전달의 4가지 요소가 필수적임을 발견하게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case analysis for user interface(UI) design of spectrophotometer which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chemistry, biology and environment, based on user experience(UX). Generally, experimental equipment developments are centered on functionality and technology, and the interface for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존의 개발 과정에서처럼 엔지니어들에 의해 개발된 제품은 입력 장치만이 터치 방식으로 교체되었을 뿐, 터치 기반의 디스플레이가 가진 장점을 충분히 살리지 못하여 사용자 경험적 측면에서 기존의 제품들에 비해 크게 개선되었다고 볼 수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실제 경험과 제품 사용 과정에 근거하여, 이들에게 새로운 사용자 경험 및 더 나은 사용성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요구되었고 본 연구를 통하여 경험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게 되었다.
  • 본 분광광도계를 개발하고 있던 해당 기업을 방문하여 이전 버전(version) 및 새롭게 디자인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될 신제품을 개발하고 있는 실제 개발자 들을 만나 조사를 진행하였다. 개발자이며 사용자인 3명의 엔지니어(남, 30대)에게 기존 제품의 사용 워크플로우를 도식화 하도록 한 뒤, 도식화 된 자료를 바탕으로 직접 기기를 사용하게 하면서 사용상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들의 니즈를 청취하였다[그림 2].
  • 본 연구는 기존의 실험을 위한 계측기기의 개발이 기술의 개발과 기능의 추가에 초점을 맞추어 엔지니어들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던 것과 달리, 사용자를 중시하여 이들에게서 기존의 경험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한 후 새로운 사용자 경험적 가치를 제공하고자 했던 과정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 1.1 제품 및 회사 분석

    분광광도계의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기 위하여, 해당 기업의 기존 제품의 장단점 및 분광광도계의 시장 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기회 영역1을 찾고자 하였다[표 1].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실제 사용 환경과 경험을 관찰하여 사용자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톰 캘리(2002)가 ‘사용자의 경험을 주의 깊게 관찰하는 과정에서 새롭고 창의적인 영감이 도출될 수 있다’[1] 고한 것과 마찬가지로, 과학자와 같은 전문가가 주로 사용하는 제품 일수록 복잡한 기기 사용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기 위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관찰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2]
  • 제품의 이해 및 사용자 조사 과정을 통해 기존 제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어떤 문제점이 있으며 이들이 충족시키지 못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가 무엇인지 파악하였으며, 실제 연구자들과의 대화 및 실험실에서의 실험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연구자들의 직접적인 요구뿐만이 아니라 그들의 숨겨진 니즈와 잠재적인 가능성을 찾아낼 수 있었으며, 그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1) 언어와 용어가 사용자를 혼란스럽게 한다. 2) 일관된 레이아웃을 가지지 못한다.
  • 9) 정보가 부족하다. 10) 작업, 메뉴 구조가 비합리적이다. 11) 실제 작업 과정과의 연동성이 부족하다 등이다.
  • 10) 작업, 메뉴 구조가 비합리적이다. 11) 실제 작업 과정과의 연동성이 부족하다 등이다.
  • 2) 일관된 레이아웃을 가지지 못한다. 3) 버튼 스타일이 통일되어 있지 않다. 4) 버튼과 탭 사용에 대한 규칙이 애매하다.
  • 3) 버튼 스타일이 통일되어 있지 않다. 4) 버튼과 탭 사용에 대한 규칙이 애매하다. 5) 같은 기능을 다른 방식으로 제공한다.
  • 5) 같은 기능을 다른 방식으로 제공한다. 6) 현재 상태와 결과를 알기 힘들다. 7) 버튼크기 문제(Fat Finger Problem)가 있다.
  • 7) 버튼크기 문제(Fat Finger Problem)가 있다. 8)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에 대한 행위유발성(Affordance)이 좋지 않다. 9) 정보가 부족하다.
  • 8)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에 대한 행위유발성(Affordance)이 좋지 않다. 9) 정보가 부족하다. 10) 작업, 메뉴 구조가 비합리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공계열에서 주로 사용되는 계측기기를 포함한 실험기기들은 무엇이 가장 중요하나요? 일반적으로 이공계열에서 주로 사용되는 계측기기를 포함한 실험기기들은 정밀성과 정확성 등 기능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제품군의 신제품 개발은 새로운 기술을 통한 기능의 향상에 초점을 맞춰 진행된다. 최근에는 인간-기계 인터랙션(HMI)의 관점에서 사용자를 고려하여 사용성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일부 제시되고 있으나 실제 제품 개발 과정에서 이러한 점은 대부분 고려되지 않은 채 기능에 중점을 맞춰 엔지니어 들에 의해 단독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분광광도계를 포함한 실험기기 개발의 한계점은 무엇인가요? 본 연구는 화학, 생명공학, 환경공학 등의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분광광도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경험에 기반하여 디자인한 과정을 연구한 사례연구이다. 일반적으로 분광광도계를 포함한 실험기기 개발은 기능 및 기술을 우선하여 진행되므로 기기와 사용자간의 인터랙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순히 제품을 개발하는 엔지니어에 설계되었고, 연구자의 퍼포먼스를 높이고 효율적인 사용환경을 제시하는데 미흡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 개발을 담당하는 엔지니어와 실제 제품을 사용하는 실험자의 기존의 경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기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는 어떻게 진행되었나요? 먼저, 해당 기업과 제품에 대한 이해를 위해 분광광도계의 시장 상황 및 경쟁사 제품을 비교, 분석하여 클라이언트와 제품이 가지고 있는 현재의 장단점과 새로운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경험에 기반을 둔 제품 생태계 구성을 통해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으며, 이를 더욱 구체화하여 제품의 목적과 세부 기능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이후, 사용자 조사의 첫 번째 단계로 제품을 개발하는 엔지니어로부터 직접 개발자 관점에서의 기기의 이상적 사용 방법과 목적에 대해 자세히 조사하여 기기의각 기능별 목적과 이를 사용하기 위한 이상적인 워크 플로우(Work Flow)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실제 화학, 생명공학, 환경공학 등 다양한 분야와 목적으로 분광광도계를 실제 사용하고 있는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전문가 그룹 인터뷰 (Focus Group Interview : FGI)를 진행하여 이들의 분광광도계 사용 경험과 사용 목적을 조사함으로써, 실제 제품이 사용되는 컨텍스트와 사례에 대한 내용을 수집하였다. 이후, 사용자 조사를 위한 디자인 방법론 중 하나인‘경험 관찰 분석’(Contextual Inquiry)[3-5]에 근거하여 분광광도계를 보다 높은 빈도로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연구자들의 실험실을 직접 방문하여 실제 환경에서의 제품 사용을 관찰함으로써 그들의 구체적인 사용 경험과 사례를 조사하였고, 이전 단계에서 드러나지 않은 연구자들의 니즈와 요구를 추가로 파악하였다. 최종적으로 앞선 단계들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새롭게 제안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기 위한 디자인컨셉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프로토타입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조를 개발하였고, 이후 실제 디자인이 진행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K. Tom, The Art of Innovation, Profile Business, 2002. 

  2. 정상훈, 정성원, "과학자들이 선호하는 분광광도계 컨트롤 디스플레이 디자인 연구", 감성과학, Vol.12, No.4, pp.511-518, 2009. 

  3. 빌 벅스턴, 고태호 역, 사용자경험 스케치, 인사이트, 2010. 

  4. J. Hackos, 방수원 역, 사용자와 태스크분석, 한솜미디어, 2003. 

  5. J. Dumas, A practical guide to Usability Testing, Intellect Books, 1999. 

  6. M. Kuniavsky, Observing The User Experience- Practitioner''s Guide to User Research, MorganKaufmann Publishers, Elsevier Science, 2003. 

  7. K. Holtzblatt, J. B. Wendell, and S. Wood, Rapid Contextual Design: A How-to guide to key techniques for user-centered design, San Francisco: Morgan Kaufmann, 2005. 

  8. J. Nielsen, Usability Engineering, Morgan Kaufmann Publishers, 1994. 

  9. 성기원, 심규대, 신상현, 이건표, "정보기기의 사용성 분석을 위한 휴리스틱 가이드라인의 분류와 특성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Vol.46, pp.240-241, 2002. 

  10. B. J. Pine and J. H. Gilmore,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