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 HRD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조직지원 특성에 따른 효과성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Support on Company HRD Education & Training Progra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6, 2012년, pp.497 - 507  

류석우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양해술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업 HRD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조직지원 특성이 HRD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으로 구성된 조직지원 특성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반응, 학습, 전이, 결과수준을 효과성의 종속변수로 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1년 8월 16일부터 9월 9일까지 국내 상장 및 코스닥 등록 증권사 중 서울에 본사를 두고 상시 재직자 온 오프라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5개 기업의 임직원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배포하였다. 설문지는 3차로 나누어 총 340부가 배포되었으며, 총 164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검증 결과, 가설 1. 조직지원 특성이 반응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은 반응수준에 대해서 모두 p<0.01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가설 2. 조직지원 특성이 학습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은 학습수준에 대해서 p<0.05,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가설 3. 조직지원 특성이 전이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은 전이수준에 대해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4. 조직지원 특성이 결과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은 결과수준에 p<0.01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기업 교육훈련의 효과성은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내용과 질도 중요하지만, 교육훈련 과정에 대한 지지체계와 학습한 것을 실제 업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이 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재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제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주관하고 실시하는 기업이나 전문가들은 교육훈련 프로그램 설계 특성도 중요하나, 조직지원 특성이 교육훈련 효과에 중요하게 작용함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verify how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supporting unit affect the effectiveness of company-wide HRD Education & Training program. To achieve this objective, we performed an empirical analysi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supporting unit comprising superv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육훈련 효과성의 4가지 측면은 시차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5], 본 연구에서는 동일시점에 이러한 4가지 측면을 측정하고 있어 시차성 문제에 노출될 우려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든 문항을 현시점을 기준으로 지각하거나 기대하는 수준을 측정하는 것으로 조작하였다.
  • 본 연구는 기업 HRD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조직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어질 때, 구성원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향상이라는 성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기업의 조직지원 특성이 HRD 교육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조직지원 특성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반응, 학습, 전이, 결과수준을 효과성 측정의 종속변수로 하여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기업 HRD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조직지원 특성이 프로그램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조직지원 특성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반응 수준, 학습수준, 전이수준, 결과수준을 효과성 측정의 종속변수로 하여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 HRD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조직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어질 때, 구성원의 업무역량 향상이라는 결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기업의 조직지원 특성이 HRD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다음으로, 가설 2. 조직지원 특성이 학습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가설 1. 조직지원(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 정도가 높을수록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인 반응수준이 높을 것이다.
  • 가설 3. 조직지원(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 정도가 높을수록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인 전이수준이 높을 것이다.
  • 가설 2. 조직지원(상사지원, 직무지원, 회사지원) 정도가 높을수록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인 학습수준이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기업의 전체 10대 성공요인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갖는 성공요인은? 한국, 일본 등 농업사회에서 공업사회로 성공적으로 변모한 국가들의 경우 인재를 육성하는데 기업교육훈련이 큰 이바지를 했다. 대한상공회의소[1] 보고서에 따르면 우수인력의 양성요인은 한국기업의 전체 10대 성공요인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갖는 성공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한국의 성공기업들은 공통적으로 우수인력을 기업성공의 원동력으로 삼았다고 지적할 수 있다.
HRD 교육훈련에 대한 조직지원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효과 측정이 필요한 이유는?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는 학습에 참여하는 개인의 특성과 교육프로그램 자체의 특성 그리고 조직적인 지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학습자가 인식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학습 성취도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직지원 변인들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기업에서 실시하는 HRD 차원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보편화 되어 있지만 프로그램의 마련에만 급급할 뿐 조직차원에서 어떠한 지원과 배려를 하여야만 효과를 높일 수 있을지에 대한 고려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5].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디에 영향을 받는가?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는 학습에 참여하는 개인의 특성과 교육프로그램 자체의 특성 그리고 조직적인 지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학습자가 인식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학습 성취도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권대봉, 성인교육방법론, 서울: 학지사, 2006. 

  2. 권용주, 신정하, 호텔종사원 교육훈련의 학습특성과 전이특성이 전이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의 학습지원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호텔관광 연구, Vol.8, No.2, pp.27-43, 2006. 

  3. 양병화, 다변량 데이터 분석법의 이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4. D. G. Robinson and J. C. Robinson, Performance consulting, SanFrancisco: Barrett-Koehler Publishers, 1995. 

  5. 김기태, 교육훈련 투자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 직무능력향상, 종업원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사관리연구, Vol.32, No.4, pp.29-57, 2008. 

  6. 이화정, 양병찬, 변종임,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서울: 학지사, 2003. 

  7. 주용국, HRD 전략수립을 위한 개발, 분석, 평가모델, 산업교육, pp.74-77, 1999. 

  8. 한국능률협회, 제22회 한국인재개발대회: 2001년 한국기업의 HR실태조사 결과 발표, 서울: 한국능률협회, 2001. 

  9. 현영섭, 권대봉, 판매교육 학습전이와 전이풍토간의 관계, 교육학연구, Vol.41, No.1, pp.299-327, 2003. 

  10. 홍계훈, 김익성, 훈련에 대한 개인수준에서의 반응평가 모델 개발: Kirkpatrick의 모델을 기초로 하여, 인사관리연구, Vol.32, No.4, pp.1-27, 2008. 

  11. G. M. Alliger, S. I. Tannenbaum, W. Banett, H. Traver, and A. Shotland, A meta analysis of the relations among training criteria. Personnel Psychology, Vol.50, No.2, pp.341-358, 1997. 

  12. W. Arthur, W. Bennett, P. S. Edens, and S. T. Bell, Effectiveness of training in organizations: a meta analysis of design and evaluation featur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8, No.2, pp.234-245, 2003. 

  13. E. Salas and J. A. Cannon Bowers, The science of training: a decade of progres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2, pp.471-499, 2001. 

  14. O. A. Sogunro, Impact of training on leadership development: Lessons from a leadership training program, Evaluation Review, Vol.21, No.6, pp.713-737, 1997. 

  15. J. B. Tracey and M. J. Tews, Construct validity of a general training climate.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Vol.8, No.4, pp.353-374, 2005. 

  16. R. Bates and S. Khasawneh, Organizational learning culture, learning transfer climate and perceived innovation in jordanian organiz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Vol.9, No.2, pp.96-109, 2005. 

  17. J. A. Colquitt, J. A. LePine, and R. A. Noe, Towards an integrative theory of training motivation: A meta analytic path analysis of 20 years of research,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5, pp.678-807, 2000. 

  18. A. Giangreco, A. Sebastiano, and R. Peccei, Trainees' reactions to training: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overall satisfaction with training,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20, No1, pp.96-111, 2009. 

  19. E. F. Holton, R. A. Bates, and W. E. A. Ruona, Development of a generalized learning transfer system inventory,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11, No.4, pp.336-360, 2000. 

  20. D. L. Kirkpatrick, Evaluating training program:the four levels, SanFrancisco: BerrettKoehler, 1994. 

  21. K. Kraiger, K. J. Ford, and E. Salas, Application of cognitive, skill based, and affective theories of learning outcomes to methods of training evalu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8, No.2, pp.311-328, 1993. 

  22. D. H. Lim and M. L. Morris, Influence of trainee characteristics, instructional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limate on perceived learning and training transfer,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17, No.1, pp.85-115, 2006. 

  23. R. A. Noe and J. A. Colquitt, Planning for training impact: Principals of training effectiveness. In K. Kraiger(Ed.), Creating, implement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training and development: State of the art lessons for practice. San Francisco: Jossy Bass, 2002. 

  24. M. L. Broad and J. W. Newstrom, Transfer of training: Action-packed strategies to ensure high payoff from training investments, New York: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92. 

  25. 현영섭, 훈련전이연구의 새로운 도전: 훈련전이의 하위범주와 전이거리모형, 인력개발연구, Vol.6, No.2, pp.69-94, 2004. 

  26. S. P. Robbins, Organizational behavior (9theds.). NJ: PrenticeHall, 2001. 

  27. S. I. Tannenbaum, Enhancing continuous learning: diagnostic findings from multiple companies,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36, No.4, pp.437-452, 1997. 

  28. J. B. Tracey and M. J. Tews, Construct validity of a general training climate,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Vol.8, No.4, pp.353-374, 2005. 

  29. J. B. Tracey, T. R. Hinkin, S. Tannenbaum, and J. E. Mathieu, The influe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work environment on varying levels of training outcom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12, No.1, pp.5-23, 2001. 

  30. 송진구, "변혁적 리더십과 교육훈련제공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p.274-288, 2011. 

  31. 고승희, 류상일, "지방공무원 사이버 교육훈련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9호, pp.166-171, 2008. 

  32.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기업의 성공과 실패,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