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뽕잎 및 꾸지뽕잎 첨가식이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혈당관련 바이오마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s with Mulberry Leaf and Cudrania tricuspidata Leaf Powder Supplements on Blood Glucose-Related Biomarker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6, 2012년, pp.766 - 773  

박주헌 (한국식품연구원) ,  이경원 (한국식품연구원) ,  성기승 (한국식품연구원) ,  김성수 (한국식품연구원) ,  조경동 (푸드원텍(주)) ,  이복희 (중앙대학교 식품공학부) ,  한찬규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뽕잎 및 꾸지뽕잎이 당뇨쥐의 혈당관련 바이오마커(biomarkers)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SD계 수컷 흰쥐에게 STZ 투여(47.5 mg/kg bw) 후 7일 뒤 혈당치가 350 mg/dL 내외되는 쥐를 선별하여 실험군당 8마리씩 배치하고, AIN-93G를 기본식이로 하여 뽕잎 10% 첨가군(A), 뽕잎 10%와 꾸지뽕잎 10%(B) 및 30%(C) 혼합 첨가군, 꾸지뽕잎 10% 첨가군(D), 당뇨대조군(E)으로 나누어 각 실험식이를 6주간 급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기간 동안 B군과 C군의 혈당치는 실험식이 급여 전 기준혈당치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고 실험 6주째의 경우 E군 및 A, D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기준혈당 대비 6주 후 혈당상승률은 B군과 C군이 각각 6.7, 7.6%로 E군(29.2%)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6주간 혈당치의 곡선하면적(AUC)도 B, C군이 D, E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실험종료 후 공복혈당 역시 B, C군이 D, E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p<0.05), C-peptide 함량은 C군이 다른 군에 비해 평균 50 pmol/L 가량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당화혈색소(HbA1c) 함량은 A군과 B군이 E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혈청 총콜레스테롤(TC) 농도는 E군에 비해 실험시료 급여군이 평균 14% 감소하였고,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시료 처리군이 E군보다 평균 27% 증가하였으나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중성지방(TG) 농도는 E군에 비해 A, B, D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간기능치 중 ASTALT 활성은 E군보다 A, B, D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뽕잎 및 꾸지뽕잎 첨가식이 중 이들을 1:1로 혼합하여 STZ로 유도한 당뇨쥐에게 급여하였을 때 혈당상승을 억제하고 혈당관련 지표성분, 그리고 혈청 지질농도 및 간기능치 개선에도 다소간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iets with mulberry leaf and Cudrania tricuspidata leaf supplements on blood glucose-related biomarker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Male diabetic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groups and fed several diets. Group A was fed a diet with a 10%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뽕잎과 꾸지뽕잎이 당뇨쥐의 혈당관련 바이오마커(biomarkers)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streptozotocin으로 유도한 당뇨쥐에게 뽕잎 및 꾸지뽕잎 분말 첨가식이를 급여하고 혈당변화 및 관련 지표성분 함량, 그리고 혈청 지질농도와 간기능치 등을 조사하여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뽕나무는 분류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는가? 한편, 뽕나무(Morus alba L.)는 열대지방에서부터 온대지역에 걸쳐 널리 분포하는 뽕나무과(Moraceae), 뽕나무속 (Morus)에 속하는 식물자원으로, 뽕잎은 수천 년간 누에의 먹이공급원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1998년도 이후부터 식품의 사용 가능한 원료로 식품공전에 등재된 후 각종 가공식품 및 건강식품의 원료로 꾸준히 이용되고 있다(6-8). 뽕잎의 유용성분으로 알려진 flavonoid계의 rutin은 모세혈관 강화 작용과 수축작용을 나타내며, 혈압 강하물질로 알려져 있는 GABA(γ-aminobutyric acid) 성분은 녹차 잎에 비해 약 10배 정도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뽕나무의 뽕잎은 어떤 유용성분이 있으며 효능은 어떠한가? )는 열대지방에서부터 온대지역에 걸쳐 널리 분포하는 뽕나무과(Moraceae), 뽕나무속 (Morus)에 속하는 식물자원으로, 뽕잎은 수천 년간 누에의 먹이공급원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1998년도 이후부터 식품의 사용 가능한 원료로 식품공전에 등재된 후 각종 가공식품 및 건강식품의 원료로 꾸준히 이용되고 있다(6-8). 뽕잎의 유용성분으로 알려진 flavonoid계의 rutin은 모세혈관 강화 작용과 수축작용을 나타내며, 혈압 강하물질로 알려져 있는 GABA(γ-aminobutyric acid) 성분은 녹차 잎에 비해 약 10배 정도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뽕잎에는 β-sitosterol, campesterol, β-sitosterol glycoside, β-ecdysone 및 inosterone 등 식물성 스테롤이 다량으로 존재하여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의 저하작용, HDL-콜레스테롤의 증가 및 항산화작용 등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1).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소교목으로 잎 부분을 한방에서는 습진, 유행성이하선염, 폐결핵, 만성 요퇴통, 타박상, 급성관절염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 꾸지뽕잎의 생리활성 작용으로는 항염증 작용, 항균작용 및 trypsin 효소 활성 저해능(12,13), 마우스에서의 지질 상승 및 산화 억제작용 (14), 간독성 억제작용(15) 등이 보고된 바 있다.
꾸지뽕잎의 생리활성 작용으로는 무엇이 보고되어 있는가? 또한 뽕잎에는 β-sitosterol, campesterol, β-sitosterol glycoside, β-ecdysone 및 inosterone 등 식물성 스테롤이 다량으로 존재하여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의 저하작용, HDL-콜레스테롤의 증가 및 항산화작용 등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9-11).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소교목으로 잎 부분을 한방에서는 습진, 유행성이하선염, 폐결핵, 만성 요퇴통, 타박상, 급성관절염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 꾸지뽕잎의 생리활성 작용으로는 항염증 작용, 항균작용 및 trypsin 효소 활성 저해능(12,13), 마우스에서의 지질 상승 및 산화 억제작용 (14), 간독성 억제작용(15)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annel WB, Megee DL. 1979.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JAHA 241: 2035-2038. 

  2. Abrams JJ, Ginsberg H, Grundy SM. 1982. Metabolism of cholesterol and plasma triglycerides in non-ketotic diabetes mellitus. Diabetes 31: 903-910. 

  3. Steinberg HO, Chaker H, Leaming R, Johnson A, Brechtel G, Baron AD. 1996. Obesity/insulin resistance is associated with endothelial dysfunction. Implications for the syndrome of insulin resistance. J Clin Invest 97: 2601-2610. 

  4. Hayden JM, Reaven PD. 2000. Cardiovascular disease in diabetes mellitus type 2: a potential role for nove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Curr Opin Lipidol 11: 519-528. 

  5. Treadway JL, Mendys P, Hoover DJ. 2001. Glycogen phosphorylas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Expert Opin Investig Drugs 10: 439-454. 

  6. Onogi A, Osawa K, Yasuda H, Sakai A, Morita H, Tokawa H. 1993. Flavonol glycosides from the leaf of Morus alba. Shoyakugaku Zasshi 47: 423-425. 

  7. Shin KH, Young HS, Lee TW, Choi JS. 1995.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Solanum lyratum. Korean J Pharm 26: 130-138. 

  8. Kim MW, Ahn MS, Lim YH. 2003.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ulberry leaves extracts on edible soybean oil. Korean J Food Culture 18: 1-8. 

  9. Kodama T, Ishida H, Kokubo T, Yamakawa T, Noguchi H. 1990. Glucosylation of quercetin by a cell suspension culture of Vitis sp. Agric Biol Chem 54: 3283-3288. 

  10. Shin DH. 1998. Antioxidation substances in mulberry leaf. J Korean Oil Chemists Soc 16: 27-31. 

  11. Chae JY, Lee JY, Hoang IS, Whangbo D, Choi PW, Lee WC, Kim JW, Kim SY, Choi SW, Rhee SJ. 2003. Analysis of functional components of leaf of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5-21. 

  12. Kim SH, Kim NJ, Choi JS, Park JC. 1993. Determination of flavonoid by HPLC and biological activities from the leaves of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J Korean Soc Food Sci Nutr 22: 68-72. 

  13. Ottersen T, Vance B, Doorenbos NJ, Chang BL, EI-Feraly FS. 1977. The crystal structure of cudranone, 2,6,3'-trihydroxy- 4-methoxy-2'-(3-methyl-2-butenyl)-benzophenone: a new antimicrobial agent from Cudrania cochinchinensis. Acta Chem Scand 31: 434-436. 

  14. Chang CH, Lin CC, Hattori M, Namba T. 1994. Effects of anti-lipid peroxidation of Cudrania cochinchinensis var. gerontogea. J Ethnopharomacol 44: 179-185. 

  15. Joo HY, Lim KT. 2009. Protective effect of glycoprotein isolated from Cudrania tricuspidata on liver in $CCl_4$ -treated A/J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93-99. 

  16. Asano N, Oseki K, Tomioka E, Kizu H, Matsui K. 1994. N-containing sugars from Morus alba and their gly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Carbohyr Res 259: 243-255. 

  17. Jang MJ, Rhee SJ. 2004. Hypoglycemic effects of pills made of mulberry leaves and silkworm powder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611-1617. 

  18. Kwon EH, Jung MA, Rhee SJ, Choi SW, Cho SH. 2006. Antioxidant effects of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of mulberry fruit, mulberry leaves and silkworm powder with different mixing ratio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 39: 91-99. 

  19. Reeves PG, Nielsen FH, Fahey GC. 1993.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 final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Nutrition Ad Hoc Writing Committee in the reformulation of the AIN-76A rodent diets. J Nutr 123: 1939-1951. 

  20. AOAC.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211-260. 

  21. Han CK, Kim SS, Choi SY, Park JH, Lee BH. 2009. Effects of rice added with mulberry leaves and fruit on blood glucose, body fat and serum lipid level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36-1341. 

  22. Odaka H, Matsuo T. 1992. Ameliorating effects of an intestinal disaccharidase inhibitor, AO-128, in streptozotocin-diabetic rats. J Jpn Soc Nutr Food Sci 45: 33-38. 

  23. Mogensen CE, Anderson MJF. 1973. Increased kidney size an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arly jurvenile diabetes. Diabetes 22: 706-712. 

  24. Heaton KW. 1973. Food fiber as an obstacle to energy intake. Lancet 2: 1418-1421. 

  25. Lee WC, Kim SE, Han SJ, Yun SC. 1993. Effect of number of days after urea foliar spray on mulberry leaf components and silkworm. Korea J Seric Sci 35: 86-88. 

  26. Kim SY, Ryu KS, Lee WC, Ku HO, Lee HS, Lee KR. 1999. Hypoglycemic effect of mulberry leaves with anaerobic treatment in alloxan-induced diabetic mice. Korean J Pharmacogn 30: 123-129. 

  27. Chung SH, Yu JH, Kim EJ, Ryu KS. 1996. Blood glucose lowering effect of silkworm. Bull K H Pharma Sci 24: 95-100. 

  28. Yoo SK, Kim MJ, Kim JW, Rhee SJ. 2002. Effects of YK-209 mulberry leaves on disaccharidase activities of small intestine and blood glucose-lowering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1071-1077. 

  29. Pinnell AE, Northam BE. 1978. New automated dye-binding method for serum albumin determination with bromocresol purple. Clin Chem 24: 80-86. 

  30. Levy RI. 1991. Cholesterol, lipoproteins, apolipoproteins and heart disease; pres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Clin Chem 27: 653-662. 

  31. Oh UJ, Kim GP, Cho YW, Chung SH, Gu SJ. 1999. Effect of beverage containing extract from mulberry leaves on serum glucose and lipid levels in db/db mouse. Annual Meeting of Korean Soc Food Sci Technol, Seoul, Korea. p 430. 

  32. Kim SY, Lee WC, Kim HB, Kim AJ, Kim SK. 1998.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mulberry leaves in cholesterol induced hyperlipidemia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217-1222. 

  33. Kim MS, Choue RW, Chung SH, Koo SJ. 1998. Blood glucose lowering effects of mulberry leaves and silkworm extracts on mice fed with high carbohydrate diet. Korean J Nutr 31: 117-121. 

  34. Kim YG, Cho GB, Kim MS, Ko YH, Park MI, Woo IK, Ahn SY, Park BC. 1993. The diagnostic significance of AST/ALT ratio in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Korean J Gastroenterology 25: 958-963. 

  35. Seoul Medical Science Institute. 2005. SCL examination guidebook. 

  36. Woo HJ, Kim JH, Kim JK, Kim HJ, Park KB. 2006. Effect of gamma irradiation and Cichorium products on oxidative damage and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Environ Biol 24: 102-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